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 control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25초

Cry 독소단백질 혼합과 면역억제제 첨가를 통한 Bacillus thuringiensis 살충제 적용범위 및 방제력 증진 기술 (A Technique to Enhance Bacillus thuringiensis Spectrum and Control Efficacy Using Cry Toxin Mixture and Immunosuppressant)

  • 엄성현;박영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1-190
    • /
    • 2014
  • 곤충병원세균인 Bacillus thuringiensis (비티)는 포자 형성과 더불어 살충성 Cry 독소단백질을 생산한다. Cry 독소단백질은 대상 곤충의 중장에 위치한 수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살충작용을 발휘하기에 비티의 적용해 충범위가 비교적 좁다. 본 연구는 비티의 적용해충범위와 살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서로 다른 네 가지 비티 균주에서 분리된 Cry 독소단백질은 각각 좁은 적용해충범위를 나타냈다. 이들 Cry 독소단백질을 혼합한 결과 적용범위가 현격하게 증가했다. 벡큘로바이러스가 비티의 적용범위를 증가시키는 지 알아보기 위해 Cry1Ac 또는 Cry1Ca 독소단백질을 각각 발현시키는 재조합바이러스로 검정한 결과 벡큘로바이러스는 Cry 독소단백질의 적용범위를 증가시키는 데 유효하지 않았다. Xenorhabdus nematophila (Xn) 세균 배양액은 조사된 모든 곤충의 세포성 면역을 억제하고 Cry 독소단백질의 살충력을 증가시켰다. 이 Xn 세균배양액을 혼합 Cry 독소단백질에 추가한 결과 적용해충범위와 살충력을 모두 증가시켰다.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 Human Stem Cell Factor, Using Insect Cell Line

  • ;;;;;;;권오유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5
    • /
    • 2009
  • Insect cell cultures have become important tools in the production of biological substances for use in a variety of research,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 and pest control applications. These applications often require the introduction of foreign DNA into the cells and have generally used methods originally developed for use with human and other mammalian cell cultures. While these methods can be successfully employed, they are often less efficient with insect cells and frequently involve complex procedures or require specialized equipment. Even when they do work, they may require substantial modification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culture medium or growth patterns of insect cells. In this study, We have optimized transfection conditions of Sf9 cell line using insect expression vector pIZT/V5-His which expresses green fluorescent protein effectively. Human stem cell factor (hSCF) is a glycoprotein that plays a key role in hematopoiesis acting both as a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or, often in synergy with other cytokines. It also plays a key role in mast cell development, gametogenesis, and melanogenesis. It can exist in membrane-bound form and in proteolytically released soluble form. As determined by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performed, hSCF level in supernatant averaged 995ng/ml. The human hSCF was partially purified by immunoaffinity chromatography and analyzed with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immunoblott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hSCF has N-linked carbohydrate and corresponds to the soluble form, at or about 223 amino acids in length. The findings suggest functional importance for soluble hSCF in cells.

  • PDF

크리핑벤트그래스와 애뉴얼블루그래스 그린에서 동전마름병에 대한 살균제 효과 평가 (Evaluation of Fungicides for Dollar Spot Control on Creeping Bentgrass and Annual Bluegrass Putting Green)

  • 제임스 팝코;옥창호;정근화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1-164
    • /
    • 2010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북미에서 가장 흔하며 경제적으로 중요한 잔디병이다. 동전마름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잦은 약제처리를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전마름병에 대한 농약의 단용 혹은 다른 약제와의 혼용 처리를 통해 약제의 효과를 평가하고,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브라운 패치(brown patch)와 Pythium aphanidermatum에 의한 피시움마름병에 대한 이차 방제효과(secondary effect)도 조사하였다. 평가기간동안 동전마름병은 유리한 기상조건으로 인하여 평가하기에 적당한 병 발생을 보였다. 처리한 살균제 중 Rhapsody 단용처리를 제외한 모든 살균제의 단용 혹은 혼용처리에서 동전마름병에 대한 유의성 있는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동일한 처리구에서 브라운 패치에 대한 병 방제효과도 인정되었다. 모든 살균제에서 약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친환경적 밤 종실해충 방제 연구 (Study on Chestnut Insect Pests by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s in Korea)

