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icides.

검색결과 579건 처리시간 0.029초

삼림환경에 항공살포된 Cyfluthrin과 Trichlorfon의 물에서의 동태와 수서생물에 미치는 영향 (Fates of Cyfluthrin and Trichlorfon in Water and Their Impacts on Aquatic Organisms Following Aerial Application Over the Forest)

  • 이성규;김용화;김태욱;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29
    • /
    • 1989
  • 본 연구는 삼림환경내에 살포된 살충제 cyfluthrin과 trichlorfon의 물에서의 잔류 및 동태 와 수서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농약은 오리나무 잎벌레(Agelastica coerulea B.)를 구제하기 위하여 2회 항공살포 (살포량 : cyfluthrin 25g ai/ha, trichlorfon 536g ai/ha)하였으며, 아울러 수서곤충에 대한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야외 소하천에서 모의실험을 실시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에서 cyfluthrin은 살포직후에는 $0.62{\mu}g/L$ (1차) $78{\mu}g/L$(2차)이나 토양, 저질등에 흡착되어 1차 살포의 경우는 1일후에 검출되지 않았고, 2차 살포의 경우에는 4시간 이후에 $1{\mu}g/L$이하로 떨어져 급격히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Trichlorfon은 강우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아 농약 살포후 22일까지 농도의 증감이 계속되었다. 수서생물에 대한 영향을 보면, cyfluthrin은 어류와 동물성 플랑크톤에 대한 영향은 없었으나, 수서곤충에 대해서는 38-73배(항공살포), 1200-2000배(모의실험)의 표류량이 관찰되었다. Trichlofon은 어류에 대한 영향은 없었으나, 동물성 플랑크톤 중 Copepoda와 Cladocera에 대한 영향이 관찰되었으나 수서곤충에 대해서는 큰 영향이 없었다. 수서곤충의 목별 감수성 은 cyfluthrin의 경우 하루살이목, 딱정벌레목, 파리목의 순서로 감수성이 낮고, trichlorfon은 파리목이 비교적 민감하였다.

  • PDF

저독성약제(低毒性藥劑)를 이용(利用)한 미국흰불나방의 항공방제효과(航空防除效果) (Aerial Application Tests with Some Low toxicity Insecticides Against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Lepidoptera: Arctiidae))

  • 정상배;고제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8-113
    • /
    • 1985
  • 생물농약(生物農藥)인 Thuricide(Bacillus thuringiensis)와 저독성약제(低毒性藥劑)인 Dimilin 및 Alsystin 등(等) 3종(種)의 저독성약제(低毒性藥劑)에 의(依)한 미국흰불나방(fall webworm) 유충에 대(對)한 항공살포효과시험(航空撒布效果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Dimilin 25% wp, Thuricide wp, Alsystin 25% wp 등(等) 공시약제(供試藥劑)들은 평균(平均) 93.9${\sim}$97%의 높은 살충효과(殺?效果)가 있었다. 2) Thuricide 30배(培) 및 45배액(培液)의 미국흰불나방유충(幼?)에 대(對)한 구제효과(驅除效果)는 각각(各各) 92%와 96%로서 Diplox(trichlorfon)제(劑)와 비등(比等)하였다. 3) Dimilin 25% 및 Alsystin 25% wp의 구제효과(驅除效果)는 98% 이상(以上)으로서 미국흰불나방유충(幼?)에 특효(特效)하였다. 4)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 조사(調査)된 기생성천적류(寄生性天敵類)(parasites)는 무늬수중다리좀벌(Brachymeria lasus Walker) 외(外) 4종(種)이었으며 개체수(個體數)는 Thuricide 처리구(處理區)에서 가장 많았다. 5) 공시약제(供試藥劑)들에 대(對)한 경제성(經濟性)(약제화(藥劑化))은 Diplox 제(劑), Dimilin 제(劑), Thuricide의 순(順)이었으며 특(特)히 Thuricide는 Diplox 제(劑)의 약(約) 5배(倍)로서 극(極)히 낮았다.

