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mediary expertis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4초

전통시장 상인대학 교육서비스 품질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the Traditional Market Merchant College on Business Performance)

  • 최동규;황희중;송인암
    • 유통과학연구
    • /
    • 제11권10호
    • /
    • pp.81-92
    • /
    • 2013
  • Purpose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of college education on traders' conscious change of business management innovation and diverse sales expertise for a year. The use of traders' conscious changes and sales expertise as variable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parameters related to the active trader's traditional education market is a desirable direction. The method of research reflects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management result, traders' conscious changes, and sales expertise to understand the precise essence and definition of teaching quality at merchant colleg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Moreover, its impact on traders' conscious changes and sales expertise in empirical analysis acts as an intermediary.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leverages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o gather actual proof, sample survey for theoretical research examined 262 valid papers of the 300 papers written by 10 merchants who graduated from merchant's university. First, using the SERVQUAL model, Parasuraman et al. (1996) indicated that for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the configuration of factors is the same as the sympathetic performance, that is, responsiveness and empathy, and traders are aware of these elements. However, our preliminary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raders' university education has been excluded as a component of quality of service in the earlier studies. Moreover, we found that certainty of knowledge, reliability, and sympathy are influenced by challenges and by the changing intentions of merchant consciousness. In addition, our study confirms that improvements in convincing abilities and sales technique have a positive impact. Second, merchants' and traders' expertise are proven to affect business performance. In other words, university education of traders and merchants affects the consciousness of consumers, and changes patterns of sales. Third, the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education and change in the consciousness has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trader, thereby maximizing business performance and acting as an intermediary for verification. Fourth, the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education affects the trader's sales expertise to maximize business performance. Results - To summariz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al services relates to the improv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role of the resulting virtuous cycle. Consequently, we can look for suggestions in the traditional markets, where the Government pays attention to the exterior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to the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the most important aspect is the merchant awareness. That is, a merchant should understand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Several competitor and trend analyses should be conducted to meet customers' expectations positively and proactively cope with any challenges related to changes. Further, expertise in sales and marketing skills need to be acquired to improve customer convincing abilities and develop a customer-oriented mindset.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of business enterprises, new management techniques are required to survive competition by improving traditional markets, which will necessitate more competitive education programs in merchant universities.

참여적 과학기술 거버넌스의 전개와 전망 (The Past and Future of Public Engagement with Science and Technology)

  • 김효민;조승희;송성수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99-147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과학기술학에서 공중의 과학기술 관여가 논의되어온 방식이 갖는 유용성과 한계를 정당화와 실질적 수용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과학기술 전문가의 지식 체계가 포함하는 불확실성과 비전문가의 일반인 지식에 관한 STS의 통찰이 왜 그동안 참여적 거버넌스의 양적, 질적 확산으로 충분히 이어지지 못했는지의 문제를 이론적, 실질적 층위에서 논의하였다. 이어서 어떤 전문성이 참여적 거버넌스의 구성과 지속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예비적인 시도로서 한 사례-제주도 풍력 발전시설 개발과 제도 정비 과정에서 나타난 비전문가의 활동-에 주목하였다. 논문의 주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참여적 거버넌스를 정당화할 수 있는 근거는 시민/비전문가라는 사회 집단이 갖는 어떤 본질적 특성에서 도출할 수 없다. 둘째, 참여의 정당한 조건으로 수용될 수 있는 전문성의 형식과 내용은 사실 진술과 가치 판단의 경계를 재구성하는 수행의 결과로서 사후적으로 부여된다. 셋째, 제주도 풍력자원 공유화 과정에서 복잡한 사회-기술 체제의 실질적 재구성에 기여했던 것은 새롭게 유통될 수 있는 사물-사람의 관계를 만드는 '연계적 전문성'이었다. 넷째, 시민과 전문가의 전문성은 모두 대체가 아닌 보완을 필요로 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참여적 거버넌스에 대한 STS 논의가 실제로 갈등이 발생하고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에 주목하여, 과거와 현재, 사실과 가치, 과학기술과 사회의 경계를 재구성하는 행위자들의 구체적 수행을 분석하는 작업으로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지방정부 차원의 재능나눔 활동 확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usion of Talent Sharing Activities in the Local Government Dimension)

  • 이충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473-48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s an alternative to a new policy of the regional level about actively adopting of the Sharing Culture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 of Talent Sharing activities as an intermediary Sharing activities. To achieve this, We derive a significant outcomes as compared mutual to the center of a volunteer manager and volunteer groups for talent sharing activities in Busan Area. As a result, several suggestion are presented as follow : First, we needed to build for systematic control of talent sharing activities around existing volunteer management institution. Second, Supply and Demand control system is needed to build for talent sharing activities at the local government dimension. Third, To reflect the trend of the people watching the activity with some degree of talent, expertise as a talent sharing activity, Talent sharing volunteers are needed for specialized capability verification. Finally, Sharing activities are needed to settle major policy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alent sharing activity and to expanded budget support of local government at the local government dimension.

