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support smartphone addic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수준 정도에 따른 주의력 조절, 대인관계 지지에 미치는 비교영향 분석 (Comparative Impact Analysis of Attention Control and Interpers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 추연기;배원식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3-192
    • /
    • 2021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degree of addiction on attention control and interpersonal support. Methods : 184 peopl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agre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were randomly sampled. The smartphone self-diagnosis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Attentional Control Questionnaire (ACQ) was used as a tool to measure the degree of attention control. In addition, th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ISEL)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interpersonal support. Results : In comparison of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major, and grad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daily use time of smartphones (p <.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tten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high risk, potential risk, general user group) (p <.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personal support. Conclusion :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was relatively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and users who used it for a long time per day were more addicted. It also showed that attention control was further reduced in highly addictive users.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대인관계 지지의 매개효과 (The College Adapt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Enterent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upport Relationship)

  • 이송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49-15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7년 4월 1일에서 5월 2일까지 G도 소재의 대학에서 전공과 무관하게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63부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과 대학생활 적응, 스마트폰 중독 및 대인관계 지지의 정도를 알아보고 세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의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Baron & Kenny의 Regression방법과 Amos 16.0프로그램의 Sobel test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관관계 분석에서 대학생활 적응은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328, p<.001), 대인관계 지지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r=.490, p<.001) 보였으며, 대인관계 지지는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 -.034 p=.04) 보였다. 매개효과 분석에서 회귀분석의 Baron & Kenny의 3단계 검증결과, 대학생활 적응(${\beta}=-.37$, p<.000)과 대인관계 지지는(${\beta}=.30$, p= .15)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예측변수로 조사되었고 설명력은 32.5%였으며, 대인관계 지지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Sobel test를 시행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지지는 유의한 부분매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Z=2.16, p=.03).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대학 차원의 다양한 대인관계지지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대학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돕고 적절하고 유익한 스마트폰 사용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