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 medium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9초

Parallel computation for transcendental structural eigenproblems

  • Kennedy, D.;Williams, F.W.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권5호
    • /
    • pp.635-644
    • /
    • 1997
  • The paper reviews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exact methods for the computation of transcendental structural eigenvalues, i.e., critical buckling loads and natural frequencies of undamped vibration, on multiple instruction, multiple data parallel computers with distributed memory. Coarse, medium and fine grain parallel methods are described with illustrative examples. The methods are compared and combined into hybrid methods whose performance can be predicted from that of the component methods individually. An indication is given of how performance indicators can be presented in a generic form rather than being specific to one particular parallel computer. Current extensions to permit parallel optimum design of structures are outlined.

하이퍼 카드를 응용(應用)한 도서관 이용자(利用者) 교육(敎育) (Library User Education using HyperCard)

  • 탁혜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25권3호
    • /
    • pp.1-27
    • /
    • 1994
  • HyperCard는 하이퍼텍스트의 개념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운영 프로그램이나 하이퍼미디어를 이용한 교육매체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HyperCard의 개념,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HyperCard 프로그램을 도서관 이용자교육에 응용한 예를 들었다.

  • PDF

e-Learning을 위한 도형학습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iagram Learning System for e-Learning)

  • 임미애;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23-532
    • /
    • 2005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 영역에서는 도형 움직이기나 쌓기나무와 같이 학생들의 공간 감각 형성을 위한 학습 내용이 새롭게 도입되었다. 그러나 실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교수 활동의 어려움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 또한 낮은 편이다. 도형 학습을 비롯한 초등학교에서의 수학 교육은 실물의 조작을 통하여 이루어졌을 때 가장 효과적이겠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여건상 실물을 통한 학습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절한 웹 자료를 활용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겠으나 공간개념 형성 학습은 본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학습 내용이기 때문에 웹 기반 학습 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간감각 증진을 위한 학습 내용을 추출하여 학습자 스스로 웹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들 사이에, 또는 학습자와 교사 사이에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도형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애니메이션을 통하여 원리를 이해하도록 하고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게임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개발하였다.

  • PDF

지성에 대한 학습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The Contents Construction for Learning a Region)

  • 윤옥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3-168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리교육과정에 따라 진행되는 지역에 대한 학습이 가지는 문제점과 지역에 대한 개념형성에 작용하는 학생들의 지역인식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지역학습 내용을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학습을 원활하게 이루기 위해 우선 학생들이 지역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지역개념의 변화 경향을 검토하고 학생들의 이해수준을 고려하여 지역학습의 주요 요소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한 지역학습의 주요 요소는 셋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지역의 정의, 지역의 형성, 지역의 체계이다. 지역학습이 이러한 요소를 중심으로 중간적 수준의 학습지역을 설정하여 이루어질 때 학생들은 지역에 대한 보다 의미있는 이해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지역학습을 위한 적절한 지역범위 선정에 있어 스케일 개념을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따라 효과적 학습내용 구성의 성공여부가 달려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구과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협동기술 훈련의 효과 (Effect of Cooperative Skill Training on Problem Based Learning for Science Class)

  • 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27-335
    • /
    • 200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협동기술 훈련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통제집단, 문제중심학습 집단, 협동기술 훈련을 한 문제중심학습 집단의 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과학 성취도와 자아존중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협동기술 훈련에 무관하게 문제중심학습이 전통적 수업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능력이 중간인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는 협동기술 훈련을 한 경우, 전통적 수업 집단보다 과학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협동기술 훈련이 학습능력이 중간 이하인 학습자에게서 발생하는 무임승객효과를 줄이고 소집단활동의 협력적인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아존중감은 문제중심학습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학습능력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구성주의적 사회과교육을 위한 웹기반 가상공간에서의 경험학습방안 (The Study of Experiential Learning on Web-Based Cyberspace for Constructiv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 황홍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1-217
    • /
    • 1998
  •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을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웹기반 가상공간에서 경험학습방안을 검토하였다.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은 인지적 구성주의에서 사회문화적 구성주의로,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에서 인지적 구성주의로, 공동구성주의로 이행되는 것이 사회과교육의 목적 내지 목표와 부합될 수 있다. 구성주의적 사회과교육의 목적 내지 목표를 실현할 교수-학습활동을 위해 웹활용 교육(Web-Based Instruction)은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웹활용교육은 자칫하면 학습자가 수동적으로 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교수-학습활동이 비구성적으로 되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구성주의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학습의 현장으로서 웹기반 가상공간은 특히 지역학습을 위한 장으로서 매우 유용하여 활용할 가치가 증대되며, 실제로 그 지역에 가지 않고서 답사와 조사를 할 수 있어 경험학습의 장으로 활용하기에 좋다.

