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ruption

검색결과 1,044건 처리시간 0.028초

전자의무기록 팝업차트를 활용한 CRRT 관리의 질향상 활동 (Pop-up Chart for Managing CRRT Improves the Quality of CRRT Care)

  • 고수령;이안나;김기표;진호준;나기영;채동완;김세중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3-51
    • /
    • 2019
  • Purpose: The time lag between the decision to initiate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and its actual initiation remains a major barrier in our intensive care units. We developed a CRRT pop-up chart on EMR for managing CRRT machines. Methods: This study measured time interval between the decision to prepare the CRRT machine and the actual use of the machine before and after using a CRRT pop-up chart.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of the medical staff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quality of CRRT preparation. Results: A total of 95 patients on CRRT is analyzed. The time to find an available CRRT machine is decreased by 24.6%. The time to move a CRRT machine to the patient's bedside is decreased by 55.8%. Medical surveys of 44 nurses gave the following results. 1) The time to apprehend machines for 1 to 3 minutes is improved from 29.5% to 81.8%, and the time to apprehend machines over 3 minutes is decreased from 70.5% to 18.2%. 2) The number (6-all) of known machine locations is improved from 22.7% to 63.4%. 3) Interruption of a nurse's work due to telephone calls asking for the possession of movable CRRT equipment also is improved. Scores of 1-4 are improved from 15.9% to 41%. Scores of 5-7 are reduced from 52% to 15.9%. Conclusions: CRRT pop-up chart is shortened the time lag of CRRT machine preparation, reduced the nurse's phone workload and hel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RRT care.

한국의 초단시간 노동시장 분석 (The Short-Hours Part-Time Jobs in Korea)

  • 문지선;김영미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9-164
    • /
    • 2017
  • 이 글은 근로시간이 주당 15시간 미만에 불과한 초단시간 노동시장의 성장에 주목하여, 어떤 집단에서 초단시간 근로가 증가하고 있고 이들의 노동 상황은 어떠한지 분석한 탐색적인 연구이다. 초단시간 근로는 저학력 고령층 여성, 특히 사별 또는 이혼한 여성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는 여성의 일-가정 양립이나 경력단절에 초점을 둔 정부의 시간제 근로 장려 정책의 결과가 아니었다. 오히려 배우자가 있는 여성도 육아나 가사의 이유보다 원하는 일자리가 없거나 생활비가 필요해서 초단시간 근로를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초단시간 근로란 일-가정 양립을 원하는 여성이 노동시간의 이점을 보고 선택하는 고용형태가 아닌 것이다. 초단시간 노동시장은 사회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저임금에 사회보험과 부가급여도 기대할 수 없는 열악한 특성을 띠고 있었다. 노동 수요와 공급, 정부와 제도 측면에서 볼 때,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 현상은 급증하는 사회서비스의 수요를 민간에 넘긴 정부, 30인 미만 영세 사회서비스업 중심의 초단시간 고용, 주당 15시간 미만 근로에 대한 법적 보호를 배제한 미비한 법제도, 그리고 생계가 급급한 노동공급자라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다. 사별 또는 이혼 상태인 저학력 고령층 여성은 경제적 동기는 강한 반면 시장에는 가장 취약한 집단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저임금 노동으로 초단시간 노동시장이 존재 할 수 있었지만, 고용의 질이 낮은 만큼 이들은 근로빈곤의 함정에 빠져있을 가능성이 높다. 노인빈곤율이 높은 현실과 호출근로같이 열악한 근로조건의 초단시간 노동시장을 감안할 때, 정부의 규제와 초단시간 근로자를 온전하게 보호하는 법 제도 등의 대책이 매우 시급하다.

