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ity index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36초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의 신속한 생물평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 수계의 평가 (Rapid Bioassessments of Kap Stream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 염동혁;이성규;안광국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61-269
    • /
    • 2001
  • 본 연구는 하천 수환경 평가기법의 일환으로 multimetric 접근방식인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의 적용방법을 도입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에서 IBI평가를 위해 Karr(1981)가 제시한 12개 메트릭 대신 11개 메트릭을 적용하였으며, 11개 중 5개 메트릭은 국내 수환경 특성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본 평가기법의 적용을 위해 선정된 갑천에서 평균 IBI값은 36(범위:17${\sim]$49, n=5)으로서 fair상태를 보였으나, 조사지점 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제 1,2,3지점에서 IBI값은 49, 45및 41로서 각 지점별 평가등급은 good${\sim]$excellent, good및 fair상태로 분류된 반면, 제 4지점 및 5지점에서 IBI값은 각각 17및 29로서 very poor및 poor상태로 판명되었다. 제 4지점에서 보인 최소 IBI값은 폐수처리장 배출수의 직접적인 영향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이런 수환경의 질적 악화는 4지점에서 내성종우점(50%), 잡식성종 우세(50%)및 비정상어 출현율 증가(43%)를 가져왔다. 한편, 제4지점으로부터 약 5km하류에 위치한 제5지점에서 IBI값은 4지점에서 비해 뚜렷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점 오염원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수질의 회복에 따른 IBI값은 증가로서 사료된다. 본 평가 기법은 빠르게 악화되는 수환경의 현 상태를 생물입장에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 복원의 경우 목표 설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복원 작업후(예, 점오염원 차단, 하천 하상구조의 복언, 수변식물조성 등)수중 생태계 회복 여부를 판별 할 수 있는 핵심적인 도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디바이스 ID 기반의 하이브리드 PKI 공인 인증 보안 기법 (Hybrid PKI Public Certificate Security Method Based on Device ID)

  • 손영환;최운수;김기현;최한나;이대윤;오충식;조용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13-12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사용자 인증의 초석인 인증서의 원천지 무결성 보장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써, PKI 인증서 인증기법에 디바이스 ID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공인 인증 기법을 제안하여 기존 하이브리드 PKI 공인인증서 인증기법에서의 사용자 편의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의 특징은 크게 다섯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사용자 스스로 각각의 인증 상황 및 보안 수준에 맞는 정책을 선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정책별 디바이스 ID의 해시 값인 DLDI Key(Device Location Dependence ID Key)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 인증서의 원천지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셋째, EOTP Key(Event of One Time Password Key)를 통해서 인증서를 암호화, 복호화 하는 키의 값을 매 인증 시도마다 변경시킴으로써 보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넷째, 인증서에 Index 값을 추가시켜 멀티 디바이스에 인증서의 저장이 가능하다. 다섯째, 보안 카드 등 인증서의 원천지 무결성 보장을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치 않아, 인증 처리 시간의 지연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인증 서버의 연산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수재이용에서 전처리 막 손상에 의한 수질변화가 SDI에 미치는 영향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nge by Membrane Damage to Pretreatment Process on SDI in Wastewater Reuse)

  • 이민수;서동주;이용수;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32권4호
    • /
    • pp.253-26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하수 재이용을 위한 역삼투막 공정에서 전처리 정밀여과막(MF) 손상에 대한 누출되는 다양한 수질변화로써 막 손상 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역삼투막 유입수질 적합성 평가지표인 SDI (silt density index)를 3에서 5의 범위 내에서 막 손상 시 검지 감도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전처리 분리막이 1에서 3가닥 파단에 따라 SDI는 1.92에서 6.11까지 증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3을 기준으로 역삼투막 유입수질로 설정하였을 때 분리막이 3가닥까지 파단이 되어야만 막 손상 검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역삼투막의 오염은 잠재적으로 가속화되어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누출되는 입자성과 유기물질에 대하여 0.45 ㎛ 이상의 크기만 걸러주는 입자계수는 입도분포별 막 파단 개수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TOC 농도는 약 2배의 변화패턴으로써 SDI와의 상관관계로써 TOC가 막 손상 수질지표로써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질분석결과와 더불어 USEPA에서 제시하는 막 손상 검지 방법 중 압력손실시험과 이를 기반으로 LRVDIT 모델의 적합성 평가를 한 결과 막 손상 또는 역삼투막 공정으로 유입되는 막오염물질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SDI 및 TOC를 포함한 LRVDIT 모니터링과 UCL 설정을 병행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 환경에서 순서 보존 암호화 기법을 이용한 질의 결과 무결성 검증 기법 (A Query Result Integrity Assurance Scheme Using an Order-preserving Encryption Scheme in the Database Outsourcing Environment)

