• 제목/요약/키워드: intra-abdominal mas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8초

Is There any Role of Visceral Fat Area for Predicting Difficulty of Laparoscopic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 Shin, Ho-Jung;Son, Sang-Yong;Cui, Long-Hai;Byun, Cheulsu;Hur, Hoon;Lee, Jei Hee;Kim, Young Chul;Han, Sang-Uk;Cho, Yong Kwa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5권3호
    • /
    • pp.151-158
    • /
    • 2015
  • Purpose: Obesity is associated with morbidity following gastric cancer surgery, but whether obesity influences morbidity after laparoscopic gastrectomy (LG) remains controversial. The present study evaluated whether body mass index (BMI) and visceral fat area (VFA) predic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7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LG for gastric cancer between May 2003 and December 2005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before learning curve' and 'after learning curve') based on the learning curve effect of the surgeon. Each of these groups was sub-classified according to BMI (<$25kg/m^2$ and ${\geq}25kg/m^2$) and VFA (<$100cm^2$ and ${\geq}100cm^2$). Surgical outcomes, including operative time, quantity of blood los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BMI and VFA subgroups. Results: The mean operative time, length of hospital stay, and complication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efore learning curve group than in the after learning curve group. In the subgroup analysis, complication rate and length of hospital stay did not differ according to BMI or VFA; however, for the before learning curve group, mean operative time and blood lo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VFA subgroup than in the low VFA subgroup (P=0.047 and P=0.028, respectively). Conclusions: VFA may be a better predictive marker than BMI for selecting candidates for LG, which may help to get a better surgical outcome for inexperienced surgeons.

Lack of Relation of Survivin Gene Expression with Survival and Surgical Prognostic Factors in Endometrial Carcinoma Patients

  • Aksoy, Rifat Taner;Thran, Ahmet Taner;Boran, Nurettin;Tokmak, Aytekin;Isikdogan, Betul Zuhal;Dogan, Mehmet;Thlunay, Hakki Gok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905-6910
    • /
    • 2014
  • Background: The relation ofsurvivin gene expression to survival and surgical prognostic factors in the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is unclear.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62 cases who were operated due to endometrial carcinoma were investigated between 2003 and 2011 in the the gynecological oncology clinic of Female Disease Training and Investigation Hospital of Etlik Zubeyde, Hanim, Turkey. Clinical and surgical prognostic factors were investigated by screening the records of these cases. With the standard streptavidin-biotin immune peroxidase method, cytoplasmic and nuclear expression of survivin was investigated in sections with specific antibodies (1:100, diagnostic Bio Systems, USA) primer. The aim was to elucidate any relation between survivin expression and defined prognostic factors and survival.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ytoplasmic and nuclear indexes identified for survivin and age, body mass index, the levels of preoperative hemoglobin, platelet and Ca 125, stage, grade, lymph node meastasis, the number of meta statical lymph nodes (total, paraaortic and pelvic), myometrial invasion, serosal invasion, adnexal involvement, the presence of acid in the first diagnosis, the involvement of omentum, the adjuvant treatment application of the cases, the presence of recurrence and rate of mortality (p>0.05).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ed for the presence of advanced stage lymph node metastasis (pelvic, paraaortic, pelvic and paraaortic), serosal involvement, positive cytology, lymph vascular space invasion, intra abdominal metastasis, and omentum involvement. When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cytoplasmic and nuclear survivin indexes and total survival,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s: In our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s of cytoplasmic and nuclear survivin expression with identified prognostic factors and total or non-disease survival.