화재정보 확인과 대피자 위치추적을 위한 서버 독립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erver-independent System to Identify and Communicate Fire Information and Location Tracking of Evacuees)

  • 이치주;이태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77-687
    • /
    • 2021
  •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피자가 화재 위치와 규모 등의 화재정보, 그리고 출구 위치와 대피자 스스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정보를 대피자에게 전송하고 대피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네 가지 도출하였다. 요구사항에는 시스템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크지 않아야 하며, 화재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거리 제한과 추가 장비, 그리고 중앙 서버가 없어도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건물 화재정보를 대피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고, 대피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서버 독립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화재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와 화재정보를 수신하고 대피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화재에 의해서 중앙 서버가 손상되어도 대피자는 개발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화재 위치와 규모, 출구의 위치와 대파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내위치추적에 사용되는 fingerprint 알고리듬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이론적 기초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ingerprint 사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O2O 화장품 배달 서비스 앱의 e-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service quality of O2O cosmetic delivery service app on satisfaction and loyalty)

  • 신태현;신동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92-70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O2O 화장품 배달 서비스 앱의 e-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 총 210부를 수집하여 통계패키지 SPSS 25.0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O2O 화장품 배달 서비스 앱 e-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인 효율성, 주문이행성, 시스템이용가능성, 프라이버시 모두 만족과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 역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2O 화장품 배달 서비스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만족과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이용가능성과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소비자가 O2O 화장품 배달 서비스 앱을 이용하는 동안 빠른 접속과 끊김이 없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야 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도시 정체성과 시공간 구조의 관계 -장률(張律)의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Urban Identity and Time and Space - Focusing on , Zhang Lu's Film)

  • 조명기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3호
    • /
    • pp.151-191
    • /
    • 2021
  • 이 글은, 영화 <군산>이 재현하는 군산 도시 정체성의 내용은 무엇이며 구성 양상은 어떠한지, 그리고 이 도시 정체성 내용과 구성양상이 영화 서사의 구조와 어떻게 호응하는지를 살핀다. <군산>은 군산과 서울을 즉자적인 도시로 전제하는 동시에 상호 영향 관계에 의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도시로 엮어낸다. 영화 서사 시간이 종료되는 서울은 다시 군산 여행을 위한 출발지로 전환되는데, 관객이 사후적으로 회귀하는 두 곳 즉 영화 서사 시간의 시작 지점 그리고 타이틀이 제시되는 지점이다. 이 영화의 여로형 서사 구조는 2차원의 평면적 원점회귀라기보다는 3차원의 입체적 나선형이다. <군산>은 이 나선형의 시공간적 구조 위에서 두 도시의 성격 그리고 도시 정체성의 선험성에 대해 형상화한다. 서울은 거대서사·집단기억과 미시서사·개인기억의 관계를 불가지한 것으로 단절시키는 도시, 관계·기억을 단절시키고 기억의 지속을 부정하는 도시다. 반면, 군산은 거대서사·집단기억과 미시 서사·개인기억이 공존하는 도시며, 단절의식·고립의식이 치유되고 상호 위로받는 도시다. 동시에 영화는 군산을 서울의 잉여, 대타적 공간으로 재현하는 한편 군산의 정체성을 확고하고 즉자적인 것으로도 그린다. 영화는 스토리와 서사구성의 상응을 통해, 군산과 서울을 역사적 단절과 지속이 교호하는 장(場), 상호대타적인 공간인 동시에 완고한 고유성의 공간으로 이해한다. 이 글은, 도시 정체성을 구성하는 시공간적 관계성과 영화 서사의 구조가 호응하는 양상을 살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고유량 비강 캐뉼라 산소요법을 받은 소아중환자실 환아의 ROX Index와 ROX-HR Index 및 SpO2/FIO2 Ratio분석 (Analysis of ROX Index, ROX-HR Index, and SpO2/FIO2 Ratio in Patients Who Received High-Flow Nasal Cannula Oxygen Therapy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 최선희;김동연;송병은;유양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68-47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e of the respiratory rate oxygenation (ROX) index, ROX-heart rate (ROX-HR) index, and saturation of percutaneous oxygen/fraction of inspired oxygen ratio (SF ratio) to predict weaning from high-flow nasal cannula (HFNC)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Methods: A total of 107 children admitted to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were enrolled in the study between January 1, 2017, and December 31, 2021. Data on clinical and personal information, ROX index, ROX-HR index, and SF ratio were collected from nursing recor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χ2 test, Mann-Whitney U test,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Results: Seventy-five (70.1%) patients were successfully weaned from HFNC, while 32 (29.9%) failed. Considering specificity and sensitivity, the optimal cut off points for predicting treatment success and failure of HFNC oxygen therapy were 6.88 and 10.16 (ROX index), 5.23 and 8.61 (ROX-HR index), and 198.75 and 353.15 (SF ratio), respectively. The measurement of time showed that the most significant AUC was 1 hour before HFNC interruption. Conclusion: The ROX index, ROX-HR index, and SF ratio appear to be promising tools for the early prediction of treatment success or failure in patients initiated on HFNC for 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Nurses caring for critically ill pediatric patients should closely observe and periodically check their breathing patterns.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monitor three indexes to ensure that ventilation assistance therapy is started at the right time.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사업 선정평가 지표 개선방안 연구: 후속사업 연계 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Selection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Land Transpor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pport Project: Focusing on the Follow-up Project Linkage Plan)

