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phone

검색결과 998건 처리시간 0.028초

IETF CoAP 기반의 데이터 정제 기법을 이용한 IoT 미들웨어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 Middleware Using Data Refinement Scheme based on IETF CoAP)

  • 왕건;사공준;곽호영;김도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3-128
    • /
    • 2015
  • 최근 IoT(Internet of Things)에서 다양한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표준화 기구에서는 제한된 환경에서 센서나 구동체와 같은 사물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향후 IoT 환경에서 서버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에서 센서로 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구동체에게 명령을 전달하고, 사물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IETF CoAP 을 기반으로 스마트 폰과 IoT 노드사이의 연결 구성을 설계하고, 스마트 폰에서 데이터 정제 기능을 갖는 미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데이터 정제 기법을 이용하여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데이터와 중복 데이터를 확인하고 제거함으로써 제한된 외부 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VoIP 보안 대책 연구 (A Study on the VoIP Security Countermeasure of SIP-based)

  • 장원태;곽진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21-428
    • /
    • 2013
  • 인터넷 응용 기술 중 TCP/IP 기반으로 Voice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기술은 기존의 아날로그 전화보다 통신비용이 저렴하고 인터넷이 이용 가능한 곳 어디서든지 전화 통화가 가능한 장점으로 VoIP 전화 통화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VoIP 기술에 구현되고 있는 Protocol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H.323, MGCP, Megaco/H.248 등이 있으며, 이러한 프로토콜 중 SIP로 동일한 LAN에서 Asterisk IP-PBX를 이용한 SIP Server구성으로 VoIP 서비스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VoIP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단말로는 SmartPhone의 Application, PC의 SoftPhone 등을 오픈 마켓 혹은 인터넷에서 다운하여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SIP Server, 프로그램들만 이용할 경우 VoIP에 대한 공격을 피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Asterisk를 이용하여 SIP server를 구현하고, VoIP 공격 방법 중 대표적인 도청 Test를 실시하여 도청 가능 여부에 대해 기술한다. 이에 도청 공격에 대한 보안 방법으로 TLS를 적용하여 도청 가능 여부를 판별하고, 보안 대책에 대해 연구하여 기술한다.

휴대폰 착신 알림을 위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시스템 설계 (Display System Design for Signifying the Received Signals of the Mobile Phone)

  • 박종안;천종훈;강성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89-294
    • /
    • 2011
  • 휴대폰을 소지할 수 없는 제한된 공간에서 휴대폰 착신 여부를 표시하는 휴대폰 착신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작하였고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휴대폰 착신 알리미 시스템은 위탁 공간에 보관된 휴대폰의 착신 여부를 감지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출하는 휴대폰 데이터 송신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송수신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RF 데이터 중계기 그리고 미소지자에게 휴대폰 착신 상태를 알려주는 착신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구현이 간단하고 저가 설치가 가능하여 시스템 설치 측면에서 경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이용하는 일반 휴대폰 사용자에게도 앱 스토어에 올려놓은 알리미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게 함으로써 경제성과 함께 어느 곳에서나 편리하게 휴대폰 착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편리성도 갖게 된다.

현장 중심 서비스를 위한 응용레벨 모바일 서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pplication Level Mobile Server for On-the-site Oriented Services)

  • 김선일;정진만;윤영선;은성배;소선섭;차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58-368
    • /
    • 2018
  • The mobil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phone are well suited to on-the-site oriented services and are being utilized in a variety of ways. However, since most applications operate on a central server basis, Internet access is inevitable, and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server maintenance cost and security deterioration. Although researches have been proposed to utilize the smart phone itself as a server to improve it, these methods are based on downsizing the PC-based web server or modifying the smart phone kernel. These methods have the problems that a end user has to use the rooting, and they are not able to effectively utilize various communication means of a smart phone.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pplication level smart phone web server. The server receives the document request from the remote via the Internet and in the local area using the WPAN. At this time, the web document is stored as an internal file structure of the smart phone application. We proposed the phttp protocol which uses server's phone number as ID for document request. Through the implementation, we analyzed the capacity and latency of stored data and its effectiveness is evaluated.

