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ant food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3초

인스탄트 메밀국소가 백서의 소화흡수율, 간장 및 혈청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Instant Buckwheat Noodle on Digestibility and Lipids Profiles of Liver and Serum in Rats)

  • 최용순;안철;심호흠;최면;오상룡;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78-483
    • /
    • 1992
  • 인스탄트 메밀국수가 백서의 소화율, 성장율 및 조직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할 목적으로 정제사료에 탄수화물원으로서 설탕, 인스탄트 소맥면 및 메밀면 (소맥분중 10 및 30% 함유) 섭취군으로 4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설탕섭취군보다 다른 3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실험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의 식이 탄수화물원의 차이는 조소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혈청 및 간장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각군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및 간장의 중성지질의 농도는 메밀면 섭취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스탄트(알파화) 메밀면(30% 함유)은 다른 주요 영양성분의 소화율에 장애를 주지 않으며, 완만하게 중성지질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즉석 추어탕을 냉동 건조미꾸라지의 저장성 (Storage Stability of Freeze Dried Loach for Instant Choo-o-tang)

  • 류홍수;문숙임;이수정;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3-160
    • /
    • 1999
  • Storage stability of boiled and freeze dried loach and antioxidative effec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were studi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in development of instant choo o tang(Korean traditional loach soup). Packaging and storage temperature did not cause a measurable change in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and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within 45 days of storage but remarkable quality changes were occurred in all samples stored after 60 days. Vacuum packaging and low temperature storage(4 oC) had some effect in retarding protein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delay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 oxidation. Maximum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were reached in 15 days, and there were a slow(TBA value) and rapid reduction(POV) after peaks were reached. In contrast, increasing brown pigment development and fluorescence intensity continued until 90 days of storage. Treatment of ethanolic extract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prior to freeze drying could protect against lipid oxidation of freeze dried loach products.

  • PDF

커피를 고지방식이에 첨가하였을 때 흰쥐의 체중, 혈중 지질 및 leptin 농도와 지방세포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tant Coffee on Weight, Plasma Lipids, Leptin, and Fat Cell Size in Rats Fed on a High Fat Diet)

  • 강금지;최성숙;한혜경;김관중;권소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78-48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체중이 약 170g정도인 Sprague-Dawley 수컷 쥐에게 AIN 93식이를 변형한 고지방식이와 고지방식이에 커피의 농도를 0.6%, 1.2% 및 2.4%(w/w)로 섭취시켜 6주간 사육하여 체중증가량, 체내 지방량, 혈장에서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과 leptin의 농도와 부고환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크기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체중 증가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지만 0.6% 커피 섭취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이이용효율은 0.6% 및 1.2% 커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내 지방량은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0.6% 커피 섭취군의 체지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중성지방의 농도는 2.4% 커피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다른 커피 섭취군에 비해 낮았고,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커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맥경화지수는 2.4% 커피 섭취군이 다른 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Leptin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가장 많은 0.6% 커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커피 섭취량이 많아질수록 leptin 농도는 낮아져 1.2% 및 2.4% 커피 섭취군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고환지방 조직의 지방세포 크기는 각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0.6% 커피 섭취 시 순환기계질환의 원인이 되는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순환기계질환을 예방해주는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동맥경화지수도 고지방식이를 먹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커피 섭취량이 가장 많은 2.4% 커피 섭취는 체중증가량, 식이이용효율, 중성지방 및 leptin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모형을 활용한 어린이 식생활 교육 매체 개발 (Development of Food Replicas as Dietary Education Materials for Children)

  • 홍경희;김순미;엄민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34-44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hildren-friendly education materials based on food replicas for the dietary education of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current dietary problems and dietary education for children, five education themes were chosen: balanced diet, seasonal food, traditional food, noodle culture, and making instant noodles. A total of 304 key food items for food replica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hemes: six basic food groups (113 items), balanced meals (37 items), dietary habits (74 items), spring foods (13 items), summer foods (17 items), autumn foods (16 items), winter foods (11 items), Korean traditional foods (52 items), Korean native noodles (18 items), noodles from foreign countries (19 items), and making instant noodles (46 items). Next, a food replica database was developed consisting of name of the food, picture, size, ingredient, recipe, reference, and attached code. Powerpoint slides and teaching plans for all education themes were developed utilizing the food replicas in order to rais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serving size and intake amount. This research provide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food replicas as effective dietary education material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us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 school programs, community health centers, or food companies.