  • 심형욱;차석기;백승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87-96
    • /
    • 2022
  • 국토교통부는 중소벤처 기업의 보유기술 및 공공기술 이전 및 사업화 지원을 위해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사업을 추진하여 왔으며, 일몰제 적용에 따라 2022년부터는 후속 신규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후속 신규사업의 투자효과 제고 및 우수 연구기관 선정을 위해 사업목적에 맞는 타당한 평가지표 체계의 수립이 필요하다. 후속 신규사업의 평가 지표 체계는 선행사업의 사업목적 및 목표와 연계 되어야 하며, 연구성과 단절 등을 예방하기 위해 기존 평가항목 및 지표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사업 평가위원별 평가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해 평가지표 체계를 다수의 시나리오로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나리오 분석결과, 평가 지표 간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각 경로의 측정효과와 평가항목에 미치는 평가지표별 효과를 고려하여 평가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은 시나리오를 개선방안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

건설 프로젝트 생산성 평가를 위한 측정 기준 수립 (Establishment of Measurement Standards for Productivity Assessment in Construction Project)

  • 김준영;윤인석;정민혁;주선우;박성은;홍영민;조종우;박문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12
    • /
    • 2022
  • 일반적인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계획 수립에 표준품셈 등 작업 물량-투입 품의 비율을 생산성의 기준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방식의 생산성 기준은 표준화된 반복작업이 많은 프로젝트에서 실효성이 높으나, 복잡성이 높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표준적인 생산성 관리 기준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는 기존 프로젝트의 실적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평균적 작업생산성보다는 당해 프로젝트의 생산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양한 작업중단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작업시간의 영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부작업 프로세스에 작용하는 비작업요인의 영향성 산출을 통해 생산성을 평가하고 관리 포인트의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있는 생산성 측정 기준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세부작업 프로세스와 유형별 비작업요인을 정의한 후,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획득가능 생산성 개념을 활용하여 개선 가능한 생산성 향상의 정도와 각 비작업요인별 생산성 저하 영향도를 평가하는 방법론을 수립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에서 수집한 생산성 데이터를 토대로 사례분석을 수행하여 본 연구결과가 건설관리자에게 주요 생산성 관리 포인트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음을 검증한다.