  • 이총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5-100
    • /
    • 2009
  • 밤 종실의 생산량과 재배 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한 친환경적 방제 기술을 보급하고자 밤의 주 생산지인 경상남도 밤나무 집단 재배지에서 몇 가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의 피해율은 조생종(단택, 삼조생)의 경우, 웜스톱 처리구에서 피해율이 7.76%로 가장 낮았고, 웜스톱+목초액, 포충등 처리구 순으로 증가였다. 중생종(유마, 축파)의 피해율은 웜스톰 처리구에서 13.39%로 가장 낮았으며, 만생종(박미, 은기)은 피해율간 유의차가 있었다(p<0.05).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 만생종 밤의 웜스톱 처리구에서 각각 40.49%, 41.89%로 가장 높았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의 피해율은 조생종과 중생종 밤에서 낮았으며, 숙기별 처리간의 유의차가 없었다(p>0.05). 만생종 밤에서의 피해율은 웜스톱과 이미다클로프리드 처리구가 15.38%로 가장 피해율이 낮았으며, 항공방제, 웜스톱, 포충등 처리구 순이었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에 대한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과 중생종에서는 낮았고, 만생종의 웜스톱과 이미다클로프리드, 항공방제 처리구에서 방제가는 각각 34.59%, 28.94%였다.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ehlersii KSY)의 곤충면역 억제 능력과 이를 이용한 Bacillus thuringiensis 의 살충력 증가 효과 (Immunosuppressive Activity of an Entomopathogenic Bacteria, Xenorhabdus ehlersii KSY, and Its Application to Enhance Insecticidal Activity of Bacillus thuringiensis)

  • 김효일;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01-109
    • /
    • 2019
  • 곤충병원선충인 Steinernema longicaudum에 공생하는 Xenorhabdus ehlersii KSY 세균은 나방류에 대한 높은 병원력을 발휘한다. 본 연구에서 이 세균의 병원력이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을 억제하여 기주 곤충의 면역 저하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 세균의 병원력은 혈강 주입에 의해 야기된다. 섭식을 통해 이 세균을 혈강으로 전달하기 위해 곤충의 중장벽을 파괴하여 병원력을 발휘하는 Bacillus thuringiensis(Bt)와 혼합하여 처리하였다.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유충에 대해서 X. ehlersii 세균 배양액의 혼합 처리는 Bt 살충력을 현격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살충효과는 또 다른 나비목 해충인 콩명나방에 대해서도 확인되었다. 제형화를 위해 X. ehlersii 세균 배양액을 동결건조하여 Bt 수화제와 혼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간이 포장실험을 수행하였다. Bt 단독으로 처리한 결과 약 80%의 방제 효과를 보인 반면 X. ehlersii 혼합제는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곤충병원세균 X. ehlersii가 새로운 해충 방제제로 개발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Regarding Endemic Vivax Malaria in Inhabitants and Patients in Two Cities of Northern Gyeonggi-do, Korea, 2020

  • Bahk, Young Yil;Cho, Shin-Hyeong;Park, Sookkyung;Kwon, Jeongran;Kan, Hyesu;Kim, Miyoung;Na, Byoung-Kuk;Hong, Sung Jong;Kwon, Hyung Wook;Kim, Tong-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6호
    • /
    • pp.595-605
    • /
    • 2021
  • An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s,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different populations is key for public health policy makers. Here, a survey was performed on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about malaria diagnosis, prevention, control, and treatment. The 407 survey participants included both uninfected inhabitants and patients from 2 cities (Gimpo- and Paju-si) of Northern Gyeonggi-do, known as high-risk areas for vivax malaria. We used community-based study design and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using the primary data. Association between variables were tested using χ2-tests. In general, the information on malaria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unsystematic and included inaccurate details. The knowledge of malaria symptoms, identified as headache, chills and fever, was high, but the surveyed community lacks knowledge of the specific medications used for malaria treatment, with a large number of respondents having no knowledge of any form of medication. Survey questions with high correct answer rates included questions about easy treatment of malaria in Korea, the high daytime activity of malaria-borne mosquitoes, and the infection risk posed by outdoor activities. However, a large portion of the respondents was unable to provide simple medical and bi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al behavior of the surveyed community with respect to malaria and the implications reported here could be applicable to other malaria endemic area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