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nsity of rainfall

검색결과 752건 처리시간 0.028초

강우침투에 따른 화강풍화토 사면의 얕은파괴 특성 (Shallow Failure Characteristics of Weathered Granite Soil Slope in accordance with the Rainfall Infiltration)

  • 김선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810-2818
    • /
    • 2009
  • 본 연구는 화강풍화토로 구성된 절토사면에서 얕은파괴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에 따른 한계투수계수를 산정하고, 국내에 분포하는 화강풍화토의 대표적 물성을 기준으로 절토사면의 파괴면까지의 수평거리, 사면의 경사각, 사면높이 그리고 강우로 인한 포화깊이 등에 따른 안정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계투수계수를 분석한 결과 국내의 지역별 강우특성을 고려한 최대 한계투수계수가 $7.16{\times}10^{-4}cm/sec$의 값으로 나타났다. 최대 한계투수계수 이하의 값을 갖는 국내의 화강풍화토로 구성된 절토사면에서 한계강우강도 이하의 강우가 최소 강우지속시간보다 오랫동안 지속될 때에는 포화깊이에 따른 얕은파괴의 검토가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가상파괴면이 발생하는 수평거리, 포화깊이, 강도정수 변화에 따른 사면안전율의 변화관계를 통해 절토사면의 얕은파괴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Basin Topography and Rainfall Triggering Debris Flow)

  • 김경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C호
    • /
    • pp.263-271
    • /
    • 2008
  • 토석류 위험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토석류가 발생하는 위치의 지형 및 지질 그리고 유발요인 같은 토석류 특징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5년간 고속도로에 피해를 유발시킨 48개소의 토석류에 대하여 유역의 지형 및 토석류 유발 강우자료를 조사, 분석하였다. 토석류는 $0.01{\sim}0.65km^2$의 크기를 갖는 규모의 유역에서 발생하였고 집중강우 시 약 $29{\sim}55^{\circ}$ 지형경사를 갖는 자연사면의 표면 파괴에 의해 주로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석류 유발강우의 경우 재현빈도 2년에서 5년의 강우에도 토석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토석류의 규모는 동일한 유역이라도 강우강도 및 누적강우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도를 고려한 공간강우분포와 1분 강우자료를 이용한 RUSLE의 강우침식인자(R) 산정 및 프로그램 개발 (Spatial Rainfall Considering Elevation and Estimation of Rain Erosivity Factor R in Revised USLE Using 1 Minute Rainfall Data and Program Development)

  • 정충길;장원진;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0-1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1분 상세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RUSLE)의 강우침식도 R의 추정을 위해 2002년부터 2015년까지 14년간 전국 기상청 관측소의 강우 자료를 수집하여 지점별로 새롭게 계산한 연 강우침식도 및 경험식을 산정하였으며 남한전체($99,720km^2$)를 대상으로 연강우침식인자의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1분 강우자료로 계산된 강우침식도와 연평균 강우량의 상관관계로부터 도출된 경험식과의 결정계수($R^2$, determination coefficient)는 0.70~0.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기존의 국내에서 적용된 경험식과 비교하여 실측값과의 정확성이 높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지리요소가 고려된 공간 강우침식인자(R) 분포도를 산정하기 위해 고도가 고려된 공간보간기법(IDW)을 이용하여 연강우량 분포도를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의 1분 강우자료부터의 R 산정 및 1시간 강우자료와의 회귀산정 과정의 방법 및 절차를 일반 사용자가 간단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Python GU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 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단위 자료를 이용한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분석 (Analysis of Rainfall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Minutely Data)

  • 유철상;박창열;김경준;전경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113-12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분단위 강우자료(MMR)를 이용하여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 변량 혼합대수정규분포를 이용하여 강우를 모형화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은 중부지역의 26개 우량관측소 지점자료를 이용 하였으며, 호우 발생 특성별(장마, 태풍, 대류성 강우)로 수행하여 서로 비교될 수 있도록 하였다. 집성시간은 1, 2, 3, 5, 10, 30, 60분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분단위 관측지점 자료는 임의 지점의 분단위 강우강도로 내삽하여 추정하는데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만일 적절한 자료분해 및 내삽 방법론이 구비된다면, 분단위 관측지점 자료를 이용하는 것보다 시자료와 같이 밀도 있는 관측망의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분단위 강우강도 추정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09년 발생한 제천시의 토석류 피해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Damages due to Debris Flow at Jecheon in 2009)

  • 유남재;최영준;이철주
    • 산업기술연구
    • /
    • 제30권A호
    • /
    • pp.95-101
    • /
    • 2010
  • This paper is results of cas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occurred at Jecheon during a heavy rainfall in 2009. The site studied is the mountain area located at Palsong-ri Bongyang-op in Jecheon-si where serious damages due to debris flow were occurred by heavy rainfall during July 7 to July 16 in 2009. Intensity and duration of rainfall causing debris flow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AWS data.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such as initiation, transportation and deposi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field reconnaissance. The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lope where debris flow was triggered were figured out and characteristics of erosion on the bottom and sides of valley during transportation of debris flow were also investigated. The slope and boundary of valley where the debris flow started to be deposited were studied.