성경신(誠敬信)의 의미 고찰 - 종도 차경석(車京石)의 행적(行蹟)과 성경신 변화 과정을 통한 고찰 - (Consider the Meaning of Sincerity(誠), Reverence(敬) and Faith(信))

  • 유병무
    • 대순사상논총
    • /
    • 제22권
    • /
    • pp.345-385
    • /
    • 2014
  •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 meaning of sincerity(誠), reverence(敬) and faith(信) through Cha gyungseok's historical record. Cha gyungseok(車京石, 1880-1936) is a key disciple of Kang Jeungsan Sangjenim(姜甑山, 1871~1909) to whom Cha kyungseok has begun to follow since 1907, completing his wandering around Yeonghak-gye(英學契), Iljin-hoe(一進會) and Cheondo-gyo(天道敎) after the loss of his father[Cha Jikoo(車致九), 1851-1894] in Tonghak peasants revolution. To examine the meaning of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as cardinal points in Daesoonjinrihoe(大巡眞理會) creed, this research has taken note of Cha kyungseok's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who is said to be thought of himself as a head of Reconstruction Work for the Tonghak spitit's resolution of grievances, despite the Sangjenim's intention of using him for different usage due to his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Especially, emphasis was given to the illumination of Cha gyungseok's change of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through closely reviewing his life prior to the encounter with Sangjenim, the process of following Sangjenim and his whereabouts after the ascension of Sangjenim. In addition, through Jeonkyeong(典經), this research also examines Cha kyeong seok's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along with his ambition contained in that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Up to his ascension, Sangjenim has never saved his advice on Cha gyungseok's ambition. Leaving Sangjenim's advice behind, Cha gyungseok moves on to become a head of the Reconstruction Work for the Tonghak spitit's resolution of grievances without deserting the dream of being the Son of Heaven. Although, he showed his prowess as a religious sect leader called Bocheon-gyo boasting its 6 million believers and as a provisional emperor of the country named Sikuk, he ends his life as a head for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of kings, princes, generals and premiers due to the change of faith on Sangjenim and interruption of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without accomplishing his dream. The feature of past disciples suggests the direction of cultivation for our cultivators. Through Cha gyungseok's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we could look back upon the meaning of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and conclude that a real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is the heart-mind trying to participate in Reconstruction Work of Heaven and Earth with a pure mind, contrary to the one coming out of greed.

성인지적 일·생활균형 조직문화 교육 콘텐츠 개발 : 전남지역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ontent for Gender-Sensitive Work-Life Balance Organizational Culture Education : Focusing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Jeonnam Area)

  • 이유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4호
    • /
    • pp.49-62
    • /
    • 2023
  • 본 연구는 여성의 경력단절예방 및 경제활동촉진을 위한 조직문화를 조성하고자 전남지역의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남녀근로자 대상의 직장문화개선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콘텐츠의 현장활용성, 교안내용의 타당성 및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무담당자 및 전문가의 자문회의를 통해 전남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콘텐츠 설계의 방향 및 핵심 내용 구성을 구체화하였다. 교육 콘텐츠는 성인지적 일·생활균형 조직문화의 이해, 성인지적 일·생활균형의 효과, 성인지적 일·생활균형을 위한 실천의 3개 대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콘텐츠의 방향은 전직원이 기본적으로 개인, 가족, 기업, 사회의 관점에서 일·생활균형의 의미와 조직문화 개선의 취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전남지역 기업의 일·생활균형의 현황을 제시하면서 직장문화개선과 직접 연관된 일과 생활영역의 세부항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일·생활균형의 선순환적 효과와 실천적인 측면에서 각자의 일·생활균형에 대한 권리 이상으로 책임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개인적으로 직장뿐 아니라 가정 및 여가생활에서 성평등한 일·생활균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다양성을 포괄하는 성인지적 관점에서 여성, 남성, 미(비)혼, 기혼, 청년, 노년,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한 제도 및 프로그램을 사례로 설명하고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 우리가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인지적 일·생활균형 교육 프로그램이 여성의 경력단절예방 및 경제활동촉진에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여성새로일하기센터는 기업의 자발적 참여동기를 높이고 일·생활균형 교육 강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