  • 장미영;장재우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97-106
    • /
    • 2015
  • 최근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Outsourcing) 환경에서 데이터 보호를 위한 암호화 기법 및 질의 결과 검증 기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아웃소싱 데이터 암호화 기법들은 원본 데이터베이스 도메인 정보를 알고 있는 공격자에 의한 순서 매칭 공격 및 카운팅 공격에 취약한 문제점을 지닌다. 기존 질의 결과 무결성 검증 기법은 질의 결과 검증 데이터 전송 오버헤드 문제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보호를 위한 그룹 순서 보존 암호화 인덱스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질의 결과 무결성 검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순서 보존 암호화 인덱스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 하고, 복호화 없이 질의를 수행한다. 또한, 힐버트 커브를 통해 그룹 정보를 은닉함으로써, 질의 수행 과정에서 데이터 그룹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주기함수 기반 그룹 분할 및 그룹 기반 인증을 통해 질의 결과 무결성 검증을 위한 데이터 크기를 감소시킨다.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버킷 기반 인증 기법에 비해 질의 처리 시간 측면에서 평균 1.6배, 검증 데이터 오버헤드 측면에서 최대 20배의 성능을 개선함을 보인다.

Application of a Sediment Quality Index to the Masan Bay, Korea

  • Shim, Won-Joon;Hong, Sang-Hee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367-378
    • /
    • 2007
  • A sediment quality index (SQI) and a mean sediment quality guideline quotient (M-SQGQ) were applied for the assessment of sediment quality in Masan Bay, Korea where metals and organic pollutants are of concern. The SQI was calculated by two functions, 'scope' (the number of variables that do not meet guideline objective) and 'amplitude' (the magnitude by which variables exceed guideline objective), with six different sediment quality guideline values from Canada, USA and Australia/New Zealand. Categorization of sediment quality was on the basis of SQI scores. The SQI values were compared with six guideline values applied as well as with the M-SQGQs. The SQI values were severely influenced by a few variables of high exceedance in the degree of non-compliance. The SQI values were very dependent on both the numbers and values of guideline variables used in index caluculation. Nevertheless, the SQI could provide integrated and simplified information from a large number of chemical data set. It is required to further evaluate protocols and guideline applied for deriving SQI and to compare it with field based sediment toxicity test and ecosystem integrity.

전자 카탈로그에 대한 효율적인 색인어 통계 정보 관리 방법 (Efficient Management of Statistical Information of Keywords on E-Catalogs)

  • 이동주;황인범;이상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17
    • /
    • 2009
  • 전자 카탈로그는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 문서로, 전자 상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 전자 카탈로그는 지속적으로 추가, 수정 혹은 삭제되면서 최신의 상태로 유지되게 되는데, 전자 카탈로그의 양이 많아지면서 중복이 발생하고, 부적합한 분류에 할당되는 등, 품질 유지 문제가 발생한다. 검색, 중복확인, 자동분류는 카탈로그 품질 관리를 위해 중요한 기능들인데, 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카탈로그에서 추출된 색인어들의 통계 정보를 활용한 확률 모델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다루어 졌기에, 카탈로그 관리 시스템이라 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모델들이 공유하는 데이터와 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 기능을 위한 확률모델을 정리하고, 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구현하고, 통계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실체화 뷰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응용의 개발 비용과 데이터 무결성 저해요인을 제거하였다. 다량의 실제 전자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실험을 통해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구현이 속도와 정확성에 있어 실용성이 있음을 보였고, 응용을 통한 통계 정보갱신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실체화 뷰를 활용한 통계 정보 관리 기법의 효용성을 보였다.

