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tional marriage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1초

중국계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어 교육에 관한 연구 (Second Language Acquisition for Children of Korean and Chinese Multicultural Family)

  • 이춘양;박미숙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67-37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계 결혼이주여성들이 자신의 모국어인 중국어를 자녀들에게 제2언어로 교육하지 못하는 원인을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탐색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한국 거주한지 10년 이상 된 중국인 결혼이주여성 4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들에게 자신의 모국어를 교육하지 못하는 요인은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자신이 한국 환경에 적응하기 바빠 어려서부터 자녀에게 모어 가르치는 것을 소홀히 하였다. 둘째, 자녀들이 한국에서 살아가야하기 때문에 중국어보다 한국어교육에 더 많이 신경 쓰고 있었다. 셋째, 어머니 나라의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어머니의 모어를 배우려하지 않았다. 넷째, 한국인들의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당당하게 자신의 언어와 문화를 교육 시킬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들에게 모어를 가르쳐줄 수 있는 학습기회와 환경을 마련되길 기대한다.

결혼과 출산 간의 관계에서 거주지 선택의 조절 효과 검증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광역화 관점에서- (Moderating Effect of Residential Se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Childbirth - From Perspective of Regional Integration against Local Extinction -)

  • 이수창;김대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1-60
    • /
    • 2023
  • 본 연구는 결혼과 출산 간의 인과적 구조에서 거주지 선택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여 거주지 선택이 출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초혼은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를 위한 재정적 역량, 주거 안정성, 지역 규모, 지역의 경제 상황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재혼 및 외국인과의 결혼은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를 위한 재정적 역량, 주거 안정성, 지역 규모와의 상호작용이 출산에 조절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분석 결과는 결혼 부부가 거주지로 농어촌 지역보다는 중소도시 및 대도시로 선택할 경우가 출산 의사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혼과 출산 간의 관계에서 거주지 선택의 조절 효과를 근거로 광역화를 주장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의견도 존재할 수 있지만,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현재의 결혼 부부 농어촌 지역으로서의 거주 회피현상은 광역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제결혼 남성배우자의 역할수행과 결혼안정성의 관계 (Potential Correlations of Male Spouses' Role Performance and Their Marital Stability in International Marriage)

  • 정의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1-6
    • /
    • 2012
  • 본 연구는 국제 결혼한 남성배우자의 역할수행(일상생활지지, 성생활만족, 부부간 갈등)과 결혼안정성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현재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15일부터 2011년 3월 1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247부가 회수되었고, 그중 불성실하게 기입된 설문지 27부를 제외한 220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수행 중 일상생활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결혼안정성이 높았다. 따라서 일상생활지지와 결혼만족도는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역할 수행 중 부부간 갈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결혼안정성이 높았다. 따라서 부부간 갈등과 결혼안정성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국제결혼 남성배우자의 긍정적 역할 수행은 결혼안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임파워먼트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연구 (Social Work with Marriage Based Immigrant Families: an Application of Empowerment Approach)

  • 윤혜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85-108
    • /
    • 2009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족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도전에 대해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임파워먼트 접근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결혼이민여성의 프로필과 지원서비스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적응관련 쟁점을 정리하였다. 셋째, 적응쟁점을 개인과 가족 관계, 지역사회 관련 및 사회문화 관련으로 구분하고, 임파워먼트 기반 사회복지실천 접근의 내용을 각각의 쟁점별로 거시 중도 미시적 수준에서 논의하였다.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차별화된 접근은 다문화역량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보고, 사회복지사 자신과 사회복지기관, 지역사회의 문화적 편견에 대한인식과 다문화 지식 및 기술의 개발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다문화역량 확보에 대한 사회복지학계와 실천현장의 대응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한국여성과 국제결혼 이주 베트남 여성의 결혼만족도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Korean Women and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an Interracial Marriage)

  • 이복희;이잠숙;안현숙;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4권4호
    • /
    • pp.115-13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여성들의 결혼만족도와 베트남여성들의 결혼만족도를 비교하여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안 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결혼 1년 ~ 5년차 한국여성과 국제결혼 이민자여성 중 베트남여성이며, 2008년 4월 01일 ~ 4월 30일까지 약 30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한국여성과 베트남 여성 각각 150부씩 총 300부를 전국 이민자 여성을 교육하는 상담 교육기관과 국내 국제 결혼정보회사에 협조공문과 함께 우편으로 배포하여 회수하는 방식을 택하였고, 베트남 여성에 대한 자료수집과정에서 베트남 여성의 한글 이해 문제가 제기되어 본 연구는 결혼만족도에 관한 질문지를 베트남어로 번역하여 동시에 사용하였다.