장 천공을 동반한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골반골 골절에서 전산화 단층촬영 전 시행한 혈관색전술의 지혈효과: 증례보고 (Emergency preoperative angioembolization without computed tomography to treat unstable pelvic fractures with bowel perforation)

  • 박찬용;강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17-422
    • /
    • 2019
  •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골반골 골절 환자의 사망율은 40-60%에 이를 정도로 매우 높다. 하지만 이러한 환자들을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다. 저자들은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골반골 골절 환자에서 빠른 응급 혈관조영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지혈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78세 여자가 넘어져서 발생한 골반 통증을 주소로 응급실을 통해 내원하였다. 내원 후 시행한 단순골반촬영에서 골반골 골절이 관찰되었으며, 혈압은 60/40 mmHg였다.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지 않고 곧바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빠른 지혈을 위해 세부적인 출혈 혈관을 선택하지 않고 양측 내장골동맥에 대해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색전술 시행 후 혈압이 안정화되고 나서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이 검사에서 장천공을 의심할 수 있는 다수의 복강내 공기 음영이 관찰되었다. 응급 개복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소견상 소장에 약 1 cm 크기의 천공이 관찰되어 봉합을 시행하였고, 골반 주변 후복막강에 혈종이 있었으나 더 이상 팽창하지 않고 출혈 소견이 보이지 않아 그대로 두고 수술을 종료하였다. 환자는 중환자실로 입원하여 집중치료 시행하였고, 수술 3일째 일반병실로 전실하였다. 저자들은 이 증례에서 출혈을 동반한 골반골 골절과 소장천공 대해 전산화 단층촬영을 생략하고 빠른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치료 결과 (Treatment Results of Ovarian Dysgerminoma)

  • 정은지;서창옥;성진실;금기창;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21-228
    • /
    • 1996
  • 목적 :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방법, 국소 제어율, 치료 실패 양상, 생존율 등 치료 성적을 분석해 보고, 가임력을 보존하기 원하는 병기 13 환자들에서의 적절한 치료 방침을 찾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5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연세 의대 신촌 세브란스병원, 연세암센터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은 34명의 난소 미분화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2예의 gonadoblastoma(46,XY)와 3예의 혼합 배세포종(mixed germ cell tumor)을 제외하고 나머지 순수 미분화세포종(pure dysgermlnoma) 환자 29예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치료 방법에 따라 두군으로 나누어 성적을 분석하였다. 1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21예였고, 2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하지 않은 군으로 8예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8-39세였고 중앙치는 23세였다. 진단 시 임상 증상은 촉지되는 복부 골반부 종괴가 가장 호발하였다. 병기는 I이 23명으로 $89.3\%$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방사선치료는 병기 I, II에서는 전복부조사 20-25 Gy, 골반부에 축소하여 10-15 Gy 추가 조사하였고 종격동과 쇄골 상부의 방사선치료는 대부분 II기 이상의 진행된 병기에서 20-26 Gy 조사하였다. 환자들의 추적 관찰 중앙치는 80개월(13-201개월)이었다. 결과 :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인 1군(21예)은 전원 국소제어 및 무병 생존중이었다. 2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하지 않은 8예인데 이중 6예에서 국소 재발지 발생하여 4예는 구제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1예는 항암화학요법을 1예는 재수술만 시행 받았다. 구제 치료 결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4예중 3예, 항암화학요법 받은 1예 및 재수술을 받은 1예는 완치되었으나, 1예만 암종증(carcinomatosis)으로 진행되어 방사선치료후 11개월에 사망하였다. 그러므로 29예 전체의 5년 국소 제어율 및 5년 생존율은 $96.6\%$(28/29)였다. 일측 난소에 국한된 병기 la 환자 13예 중 7예는 수술 및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이들은 전원 국소제어 되어 20-201개월간(중앙치 80개월) 무병 추적 관찰 중이나, 수술로 일측 난소난 관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없이 지내던 6예의 환자 중 5예에서 재발하였으나 이들 모두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재수술 등의 구제치료에 성공하였다. 즉 13예의 병기 la 환자 전원이 20-201개월간 무병 생존 중이다. 결론 :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부가함으로 종양의 크기, 병기, 수술법에 관계없이 $100\%$ 국소 제어율 및 $100\%$ 5년 생존율을 획득하였다. 수술후 재발한 경우라도 암종증(carclnomatosis)이나 복부 이외의 장기에 원격 전이가 없다면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또는 재수술로 구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가임력을 보존하기 원하는 병기 la 환자에서는 보존적 수술인 일측 난관난소절제술만 시행하고 추적 관찰하는 것도 치료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