  • PDF

Association of urinary 3-phenoxybenzoic acid levels with self-reported depression symptoms in a rural elderly population in Asan, South Korea

  • Kim, Bokyeong;Jung, Ara;Yun, Dongmin;Lee, Mira;Lee, Mee-Ri;Choi, Yoon-Hyeong;Kim, Yongbae;Park, Choonghee;Hong, Yun-Chul;Kim, Sungroul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0권
    • /
    • pp.2.1-2.9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presence of depression symptoms and the exposure level to insecticides among aged population in rural area, determined via measured levels of urinary 3-phenoxybenzoic acid (3-PBA), after controlling for socioeconomic confounding factors. Methods Using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e randomly recruited participants for our study (161 male and 239 female) from rural areas of Asan, Chungnam, Korea. Environmental risk factor exposure was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analyze urinary 3-PBA levels. We us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urinary 3-PBA levels with the presence of self-reported depression symptoms.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creatinine levels, the median (interquartile range) concentration of 3-PBA was approximately 1.5 times (p<0.05) higher among female (1.54 [0.90 to 2.35]) ${\mu}g/g$) than among male (1.06 [0.64 to 1.81] ${\mu}g/g$). Our study found that among female participants, the unit increase in 3-PBA levels exhibited a likely positive association (odds ratio, 1.12; 95% confidence interval, 1.00 to 1.25) with an increased risk of presence of self-reported depression symptoms, after adjusting for socioeconomic insurance type, daily physical condition, marital status, smoking status, and age. Conclusions Given our finding of a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the presence of self-reported depression symptoms and 3-PBA levels, precau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minimize exposure to insecticides and thus protect the health of aged residents in rural areas.

북방수염하늘소의 살충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Adults (Coleoptera: Cerambycidae)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 한주환;유종현;김은희;양정오;노두진;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2-269
    • /
    • 2008
  • 시판하고 있는 39종의 살충제에 대한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성충에 대한 약제 감수성,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두가지 검정법(충체분무와 가지침지)으로 성충에 대해 100% 살충율를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phosphamidon, dinotefuran, actamiprid, clothianidin, thiacloprid, thiamethoxam, esfenvalerate+fenitrothion, fipronil 등 11종이었으며, 방제효과가 좋은 11종에 대해 2000배, 4000 배액으로 희석된 약액을 성충에 처리한 결과 처리농도에 상관없이 모두 100% 살충효과를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이고 2000 배액에서만 100% 살충율를 보인 약제는 phenthoate, thiacloprid, thiamethoxam, fipronil 등 4종이었다. 뿌리 침투이행성 효과는 phosphamidon, clothianidin, thiamethoxam이 100%, thiacloprid는 77.7%의 침투이행 효과를 나타냈다. 잔효성에서는 fenitrothion, thiamethoxam은 15일째까지 80%이상, fenthion, phosphamidon, clothianidin은 10일째까지 80%이상, fenitrothion, thiamethoxam, fipronil은 처리 후 7일까지, thiacloprid는 처리 후 3일까지, fenthion, phenthoate은 처리 후 1일째까지 100% 살충율을 보였다. 방제효과에서는 11약제중 6약제(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phosphamidon, fipronil, esfenvalerate+fenitrothion)가 처리 1일째에 그리고 3일째에는 시험약제 모두 100%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전국 논토양과 시설하우스 토양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과 환경 노출성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Exposure in Paddy Field Soils and Greenhouse Soils)

  • 박병준;이지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4-139
    • /
    • 2011
  • 분석대상 농약의 토양중 잔류분석법에 따른 검출한계는 0.001~0.005 ppm이었으며 2007년에 전국 논토양 150점에 대한 잔류농약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살균제 carpropamid 등 4종, 살충제 buprofezin 등 4종, 제초제는 butachlor 등 3종 농약이 검출 되었다. 검출빈도는 oxadiazon 성분이 19.3%로 가장 높았고 살균제 hexaconazole 성분이 8.0%, isoprothiolane 2.7%순이었고 검출된 농도는 oxadiazon 0.836 ppm, isoprothiolane 0.810 ppm과 buprofezin 0.5 ppm 수준으로 최고 농도를 보였으나 그 밖의 성분은 대체로 잔류수준이 낮게 검출되었다. 2008년에 전국 시설재배지 토양 152점에 대한 잔류농약 성분을 조사한 결과 살균제 hexaconazole 등 6종, 살충제 cadusafos 등 16종, 제초제는 butachlor 등 7종 농약이 검출 되었고 검출빈도는 endosulfan 38.8%로 가장 높았으며, oxadiazon 성분이 13.2%, 살균제 hexaconazole 성분이 10.5%, isoprothiolane 7.2% 순이었다. 검출된 농도는 chlorfenapyr 5.087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chlorothalonil 2.565 ppm, oxadiazon 0.715 ppm, isoprothiolane 0.208 ppm 수준을 보였으나 그 밖의 성분은 대체로 잔류수준이 낮게 검출되었다.