  • PDF

강우특성별 최적 우수관망에서의 유출 변화 분석 (Analysis of flow change in optimal sewer networks for rainfall characteristics)

  • 이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76-19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 우수관거 시스템의 근본적인 목적인 내수침수 방재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첨두유출량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우수관망 최적설계 모형(이정호, 2010)[1]을 이용하여 실제 도시유역에 대하여 다양한 인공적인 강우 사상들을 적용하여 실제 강우 발생 시 첨두유출량 저감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적용된 강우사상은 첫째, 설계빈도에 해당하는 강우사상에 대하여 강우의 첨두치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되어 발생하는 강우사상들에 대하여 모의하였다. 둘째, 일정한 강도의 강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연속강우사상에 대하여 모의하였다. 분석 결과 강우의 첨두치가 연속되는 경우 또는 일정한 강도의 연속강우에 대해서도 최적 우수관망에서 첨두유출량이 저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것은 최적화된 우수관망이 시스템 내의 지체 현상에 따른 첨두유출량 감소가 아닌 관망 전체에서의 유입량의 적정 분배에 따른 것임을 나타낸다.

Comput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 and its Regional Variability

  • Kim, Won;Yoon, Kang-Hoon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4권
    • /
    • pp.105-116
    • /
    • 1993
  • Areal Reduction Factor(ARF)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convert point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I-D-F) to areal I-D-F in many countries. In Korea, though ARF was estimated in Han river basin by several researchers, it has some limitations to apply to other regions due to low denisity of rainfall gauging station and shortage of data. In this study ARF has been developed in area of relatively high density of rainfall gauging station, i.e., Pyungchang river(Han river), Wi stream(Nakdong river), and Bochung stream(Guem river) basin by geographically fixed-area method.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mean annual precipitation was presented to use ARE in other areas and its applicability was analyzed.

  • PDF

축분퇴비의 농지환원시 오염부하 포텐셜 평가 (Assessment of Pollutant Loading Potential during Land Application of Animal Waste)

  • 홍성구;이남호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6-74
    • /
    • 2001
  • Pollutant loading potential was evaluated for manure application practices on farm fields, through survey and pot experiments. The survey indicated that most farmers applied the manure during the early spring. About 74% farmers apply the manure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to May. Considering the monthly rainfall amount in this period, the pollutant loading potential is not high. Leachate obtained from pot piled up with manure compost, using a rainfall simulator, showed that average concentrations of COD, SS, TKN, N $O_{3-}$N, TP were up to 2,000mg/L, 240mg/L, 107mg/L, 10mg/L, 50mg/L, respectively. These concentrations could be affected by rainfall intensity and the amount of piled manure compost. Therefore,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practices are recommended to control or minimize of leachate from manure compost piled on farm field.

  • PDF

Bayesian Spatial Modeling of Precipitation Data

  • Heo, Tae-Young;Park, Man-Sik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2호
    • /
    • pp.425-433
    • /
    • 2009
  • Spatial models suitable for describing the evolving random fields in climate and environmental systems have been developed by many researchers. In general, rainfall in South Korea is highly variable in intensity and amount across space. This study characterizes the monthly and regional variation of rainfall fields using the spatial modeling.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spatial prediction with the Bayesian hierarchical modeling (kriging) in order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water resources over space. We use the Bayesian approach in order to estimate the parameters and produce more reliable prediction. The Bayesian kriging also provides a promising solution for analyzing and predicting rainfall data.

밭경사에 따른 강우유출수 내의 비점오염물질 특성 비교 분석 (A study on Compar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in Storm-water versus Steepness of Field Slope)

  • 김기철;최용훈;원철희;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093-1102
    • /
    • 2009
  • This study was focused on analyse Nonpoint source characteristics from Flat slope field and Steep slope field. We performed Storm-water monitering for obtain flow data and concentration data. Totally, eleven times Event was occurred. We calculated EMC(Event Mean Concentration) and Pollutants Loads using data we obtained. As a result, steep slope field has more discharge than flat field. SS value, one of the water quality contents, has largest variation and T-N has least variation. There is runoff differences even though events has same rainfall. We assume that not only amount of Rainfall, but also Rainfall Duration Times, Intensity, Number of Previous Non-precipitation days can affect to Run-of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