자동차 운전 중 자동 응답 및 확인을 위한 스마트 폰 안전 애플리케이션의 연구 (Research on Safe Application Program of Smart Phone for Auto Receiving and Answering during a Car Driving)

  • 홍유식;최명복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3-4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운전 중 스마트 폰 사용에 따른 위험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스마트 폰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한다. 이 안전 앱은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시 운전자의 집중력을 쉽고 자연스럽게 높여 안전 운전을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상황이 발생해서 운전자가 운전을 포기하고 식사를 위해 이동한다든지 또는 관광지로 이동 할 경우에는 운전 중이라는 오류 텍스트를 계속 보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퍼지규칙을 이용한 교통안전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정지 상태 및 차량 이동 상태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했을 때에 갑작스러운 상황으로 운전을 포기하고 식사 및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자동 전송 메시지 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시간 위치기반 예약시스템 구축을 위한 이동통신망과 스마트폰 최적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actical use of Smart Phone for Building of Realtime Location Based Reservation System)

  • 강신관;이정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83-294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의 활성화로 이동통신망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IT 기술과 타 산 업간의 융합 산업의 응용 범위가 더욱 확장되고 있다. 더욱이 R&D 기술들을 다른 분야의 기술개발과 효과적으로 스마트폰과 접목시켜 생활편의를 제공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비엔날레, 영화제 및 엑스포와 같은 대형 행사를 위해 많은 인원이 특정지역에 밀집되는 경우, 이를 통제하기란 매우 어렵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의 증강현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티켓예약 시스템과 이의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한다. 특히, 앱 설계기술을 이용하여 실제 스마트폰-앱 응용기술에 앞서, 사전에 프로토타이핑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VoIP 암호화 기술 연구 (A Study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Encryption in Smart Phone)

  • 천우성;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1-284
    • /
    • 2011
  • 스마트폰은 시간과 장소와 기기의 제한을 받지 않는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전환과 업무에 도입되고 있다. 급속한 스마트폰의 사용 증가는 모바일 업무의 활성화와 행정기관에서도 스마트사회로 전환을 가져왔다.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한 VoIP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지만, 스마트폰과 VoIP가 가지는 무선인터넷 취약점에 노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VoIP서비스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한 암호화 기술을 연구한다. 내 외부 신호 및 통화 암호화와 행정기관 인터넷전화 보안 규격을 연구한다. 스마트폰 VoIP서비스에 대한 기기 인증서 보안과 내부 신호 및 통화 암호화를 연구한다. 본 논문은 스마트 시대에 스마트폰 VoIP사용의 안전성과 사용성에 기여할 것이다.

  • PDF

비만형 당뇨환자의 웹기반 당뇨 교육 효과 (Effects of Web-based Diabetic Education in Obese Diabetic Patients)

  • 김희승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24-93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web-based diabetic education on plasma glucose and serum lipids in obese people with diabetes. Method: A random allocation design wi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being assessed pre- and post-intervention was used. Eighteen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an intervention group and 16 to a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input their blood glucose levels weekly for 3 months at http://www.biodang.com by cellular phone or wire Internet. The researcher sentoptimal recommendations to each patient weekly for 3 months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of the cellular phone and wire Internet. Results: Pati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mean decrease of $1.2\%$ in glycosylated haemoglobin ($HbA_{1}c$) levels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had no difference in HbA1c levels.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change in 2-hour post prandial blood glucose (2HPPG) for the intervention group, with a mean change of -120.1 mg/dl. The mean chang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web-based intervention using SMS of the cellular phone for 3 months improved $HbA_{1}c$ and 2HPPG, but did not affect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obese type 2 diabetic patient.

인터넷 당뇨교육이 여성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ternet-based Diabetic Education on Plasma Glucose and Serum Lipids in Female Type 2 Diabetic Patients)

  • 김희승;김석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11-317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ternet education on plasma glucose and serum lipids in female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assessed by a pre-test and at 3 months, 6 months, 9 months, and 12 months. Fourteen patients were assigned randomly to an intervention group and 15 to a control group. Pati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requested to input their blood glucose levels everyday by cellular phone or wire Internet for 1 year. The goal of the intervention was to keep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close to the normal range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7%). An intervention was applied to the intervention group weekly for 1 year. Optimal recommendations were sent weekly by a short message service from a cellular phone and wire Internet. Results: Pati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significant mean change in HbA1c, from 7.6% at pre-test to 6.9%, at 3 months and equalized at 6.7% at 12 months. There was no significant time and group differences observed in the serum lipid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ternet education would improve and maintain the normal range of HbA1c in female type 2 diabetic patients.

  • PDF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폰 응용을 위한 미들웨어 설계 (Design of a Middleware for Android-based Smart Phone Applications)

  • 오선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7
    • /
    • 2012
  • 스마트 폰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하에서 기존의 웹사이트나 포털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모바일 사용자들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들은 데스크 탑 PC나 노트북 등의 환경에 맞춰져 있어 스마트 폰과 같은 오늘날의 모바일 기기에서는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수정으로 인한 많은 비용이나 시스템 보안에 대한 어려움이 큰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포털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에서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중간에 미들웨어 시스템을 두어 최소한의 수정과 기능 설정만으로 포털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으면서 인트라넷 보안과 스마트 폰 어플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폰 응용을 위한 미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