  • PDF

물리·생물·화학인자를 고려한 하천자연도 평가 : 목감천 하류 구간을 대상으로 (Assessment of Stream Naturalness Considering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Factors)

  • 강원구;정은성;이길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8-227
    • /
    • 2011
  • The objective approach for assessment of stream naturalness is an essential part of the stream restoration project. This study proposes the methodology for the assessment of stream naturalness considering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factors. Physical factors consists of riffle and pool, river bed material, bank protection, floodplain vegetation and levee materials; biological factors are benthic macroinvertebrate, KSI (Korean Saprobic Index), and IBI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and chemical factors are pH, DO (dissolved oxygen), and TP (total phosphorus). This procedure is applied to the Mokgamcheon. As a result, the downstream of Mokgamcheon (zone I) needs the prompt improvement of stream naturalness, compared to the others (zone II and III). This evaluation technique will be an effective tool to quantify the stream naturalness and can be used to set the target of stream restoration project.

Original Identifier Code for Patient Information Security

  • Ahmed Nagm;Mohammed Safy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7호
    • /
    • pp.141-148
    • /
    • 2023
  • During the medical data transmissions, the protection of the patient information is vital. Hence this work proposes a spatial domain watermarking algorithm that enhances the data payload (capacity) while maintaining the authentication and data hiding. The code is distributed at every pixel of the digital image and not only in the regions of non-interest pixels. But the image details are still preserv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evaluated using several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the mean square error (MSE), the mean absolute error (MAE), and the peak signal to noise Ratio (PSNR), the universal image quality index (UIQI) and the structural similarity index (SSIM).

주거단지 건설이 하천에 미치는 생태영향평가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long with Construction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 안광국;한정호;이재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5호
    • /
    • pp.631-648
    • /
    • 2012
  • The integrative ecological approaches of chemical assessments, physical habitat modelling, and multi-metric biological health modelling were applied to Gwanpyeong Stream within Gap-Stream watersheds to evaluate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constructions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For the analysis, the surveys conducted from 45 sites of reference streams within the Gap-Stream watershed and 3 regular sites during 2009 - 2010. Physical habitat health, based on the habitat model of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QHEI) declined from the headwaters(good - fair condition) to the downstream(poor condition). Chemical water quality, based turbidity and electric conductivity(EC), was degraded toward to the downstream, and especially showed abrupt increases, compared to the values of control streams(CS). Also,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 in the downstreams were greater compared to the control stream(CS), indicating an eutrophication. Biological health conditions,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IBI) using fish assemblages, averaged 19.3 which is judged as a fair condition by the biological criteria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 comparisons of model metric values in sensitive species and riffle-benthic species on the Maximum Species Richness Line(MSRL) of 45 reference streams indicated a massive disturbances in all sampling locations. Also, tolerance guild and trophic guild analyses suggest that dominances of tolerant species and omnivores were evident, indicating a biological degradation by habitat disturbances and organic matter pollutions. There was no distinct longitudinal variations of IBI model values from the headwater to the downstream in spite of slight chemical and habitat health gradients among the sampling sites. Overall, integrative ecological health(IEH) scores, based on the chemical, phys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were low compared to the 45 reference streams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disturbances of massive constructions of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This stream, thus showed a tendency of typical urban streams which are disturbed in the chemical water quality, habitat structures, and biological integrity. Effective stream management plans and restoration strategies are required in this urban stream for improving integrative stream health.

평림천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 평림댐 상·하류 수질 및 하천건강성평가와 함께 - (A Study on Fish Community in Pyeonglim Stream - with Water Quality and Stream Health Assessment in Up- and Downstream of Pyeonglim Dam -)

  • 서진원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3호
    • /
    • pp.151-160
    • /
    • 2009
  • In order to use fundamental data for conservation of species diversity and stream health with dam development, fish investigation in up- and downstream of Pyeonglim Dam was seasonally conducted in 2007~2008. In addition, data of water qualities, investigated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ere used to determine a water quality standard level in Pyeonglim Stream, and it revealed that water environment condition was good in the stream.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4 study sites was 5,449 representing 9 families 25 species, and there were 8 Korean endemic species (32.0%) including Rhodeus uyekii, Squalidus gracilis majimae, and Microphysogobio yaluensis. Two species of Zacco temminckii (37.5%) and Zacco platypus (26.3%) were dominant and subdominant in all sites. There were few individuals of the $2^{nd}$-class endangered species (Sand lamprey, Lampetra reissneri) and the introduced species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found in the upstream of the dam. and further investigation for conserv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and for prevention of the introduced species is needed in future. With fish fauna and multi-metric health assessment model in each sampling attempt, index of biotic integrity(IBI) was evaluated and it resulted mostly in good(26~35) and excellent(36~40) condition in all sites.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not onl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th fish composition but also stream health assessment in order to conserve healthy aquatic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