  • PDF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가 결혼과 임신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Marriage and Pregnancy Recognition)

  • 김정애;조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85-93
    • /
    • 2018
  • 본 연구는 C도의 3개 대학에서 227명의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실태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가 결혼과 임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 11월 15일부터 12월1일까지 건강증진행위와 결혼 및 임신에 구조화된 설문지로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요인(개인위생, 영양 식습관, 물질 남용, 운동, 스트레스 관리, 자아실현)은 결혼과 임신 인식에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가 유의미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결혼과 임신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 관리로 나타났다(Non-standardization Ɓ=.845,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임기 여성의 임신 유도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 전문가에 의한 체계적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daptation to Their Communities)

  • 임석회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4-387
    • /
    • 2009
  • 1990년대 중반 이후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는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에 대하여 지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그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접근방법 등의 한계로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요인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전국적으로 광범위한 결혼이주여성 대상의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들의 지역사회 적응에 미치는 유효한 요인들을 단계적 다중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이주여성의 연령과 본국에서의 직업 경력, 지역주민으로서의 정체성, 가정생활의 적응 정도, 배우자의 직업과 연령, 한국으로 결혼이주 전 한국에 대한 지식과 이미지, 국내의 한국인 및 출신국 친구, 주민모임에의 참여 여부 등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추출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한국어 구사능력은 유효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또는 본국인으로서의 정체성도 유효한 변수가 되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 이주 전 배경으로 보면,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지식 등이, 이주 후로 보면, 지역주민으로서의 정체성과 사회적 연결망이 지역사회 적응에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 PDF

농촌지역 취약계층의 주거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 using of Socially Vulnerable in Rural Areas)

  • 고인호;이동숙;윤충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8
    • /
    • 2012
  • Due to difficulty of marriage with women in Korea, unmarried men in countryside tend to have an international marriage. A ratio of international marriage was 3.7% in 2004, but increased by over 10% in 2004 due to the change of population composition in countryside. Without social or national preparation on a multicultural family and an increase of elder who lives alone made problems such as changes of population composition in countryside, a high rate of divorce due to differences on culture and society. These problems are becoming critical problems in countryside, not only for a family. This Study has a purpose as below, Firstly, this study will examine living place of elder who live alone and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ly, characteristics of using each space will be analyzed and then surveyed efficiency and satisfaction. The result of survey will be provided to space planning for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households, the elderly ratio of 70 to 80 units high, and when the elderly become less than 10 years, 51.6%, 77.4% of women were overwhelmingly hig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in the middle or early 2000s when immigration is concentrated and national origin in Vietnam was 66.7 %. Hous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with elderly housing type, the ratio improved to 61.3% is Majority. Type strain and 29% in traditional houses, traditional housing type is 9.7%. And house of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e housing type is 87.5% Majority. The main space of the housing for the elderly, most are usually satisfied. But generally low level of self-determined housing survey confers real. These results have lived a long time because of space adaptation and can be viewed as attachment. For the elderly passive use of space and simplify the Act and heating cooling at the expense of the use of housing space due to the reduction, but multicultural families is the space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ir children because there are more modifications required.

다문화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분석 (The Analysis on Social Network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 김민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69-488
    • /
    • 2012
  • International marriage is composed over 10% among total marriage in Korea. Korea is changing rapidly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researches need to inquire into what the state of 'ethnic communities of the immigrant wives as the minorities' is and how the immigrant wives build and develop the ethnic networks longitudinally. At the beginning, this study tried to know what kinds of social networks the immigrant wives use for the process of being married and for the adjusting to marriage and Korean cultur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FGI and the interviews were applied for the immigrant wives and the specialist groups in metropolitan city DaeGu. 18 interviewees from Vietnam, China, Philippine, etc.. were collected by the snow-ball sampling. The social networks of the immigrant wives in DaeGu were mainly private, but were deterritorialized and reterritorialized actively. They manage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of motherland, and had the networks sticky with relatives, friends, and other immigrant wives from the same countries. Even though they acquired the Korean nationality, they have the transnational identities. But the internet environment of Korea can contribute to activate the social networks for the ethnic communities of the immigrant wives.

다문화가족의 탈영토화와 초국가적 네트워크 특성 (Deterritorialization and Transnational Network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 김민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21-436
    • /
    • 2013
  • International marriage is composed over 10% among total marriage in Korea. This study tried to know what kinds of social networks, especially transnational networks, the immigrant wives use for the process of being married and for the adjusting to marriage and Korean culture, and how their Korean families also are affected by the transnational network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FGI and the interviews were applied for the immigrant wives, the multicultural husbands and the specialist groups in metropolitan city DaeGu. 18 migrant interviewees from Vietnam, China, Philippine, etc. were collected by the snow-ball sampling. 5 husbands were collected from the self-help meet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 The transnational networks of the immigrant wives in DaeGu were deterritorialized and reterritorialized actively. Migrant wives manage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of motherland, and had the networks sticky with relatives, friends, and other fore-immigrant wives from the same countries. Their migrations are characterized as 'chain migration'. Even though they acquired the Korean nationality, they have the transnational identities. They and their Korean families are interrelated and internetworked in exchanging economic resources as goods and money, human beings, love, child caring, foods and culture over local bound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