  • PDF

컴퓨터를 활용한 수학학습에서의 사회적 측면 (Social aspects of computer based mathematics learning)

  • 류희찬;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63-278
    • /
    • 1999
  • Computer with various powerful functions has profound potential for mathematics instruction and learning. As computer technology progress, its applicability to mathematics education become more comprehensive. Not only its functional development but various psychological positions also changed the way computer technology utilized in mathematics education. In behaviorist's perspective, computer viewed as a teaching machine and constructivist viewed computer as microworld where students could explore various mathematical contents. Both theoretical positions emphasized individual aspect of learning because behaviorist tried to individualize learning using computer and constructivist focused on the process of individual construction. But learning is not only a individual event but also a social event. Therefore we must take social aspect into account.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it comes to computer based learning. So far, mathematics loaming with computer weighed individual aspect of loaming. Even in microworld environment, learning should be mediated by teacher and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In this aspect, the roles of teacher and peers are very importan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 sheds light on the computer based learning. In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idea of scaffold is very important in learning and students gradually internalize the social dimension and scaffolding is gradually faded. And 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eacher and more competent peers guide students to formulate their own understanding. In sum, we must take following points into account. First of all, computer should not be viewed as a medium for individualized teaming. That is, interaction with computer should be catalyst for collaborative activities with peers. So, exploration in computer environment has to be followed by small group activities including small group discussion. Secondly, regardless of the role that computer would play, teacher should play a crucial role in computer based learning. This does not mean teacher should direct every steps in learning process. Teacher's intervention should help student construct actively. Thirdly, it is needed to conceptualize computer in learning situation as medium. This would affect learning situation and result in the chang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Computer to be used effectively in mathematics classroom, researches on assessment of computer based learning are needed.

  • PDF

통신망기반 소집단 협동학습의 실천적 전략탐색 (Exploration o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Network-Assisted Cooperative Learning)

  • 최성희;전영국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1-41
    • /
    • 2000
  • 소집단협동학습은 학습자가 지식의 습득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으로 학업 성취와 함께 상호작용 기술의 습득, 학습의 동기유발, 나아가 창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다. 정보의 급증과 함께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현 시점에서 교육현장에서 시행되는 협동학습은 더욱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교수매체로서 통신망의 도입은 기존에 교실에서 수행되어온 소집단 협동학습에 새로운 조명을 가져온다. 그러나 통신망이 협동학습을 도와줄 수 있다는 교육적 기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 및 전략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협동학습에 유용한 통신망의 특성을 기반으로 기존의 협동학습 모형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교실 수업에서 교수-학습의 도구로서 통신망기반 소집단 협동학습의 실천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Classroom: A Comparative Study

  • Davaanyam, Tumenbayar;Tserendorj, Navcha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81-88
    • /
    • 2015
  • This study used a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classroom. To this end, 131 first year university students with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ok part in the study. While ICT-based approach was used as the main medium of instru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 paper-based traditional method was used. A survey adapted from Davaanyam [Davaanyam, T. (2013).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ongolian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motivational belief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mathematics achievement. Ph. D. Dissertation. Jeonju, Jeonbuk, Korea: Chonbuk National Unversity.] was used to gather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in regard with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That is to say,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through ICT tools acquired higher levels of self-regula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structed throug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과학과 수업 방법의 요인분석 연구 (A Study on Factor Analysis of Science Teaching Methods)

  • 홍성일;우종옥;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4-40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d analyze the science teacher's teaching methods. A total of 35 teaching methods were abstrac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lating literatures.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frequencies of using methods was developed and then tested to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he Results of two factor analysis methods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struments's reliablity coefficient(Cronbach ${\alpha}$) was 0.7707. The teaching methods which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have used frequently were represented as the proposing of the learning objectives, the deductive teaching, the experimental activities by teacher's guide, the summarization after explanation, the reading text etc.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y have not use the diagnostic evaluation, the formative evaluation, the experimental activities by student's design, the instructional medium.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1st factor included 13 teaching methods and 2nd and 3rd factor included 9 and 7 methods respectedly. The meaning of 1st factor was interpreted to stimulate student's learning motives. And the other's were about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s were overlapped or more fined. These were due to the structure of fac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