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lligent user interface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8초

GripLaunch: a Novel Sensor-Based Mobile User Interface with Touch Sensing Housing

  • Chang, Wook;Park, Joon-Ah;Lee, Hyun-Jeong;Cho, Joon-Kee;Soh, Byung-Seok;Shim, Jung-Hyun;Yang, Gyung-Hye;Cho, Sung-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6권4호
    • /
    • pp.304-313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a novel way of applying capacitive sensing technology to a mobile user interface. The key idea is to use grip-pattern, which is naturally produced when a user tries to use the mobile device, as a clue to determine an application to be launched. To this end, a capacitive touch sensing system is carefully designed and installed underneath the housing of the mobile device to capture the information of the user's grip-pattern. The captured data is then recognized by dedicated recognition algorithms.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user interface system is thoroughly evaluated with various recognition tests.

인관과 로봇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위한 휴대 매개인터페이스 ‘핸디밧’ (A Portable Mediate Interface 'Handybot' for the Rich Human-Robot Interaction)

  • 황정훈;권동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735-742
    • /
    • 2007
  •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 capability of a robot increases as the application of a robot is extended to a human's daily life. In this paper, a portable mediate interface Handybot is developed with various interaction channels to be used with an intelligent home service robot. The Handybot has a task-oriented channel of an icon language as well as a verbal interface. It also has an emotional interaction channel that recognizes a user's emotional state from facial expression and speech, transmits that state to the robot, and expresses the robot's emotional state to the user. It is expected that the Handybot will reduce spatial problems that may exist in human-robot interactions, propose a new interaction method, and help creating rich and continuous interactions between human users and robots.

UML-ITS Usability Evaluation of Intelligent Tutoring System

  • Sehrish Abrejo;Amber Baig;Mutee U Rahman;Adnan Asghar Al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3호
    • /
    • pp.123-129
    • /
    • 2023
  • The most effective tutoring method is one-on-one, face-to-face in-person human tutoring. However, due to the limited availability of human tutors, computer-based alternatives have been developed. These software based alternatives are called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ITS) which are used to tutor students in different domains. Although ITS performance is inferior to that of human teachers, the field is growing and has recently become very popular. User interfaces play key role in usability perspective of ITS. Even though ITS research has advanced, the majority of the work has concentrated on learning sciences while mostly disregarding user interfaces. Because of this, the present ITS includes effective learning modules but a less effective interface design. Usability is one approach to gauge a software's performance, while "ease of use" is one way to assess a software's quality. This paper measures the usability effectiveness of an ITS which is designed to teach Object-Oriented (OO) analysis and design concepts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 (UML). Computer Supported Usability Questionnaire (CSUQ) survey was conducted for usability evaluation of UML-ITS. According to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system's usability survey, all responses lie between 1 to 3 scale points which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and comfortable with most of the system's interface features.

자동화 굴삭시스템을 위한 Task Planning System(TPS) (Task Planning System(TPS) for Automated Excavation System)

  • 서종원;김성근;이승수;김정환;박진웅;이민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226-229
    • /
    • 2009
  • 굴삭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작업 환경은 매우 열악하여 굴삭 조종자는 각종 소음이나 진동, 분진에의 노출뿐만 아니라 산업재해의 위험성 또한 높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타개하기 위하여 현재 국내에서는 2006년부터 지능형굴삭시스템(Intelligent Excavating System)에 의한 자동화된 굴삭기의 개발을 위하여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자동화 굴삭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센싱(sensing)을 통해 획득된 지형 및 주변 환경정보를 활용하여 숙련공의 휴리스틱스(heuristics)를 바탕으로 설계된 모듈을 통해 최적의 굴삭 작업 계획을 세우고, 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실시간 작업진행 상태 파악 및 모니터링(monitoring) 내용을 굴삭기 조종자와 공사 감독관에게 제공하는 Task Planning System의 개발은 생산성, 안전성, 작업의 품질 및 장비의 성능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자동화된 굴삭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는 핵심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 굴삭시스템을 위한 자동화 계획생성 시스템인 Task Planning System의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 내용과 모니터링 및 작업에 대한 최소간섭을 위한 Task Planning System Interface를 소개한다.

  • PDF

Tracking and Interaction Based on Hybrid Sensing for Virtual Environments

  • Jo, Dongsik;Kim, Yongwan;Cho, Eunji;Kim, Daehwan;Kim, Ki-Hong;Lee, Gil-Haeng
    • ETRI Journal
    • /
    • 제35권2호
    • /
    • pp.356-359
    • /
    • 2013
  • We present a method for tracking and interaction based on hybrid sensing for virtual environments.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motion tracking of whole areas, including the user's occlusion space, for a high-precision interaction. For real-time motion tracking surrounding a user, we estimate each joint position in the human body using a combination of a depth sensor and a wand-type physical user interface, which is necessary to convert gyroscope and acceleration values into positional data. Additionally, we construct virtual contents and evaluate the validity of results related to hybrid sensing-based whole-body tracking of human motion methods used to compensate for the occluded areas.

