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ntion of recommendation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26초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상황 추론 추천시스템 (A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ntext Reasoning by Data Mining Techniques)

  • 이재식;이진천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1-59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상황 추론의 기능을 추천 시스템에 접목하였다. 연구의 대상 영역은 음악 추천 분야인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세 개의 모듈, 즉 Intention Module, Mood Module 그리고 Recommendation Module로 구성되어 있다. Intention Module은 사용자가 음악을 청취할 의향이 있는지 없는지를 외부 환경의 상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론한다. Mood Module은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음악의 장르를 추론한다. 마지막으로 Recommendation Module은 사용자에게 선정된 장르의 음악을 추천한다.

  • PDF

일본인 관광객의 국내 화장품 구매 시 점포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Japanese Customers' Cosmetic Store Satisfaction when Tourists Purchase Korean Cosmetic Products)

  • 서현주;황선진;송기은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77-88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cosmetic store attributes that japanese tourists evaluated when purchasing cosmetics in korean cosmetic stores and the effect of those attributes on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Japanese female tourists who had purchase experiences of Korean cosmetics in the stor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using SPSS 15.0.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cosmetic store attributes for Japanese tourists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such as products, store's atmosphere, salesperson and sales promotion.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salesperson and store atmosphere attributes have positive effect on cosmetic store satisfaction. Third, it was shown that stor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urth, Japanese tourists' satisfaction on cosmetic store depends on the frequency of visiting Korea, and preference of the Korean Wave.

미용실(美容室) 고객(顧客)의 선택속성(選擇屬性)이 미용실(美容室) 이용(利用) 후(後) 행동(行動)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beauty salons customers select on behavior after using)

  • 이순여;김성남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2호
    • /
    • pp.32-41
    • /
    • 2007
  •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on purchas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ustomer in beauty salon and providing the revitalization strategies for korean beauty business. For the goal of this study, on purchas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ustomer in beauty salon were reviewed in terms of the purchasing decision-making process on the basis of literature. The survey of beauty salon customers mainly from Seoul was used for positive analysis. In analyzing the research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PC^+$.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The choice factors, the overall satisfaction, the revisit intention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beauty salon customers were all affected in order as service, customer relationship with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ice factors of beauty salon customers and behavior after purchasing(overall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점포선택과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 안경원을 중심으로 - (Influences on Store Sele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s - Centered on Optical Shops -)

  • 차정원;이정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3-92
    • /
    • 2015
  • 목적: 안경원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안경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안경원 선택 속성"이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안경원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 사이에 서울 및 경기북부지역의 안경원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v.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고객들의 안경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스타일 요인들의 순서는 "안정추구 지향", "목표 지향", "문화활동 지향"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관 요인의 순서는 "안정추구 지향", "건강추구 지향"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안경원 선택" 요인들 중에서는 "고객응대"의 항목이 "추천의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다양해진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마케팅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안정추구 지향", "목표지향", "문화활동 지향" 등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고객이 안경원을 선택할 때 21개 안경원 선택항목을 고려하여 안경원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추구 지향", "건강추구 지향" 등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고객들이 "안경원 추천의사"에 긍정적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고객응대"를 잘하면 안경원을 타인에게 추천할 의사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IT환경에서 온라인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이미지와 쇼핑가치, 고객만족 및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and Personality Image, Shopping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the IT Environment)