알루미늄호일 이용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 살란활성 검정법 개발 및 살란활성 식물추출물의 선발 (Development of a Bioassay Method Using Aluminium Foil Sheet for Screening Ovicidal Activity Against Diamondback Moth Egg, Plutella xylostella L. and Selection of Plant Extracts with High Ovicidal Activity)

  • 권민;김주일;이승환;임매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4-200
    • /
    • 2011
  •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은 세계적으로 배추과 작물의 가장 문제 해충이다. 지금까지 배추좀나방 방제는 유충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더욱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 알의 부화를 억제하거나 살란활성을 가진 새로운 살충제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알루미늄 호일을 활용하여 배추좀나방의 살란활성을 효율적으로 생물검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알루미늄호일($4{\times}12$ cm, 산란호일)에 배추잎 즙액을 도포하여 아크릴원통에 넣고 갓 우화한 성충 300마리를 24시간 접종한 결과 알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는 4일간 연속으로 채란 가능하였다. 살란활성 검정은 난괴 크기별로 산란호일을 6~12조각으로 나눈 농도별로 준비된 메탄올 용액에 2~10초간 핀셋으로 침지한 후 음건(15~30분)하여 소형사육통에 넣어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산란호일은 50% 메탄올에 10초간 침지하여도 활성검정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소형 사육통의 뚜껑을 개폐하면 활성물질의 성질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식물체 50종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배추좀나방 살란활성을 검정한 결과, 고본(Angelica tenuissima) 뿌리, 원지(Polygala tenuifolia) 뿌리, 지골피(Lycium chinense) 뿌리, 천궁(Cnidium officinale) 뿌리 등은 90% 이상의 높은 살란활성을 나타내었다.

전남지역에서의 완두콩바구미 방제 체계 (Control of Pea Weevil (Bruchus pisorum L.) in Jeonnam Province)

  • 이시우;김광호;박창규;박홍현;이관석;최병렬;이상계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4-288
    • /
    • 2010
  • 전남 지역에서의 완두콩바구미 방제 약제 선발과 방제 시기 결정을 위한 일련의 실험이 포장과 실내에서 수행되었다. 1차 전남 농업기술원 포장 실험 결과 처리 약제는 카보푸란 입제는 50%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그외 시험 약제 fenitrothion, diazinon, carbaryl, ethofenprox, chlorpyrifos-methyl, spinosad, imidacloprid 등은 87.5% 이상의 방제가를 보였다. 방제시기와 처리 회수 실험에서는 결협기를 10일 간격으로 초, 종, 말기로 구분하여 약제를 처리한 결과 모든 약제에서 2회 처리(결협 초기, 증가)와 3회 처리(결협 초기, 중기, 말기) 시 fenitrothion(방제가 60.8%)를 제외한 diazinon, $\lambda$-cyhalothrin, chlorpyrifosmethyl, spinosad, imidacloprid 등은 86.3% 이상의 높은 방제 효과를 보였다. 방제는 결협 종기 (5월 10일 경)에 살포하는 것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완두콩바구미의 방제는 결협 10일 후에 방제 약제를 한 번 살포하거나 4-5일 후에 다시 한 변 살포하여 두 번 살포하는 방제법이 가장 높은 방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실내 실험에서 완두콩바구미는 거의 모든 유기인계에 매우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의 pyrethroids약제에 대한 감수성 및 전기적 신경 반응 비교 (Toxic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Activities of Pyrethroids between Larvae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함선희;안희근;양정오;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2
    • /
    • 2009
  • 본 실험은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에 처리방법에 따른 살충 효과를 토대로 신경계를 작용점으로 하는 pyrethroid계 약제를 이용하여 신경반응을 비교해 보았다.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모두 충체분무처리시 세 약제에서 50%이하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엽면침지시 배추좀나방은 50ppm에서 deltamethrin은 100%, fenvalerate는 80%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permethrin은 63.3%로 나타났다. 하지만 파밤나방은 모든 농도에서 control과 비슷한 낮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세 약제가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신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기생리반응을 통해 신경감수성을 살펴본 결과, 배추좀나방은 deltamethrin은 $10^{-7}M$, fenvalerate는 $10^{-5}M$, permethrin은 $10^{-3}M$에서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파밤나방은 이 세 약제에서 모두 둔감한 반응결과를 얻었다.