Touch-Face 기반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Edutainment contents using Touch-Face)

  • 송대현;박재완;이칠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36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리나라 전통 음악인 국악을 사용자가 실제 악기가 아닌 가상 악기를 이용하여 체험해 볼 수 있고, 국악에 하나인 판소리를 따라 부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통문양과 기본도형을 이용한 놀이를 직감적 도구인 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직접 터치할 수 있는 지능형 인터페이스 플랫폼인 Touch-Face를 기반으로 조작이 익숙하지 않는 유아 및 아동들이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기반 위에 교육적 콘텐츠는 보다 더 유아 교육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고객 감성 기반의 개인화를 지원하는 에이전트 시스템 (A Agent System Supporting Personalization based on Customer-Emotion)

  • 고일석;김의재;신승수;나윤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13-119
    • /
    • 2002
  • 인터넷의 폭발적인 확산은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사이트를 활성화시켰고 구매나 콘텐츠의 이용과 같은 다양한 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활동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에 대한 경쟁적인 서비스는 웹사이트 운영의 차별화 된 전략을 필요로 하게 만들었고, 개인화 된 서비스의 필요성을 대두시켰다. 개인화를 지원하는 서비스는 주로 고객의 개별적인 특성이나 선호도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자료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감성 커뮤니티에 로그인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생체리듬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생체리듬에 따라 로그인한 사용자의 생체리듬에 가장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감성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의 설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제안한 시스템을 한 사용자 감성 기반의 개인화 된 서비스의 제공은 고객의 충성도의 향상을 통해 웹사이트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위한 모델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인터페이스 (A Model-Based Interface to Cloud Services for Intelligent Service Robots)

  • 최병기;이종욱;박성기;이재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1호
    • /
    • pp.1-10
    • /
    • 2020
  •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로봇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은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비스는 지속해서 변화하고 확장되므로 서비스의 기능 및 데이터 변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일반적이고 유연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모델 기반의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을 통해 변경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표준 서비스 프로파일을 정의함으로써 일반적이고 확장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또한,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활용한 실험을 통해 새로운, 혹은 변경된 외부 서비스에 대해 유연하게 적응하는 결과를 검증하였다.

얼굴과 입 모양 인식을 이용한 지능형 휠체어 시스템 (Intelligent Wheelchair System using Face and Mouth Recognition)

  • 주진선;신윤희;김은이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2호
    • /
    • pp.161-16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을 위한 지능형 휠체어의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주된 목적은 전동휠체어의 조이스틱을 사용하기 힘든 장애인들에게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안전한 이동성을 보장하여 독립적인 삶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얼굴 기울기를 인식하여 휠체어의 회전을 수행하고 입 모양을 인식하여 휠체어의 전진과 정지를 수행 한다. 이러한 얼굴 특징을 인식하기 위해 제안된 시스템은 얼굴 특징 검출기, 얼굴 특징 인식기, 전환기로 구성된다. 얼굴 특징 검출기는 Adaboost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먼저 검출한 후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입 영역을 검출한다. 검출된 결과들은 얼굴 특징 인식기에저 statistical analysis와 K-means clustering을 이용하여 얼굴 각도와 입 모양을 인식한다. 전환기는 인식된 결과들을 휠체어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얼굴 및 입의 움직임으로 휠체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된 지능형 휠체어의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34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을 사용 할 수 없는 장애인들에게 편리한 이동성을 제공하며, 보다 편리하고 친숙한 인터페이스로 사용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Comprehensive architecture for intelligent adaptive interface in the field of single-human multiple-robot interaction

  • Ilbeygi, Mahdi;Kangavari, Mohammad Reza
    • ETRI Journal
    • /
    • 제40권4호
    • /
    • pp.483-498
    • /
    • 2018
  • Nowadays, with progresses in robotic scienc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echanism for human-robot interaction with a low workload is inevitable. One notable challenge in this field is the interaction between a single human and a group of robots. Therefore, we propose a new comprehensive framework for single-human multiple-robot remote interaction that can form an efficient intelligent adaptive interaction (IAI). Our interaction system can thoroughly adapt itself to changes in interaction context and user states. Some advantages of our devised IAI framework are lower workload, higher level of situation awareness, and efficient interac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IAI architecture as our comprehensive mechanism. In order to practically examine the architecture, we implemented our proposed IAI to control a group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nder different scenarios. The results show that our devised IAI framework can effectively reduce human workload and the level of situation awareness, and concurrently foster the mission completion percentage of the UAV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