  • 김경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945-953
    • /
    • 2014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이미지요인을 도출하여 브랜드 개성과 쇼핑가치, 고객만족 및 추천의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은 '활기', '친숙함', '신뢰성', '유능함', '세련성' 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쇼핑가치는 쾌락적 쇼핑가치와 실용적 쇼핑가치로 도출되었다. 셋째,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은 쇼핑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의 쇼핑가치는 고객만족 및 추천의도에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국내 온라인 쇼핑몰시장에서 차별화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온라인 쇼핑 플랫폼의 개인화 추천 시스템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of Online Shopping Platform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로영영;김종기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7-87
    • /
    • 2023
  • 온라인 쇼핑 플랫폼은 개인화 추천 시스템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개인 정보와 행동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마이닝을 통해 소비자에게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잠재적인 쇼핑 욕구를 자극한다. 본 연구는 S-O-R 모델을 기반으로 온라인 쇼핑 추천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양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스템 품질인 다양성과 정확성, 정보 품질인 설득력과 완전성을 외부 자극으로 설정하고, 신뢰 및 지각된 가치에 따른 소비자의 심리상태 하 유기체로 설정하여 구매의도 간에 관계를 탐구하였다.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개인화 추천 시스템의 품질과 정보 품질이 신뢰와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신뢰가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에 대한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지각된 가치는 정보 품질에 대한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추천 시스템이 제공하는 콘텐츠는 소비자 경험을 개선하고 소비자의 수용 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가상 브랜드 체험이 흥미, 몰입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virtual Brand experience using Metaverse on Interest, Immers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장성복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7호
    • /
    • pp.84-92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Z세대를 중심으로 메타버스를 이용한 가상 브랜드 체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에게 어떻게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로 선행연구를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브랜드 체험(일탈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이 흥미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흥미와 몰입이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체험요인들 모두 흥미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흥미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흥미와 몰입이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사만족이 병원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자만족과 재방문의향, 타인추천의향 중심으로- (The Effects of Nurses' Satisfaction on Hospit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Patien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 한주랑;안성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19-430
    • /
    • 2015
  •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기초로 하여 대학병원의 간호사만족도, 간호사에 대한 환자만족도, 병원에 대한 환자만족도, 환자의 병원재방문의향 및 타인추천의향 간의 가설적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성과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5개 대학병원의 간호사 2,079명과 해당 병원의 의료서비스를 받은 6,776명의 환자이다. 연구결과 가설적 모형은 전체적인 적합지수를 고려하였을 때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되었으며, 간호사의 만족도가 환자의 간호사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환자의 간호사에 대한 만족도가 환자의 병원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환자의 병원에 대한 만족도가 병원재이용의향과 타인추천의향 미치는 영향 등의 4개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병원의 경영자와 관리자들이 간호사 만족도를 병원성과의 주요 요소로 포함하여 고객만족전략을 실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천기법별 고객 선호도 및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전자제품과 의류군에 대한 비교연구 (An Analysis of Customer Preferences of Recommendation Techniques and Influencing Factors: A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ic Goods and Apparel Products)

  • 박윤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59-77
    • /
    • 2016
  •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는 점차 다양한 추천기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고객 관점에서 이에 대한 사용의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베스트셀러 추천, MD(Merchandiser)추천, 내용기반 추천, 협업필터링 추천, 그리고 지인추천 등의 다섯 가지 추천기법들에 대한 고객의 사용의도를, 전자제품군 구매 시와 의류군 구매 시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어떠한 요소들이 고객의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추천서비스 사용경험이 있는 전자상거래 사용자 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 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추천기법에 따른 고객의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전자제품군 구매 시에는 베스트셀러 추천기법이, 의류군 구매 시에는 내용기반의 추천기법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의 인물특성, 성격요인, 구매성향, 구매하려는 제품에 대한 인식 및 추천서비스에 대한 인식 등이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적인 영향요소들은 추천기법별로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들에게 제품군 및 개인의 성향에 적합한 기법을 채택하여 추천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웨딩홀 레스토랑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그리고 추천의도 간의 관계연구 - 웨딩홀 및 호텔 이미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Wedding Hall Restaurant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Wedding Hall and Hotel Image -)

  • 김영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52-266
    • /
    • 2016
  • 본 연구는 예삭장과 호텔의 홍보와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예식장과 호텔 서비스 접점이 가장 많은 예식장 식당 하객을 대상으로 예식장 식당 서비스 품질과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 그리고 추천의도 간의 관계, 또 이 인과관계에서 예식장 호텔 이미지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하는 예식장과 호텔 10곳을 선정하여 예식장 식당을 이용하는 하객 332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식장 식당 서비스 품질 중 종업원, 시설 및 환경, 그리고 편리성 서비스 품질은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예식장 호텔 이미지는 음식과 종업원 서비스 품질과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 간에 부(-)의 조절효과가 있는 반면, 시설 및 환경 서비스 품질과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 간에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은 추천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예식장 호텔 이미지는 예식장 식당 고객만족과 추천의도 간에 유의적인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