Tea bag 포장한 멸치 복합 분말의 가공 및 그 추출물의 정미성분 (Processing of anchovy based powder for instant soup packed in tea bag and the taste compound of its extractives)

  • 이호연;정부길;이정석;김풍호;김진수;이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71-276
    • /
    • 1993
  • 멸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식용화하기 위하여 멸치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우리나라 사람의 기호에 맞으면서 엑스분의 함량이 많아 즉석수우프의 원료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표고버섯, 다시마, 가쓰오부시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복합 분말을 가공하여, 간편성 및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tea bag으로 낱포장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본 시제품 추출물의 정미성분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멸치를 주원료로 한 복합 분말은 혼합물에 대하여 30mesh 정도로 분쇄한 마른멸치, 다시마, 표고버섯, 가쓰오부시를 각각 72%, 14%, 7% 및 7%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복합 분말은 공기투과도가 $65\;m^3/m^2/min$ 또는$100\;m^3/m^2/min$인 tea bag에 포장하여 간편성을 도모하였다. 추출물의 총질소함량을 통한 추출속도, 색조 및 관능검사의 변화로 미루어 볼 때 최적 추출시간은 tea bag을 하지 않은 대조시료의 경우 3분, 공기투과도 $100\;m^3/m^2/min$인 tea bag으로 포장한 제품의 경우 5분, 공기투과도 $65\;m^3/m^2/min$인 tea bag으로 포장한 제품의 경우 20분 이상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멸치를 주원료로 하는 복합 분말은 공기투과도 $100\;m^3/m^2/min$인 tea bag에 포장한 것의 경우 대조제품에 비하여는 간편성이 있었고, 추출율로 볼 때 공기투과도 $65\;m^3/m^2/min$인 tea bag에 포장한 것에 비하여는 경제성이 있어 공기투과도 $100\;m^3/m^2/min$인 tea bag에 포장하여 추출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멸치를 주원료로 하는 복합 분말추출물의 맛에는 멸치의 맛성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쳐 histidine, proline, lysine 및 taurine 등의 유리아미노산과 IMP 등의 핵산관련물질이 주체를 이루었고, 총 creatinine, betaine, TMAO 등이 보조적으로 관여한다고 판단되었다.

  • PDF

조 배유 특성별 분말 즉석 죽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wdery Instant Porridge by Characteristics of Endosperm of Foxtail Millet)

  • 고지연;송석보;최명은;우관식;최지명;곽도연;김기영;정태욱;고종철;오인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5-473
    • /
    • 2016
  • 영양 및 기능성이 높은 조의 다양한 수요 창출을 위하여 배유 특성이 다른 조를 대상으로 분말 즉석 죽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징 및 조리 특성 등의 품질과 항산화 활성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으로 사용한 조 원료곡은 메조 삼다메, 차조 삼다찰을 사용하였고, 물만 부어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전분의 호화 후 노화를 막는 가공처리로서 1) 건조곡 볶음, 2) 수침곡 볶음, 3) 찐 후 급속냉동, 4) 팽화처리하고 대조로 5) 원곡을 사용하였다. 재료의 수분 흡착능을 알아보는 WAI는 팽화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원료곡에 따라서는 차조가 높았다. 즉석 죽 가루의 RVA 특성은 메조의 경우, 가공처리 후 전체적으로 점도 및 setback이 저하되어 열과 수분에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차조는 가공 처리된 즉석 죽을 재호화함에 따라 점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즉석 죽 가루에 뜨거운 물에 부었을 때의 점도는 건조곡 볶음가루 죽은 원료곡 가루죽과 점도 차이가 크게 없었고, 메조는 팽화처리, 차조는 찐 후 냉동건조, 수침곡 볶음 및 팽화처리 분말에서 즉석 죽으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점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찐 후 냉동건조를 제외하고는 가공처리에 의해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가공처리 중에는 팽화처리 시 원료곡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의 1.5배, 1.7배로 가장 증가가 컸다. 배유 특성 및 가공처리별 즉석 죽의 관능검사 결과, 메조 삼다메를 팽화처리한 분말 즉석 죽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뜨거운 물에도 엉김 현상 없이 잘 녹아 가공적성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죽의 점도 및 수분흡착능은 차조 삼다찰이 높았으나, 항산화 활성, 열과 수분에 대한 안정성, 기호도 및 물에 풀었을 때 엉김 현상을 고려할 경우, 메조 삼다메가 더 우수하였으며, 가공처리방법으로는 팽화처리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시중 즉석 조리 면의 Back Extrusion 텍스처 데이터에 대한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분석 (Analysis of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on Textural Data from Back Extrusion Test for Commercial Instant Noodles)