ASP방식의 ERP 도입 및 이용의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중소제조업체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the Adoption and Use of the ASP-based ERP Systems)

  • 정중식;권순동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3권3호
    • /
    • pp.29-5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ASP 방식의 ERP 시스템을 도입한 태성공업, 조일공업, 아이캔텍, 뱅뱅어패럴, 인지컨트롤스, 크레원, Y 기업을 인터뷰하여 시스템의 도입 및 이용수준 사례를 연구하였다. ASP 방식의 정보시스템 도입 및 이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입기업, 공급기업, 환경 세가지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도입기업 측면에서 시스템 도입 동기의 명확성, 재정적 준비도, 그리고 CEO의 정보화 의지가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급기업 측면에서는 시스템 공급업체의 기술적 전문성, 고객기업에 대한 지식, 시스템 구축 경험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적 측면에서는 가치사슬 상의 압력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SP 방식의 정보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기업들은 비용 절감 등의 재무적 효과를 얻었고, 특히 도입한 패키지 시스템에 기업 업무 프로세스를 맞춘 경우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 효과를 경험하였으며, 조직 학습 및 성장 측면에서도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중소기업이 ASP 방식의 정보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이용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입기업과 공급 기업, 환경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첫째, 도입기업 측면에서 볼 때, ASP의 도입 동기가 명확해야 하고, CEO는 정보화에 대한 인식과 의지가 높아야 한다. IT 인프라나 재정적 준비가 약한 중소기업도 ASP 방식의 정보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도입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ASP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급기업 측면에서 볼 때, ASP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도입하려면 도입기업은 시스템 공급업체의 전문적 능력과 경험을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 셋째, 환경적 측면에서 볼 때, 시스템 도입기업은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부 환경의 IT 도입 압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도입하기보다는 ASP 방식의 정보시스템을 기업의 효율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분명한 목적과 필요성에서 추진해야 한다. 또한, 가치사슬 상의 IT 도입 압력이 기업의 시스템 도입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 관련기관이나 협회 등은 공급사와 구매사를 포함하는 가치사슬 전체의 정보화가 진전될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PDF

발명영재교육에 관한 학술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Trends in Academic Research on Invention Gifted Education)

  • 이민혜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3권1호
    • /
    • pp.1-28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발명영재교육의 국내 연구들의 양적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들 연구분석에서 내재적 의미와 연결속성을 파악하여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학술연구정보원(RISS)에서 '발명영재교육' 으로 논문을 검색하여 등재후보지 이상의 국내 학술논문 97편을 최종 선정하고, 발행년도, 저자구성, 연구자 소속과 소재지역, 발행 학술지 등 연구일반에 관한 SPSS로 기술적 통계분석을 수행하고, 학술논문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위출현빈도, N-gram, 연결·매개중심성을 살펴보았다. 발명영재교육 학술논문으로 확인된 2007년 이후 증가세를 보이던 추세가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를 정점으로 이후 다시 감소세를 나타냈다. 저자 특성를 기술적 통계분석한 결과, 논문 절반이 공동으로 발표되었고 그 다음으로 다수, 단독의 저자구성을 보이고 있었다. 단독으로 발행된 논문은 연구자 소속이 대학, 연구소, 초등학교, 중학교 소속으로 확인되었고, 협력적 논문은 신진 연구자와 전문 연구자가 협력하는 연구, 전문 연구자 간 협력 연구가 다수였으며, 신진 연구자 간 협력적 연구는 1편에 그쳤다. 발명영재교육 논문이 발표된 지역과 학술지를 살펴볼 때, 일부 지역이나 학술지에 집중되어 있었고,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학술논문 키워드를 이용한 언어네트워크 분석 결과 상위 출현성을 보인 의미 있는 키워드는 창의, 프로그램 등이 확인되었고, 동출현성이 높은 키워드 쌍은 발명영재-창의이었다. 상위의 연결중심성 키워드는 창의, 문제해결·개발·기업 등이 다른 연구주제로 확장하기 위한 중개자 역할을 하며 다양한 주제로 확장 가능한 연구주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매개중심성의 경우 창의, 창의적, 프로그램, 효과 등이 높은 매개중심성을 보여 다른 키워드를 상호매개하거나 중재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키워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발명영재교육의 발전을 위한 국가정책적 대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영재교육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을 높이는 한편,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발명생태문화를 조성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