곤충 핵다각체병바이러스를 이용한 담배거세미나방의 생물적 방제. II.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살충제 제제화 (Microbial Control of the Tobacco Cutworm, Spodopera litura (Fab.), Using S. litura Nuclea Polyhedrosis Virus. II. Formulation of S. litura Nuclear Polyhdrosis Virus as Viral Insecticides)

  • 임대준;진병래;최귀문;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44-251
    • /
    • 1990
  •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에 섭식촉진물질, 다각체 침전방지제 및 전착물질과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여 만든 3종의 바이러스 살충제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먹여 제제별로 살충 효과를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살충제에 설탕농도 1-5% 첨가로 섭식촉진이 증대되어 살충효과가 높았으며, 바이러스의 불활화 차단효과도 있었다. 살충제 제형에 따른 바이러스 침전방지는 polyvinylalcohoI 0.5%, 식물체 전착성은 Triton X -100 0.1 %에서 효과가 좋았다. 자외선차단제의 양은 white carbon은 100 L 당 800 g, molasses는 30%첨가에서 바이러스의 불활화가 감소되었으며 white carbon-molasses 혼합제는 white carbon 500 g, molasses 10%의 비율에서는 살충효과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세 제제 모두 살포 3일후 95%이상의 살충율을 보였다. White carbon 체제는 molasses 제제보다 다각체 포매가 뚜렷하여 잔류효과가 증대되었으나 유충의 섭식은 molasses제제에서 촉진되었다.

  • PDF

살충제(殺蟲劑)의 체계적(體系的) 처리(處理)에 의(依)한 벼멸구 개체군(個體群) 밀도(密度) 억제효과(抑制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수종(數種) 침투성(浸透性) 살충제(殺蟲劑)의 약효(藥效) (Effects of Temperature Conditions on the Growth and Oviposition of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a}l$)

  • 배윤환;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2
    • /
    • 1987
  • 벼의 초기(初期) 발생해충군(發生害蟲群)의 방제(防除)를 위(爲)하여 쓰이고 있는 몇가지 침투성(浸透性) 살충제(殺蟲劑)의 초기(初期) 비래(飛來) 벼멸구에 대(對)한 방제효과(防除效果)를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carbofuran(3G)과 disyston(3G)를 이앙직전(移秧直前)(5월(月) 27일(日)) 토중혼입(土中混入)과 수면시용(水面施用)하였고, omethoate 50% EC는 이앙(移秧) 6일후(日後)에 엽면산포(葉面散布)한 다음 6월(月) 11일(日), 21일(日), 7월(月) 2일(日), 11일(日), 25일(6月 11日, 21日, 7月 2日, 11日, 25에 pot당(當) 벼멸구를를 10쌍식(雙式) 접종(接種)하고 10일후(日後)부터 벼멸구의 밀도(密度)를 조사(調査)하였다. 최종밀도(最終密度)를 기준(基準)으로 생각할 때 산포후(散布後) 약(約) 10일경(日頃)까지는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엽효(葉效)가 인정(認定)되었으나 그 이후(以後)에는 carbofuran 처리구(處理區) 이외(以外)에서는 효과(效果)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carbofuran처리구(處理區)에서는 수면시용(水面施用)에 비(比)하여 토중혼입구(土中混入區)에서 약효지속기간(藥效持續期間)이 약(約) $45{\sim}60$일간(日間) 지속(持續)되어 6월중순(月中旬)$\sim$하순(下旬)까지 비래(飛來)하는 벼멸구에 대(對)한 밀도억제효과(密度抑制效果)를 기대(期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