  • 김수경;이승주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1호
    • /
    • pp.75-79
    • /
    • 2010
  • 시중 즉석 면류의 관능적 성질과 back extrusion test 데이터에 대하여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PLSR)을 실시하였다. 즉석유탕면 8종과 즉석비유탕면 2종에 대한 관능적 속성으로서 경도(A), 탄성(B), 껄끄러운 정도(C), 이에 박히는 정도(D), 굵기감(E)를 검사하였고, 실험 데이터로 힘-변형 곡선 전체를 사용하였다. PLSR의 회귀계수는 힘-변형곡선의 압착단계, 항복단계, 압출단계로 크게 구분되어 각관능속성에 대한 특유의 양 또는 음의 효과를 나타냈다. PLSR의 상관계수는 E>D>A>B>C,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of prediction expressed in sensory units)는 D>C>E>B>A, 예측능(relative ability of prediction)는 D>C>E>B>A 로 나타나 종합적으로 '이에 박히는 정도'가 PLSR의 적용에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경도'는 예측능은 낮았지만 상관성은 높아서 시료간 순위의 결정에 합당하게 평가되었다.

HPMC 점도의 유탕면 지방소화 지연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In Vitro Lipid Digestibility of Instant Fried Noodle with HPMC)

  • 배인영;장혜림;최연정;이현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1-48
    • /
    • 2019
  • 본 연구는 HPMC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의 점도와 겉보기 점도가 유탕면의 흡유량과 지방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HPMC 상업용 소재의 점도와 밀가루 대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유량 감소와 지방 소화 지연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보이는 수준으로 밀가루 대신 HPMC를 대체하여 제조한 유탕면에서도 겉보기 점도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HPMC 자체 점도 증가(높은 중합도를 갖는 시료)에 따른 흡유량 감소와 지방 소화 지연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탕면의 흡유량 감소와 지방 소화 지연은 겉보기 점도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HPMC 자체의 높은 점도가 더 주요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헤도닉 가격 모형을 이용한 즉석밥 속성가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ribute Value of Instant Rice Using Hedonic Price Model)

  • 권순성;전혜빈;김정환;이지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1-206
    • /
    • 2022
  • Rice has prevailed as a staple food in South Korea. Rice consumption has sharply shrunk nowadays. In the wake of COVID-19 Shock and the "untact" era, the instant rice market has significantly grown,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solving the shrinking consumption of domestic ric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rice consumption promotion strategies by examining the factors of purchasing instant rice based on the Hedonic Price Methodology. In particular, given the increase in online market, this study compares attribute values of product characteristics between online and offline market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calorie, brand, organic and functional products have positive effects on instant rice prices. The rate of carbohydrate, the PB and bundle attributes have negative effects on instant rice price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magnitude of brand, bundle and PB attribute values are bigger in offline market while that of the number of multigrain attribute value is relatively bigger in online market. The organic attribute value is important regardless of marketing channels.

감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즉석 국수의 항산화성 개선 및 품질 특성 (Improve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nstant Noodles Containing Enzymat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and Its Quality Characterization)

  • 허민수;윤민석;김형준;박권현;이종현;조미란;이정석;전유진;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391-39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instant noodles containing enzymat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EEC). EEC has relatively bett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extracts from other indigenous plants in Jeju Island. The EEC (2.5 mg/mL) had 82.5% for the hydroxy radical, 78.4% for the DPPH radical, and 64.9% for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65.2% for the cell viability (100 ${\mu}g/mL$). According to the texture of the dough,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of uncooked instant noodles,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instant noodles, and turbidity of the cooking drip, the optimal EEC concentration was 1.8% for the instant noodles. The major amino acids in the instant noodles with EEC were glutamic acid (24.2%), proline (10.2%), valine (10.0%), and isoleucine (12.3%). The zinc and iron in the instant noodles were enhanced by adding 1.5-1.8% EEC.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nstant noodles with EEC was 75.4% for the hydroxy radical, 74.1% for the DPPH radical, and 51.2 % for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