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cription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성덕대왕신종의 3차원 디지털 기록화 의미와 모니터링 기초자료 구축 (Significance of Three-Dimensional Digital Documentation and Establishment of Monitoring Basic Data for the Sacred Bell of Great King Seongdeok)

  • 조영훈;송형록;이승은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4권
    • /
    • pp.55-74
    • /
    • 2020
  • 성덕대왕신종은 현재 표면의 문양과 명문을 중심으로 부식물이 존재하고, 일부 마모 흔적이 관찰되는 만큼 보존상태에 대한 디지털 정밀 기록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4종류의 3차원 스캐닝과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하여 성덕대왕신종의 디지털 기록화를 수행하였고, 영상처리를 통해 다양한 형상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지상레이저스캐닝과 무인항공사진측량의 융합모델링 결과는 성덕대왕신종과 종각의 상호 공간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어 향후 지진에 의한 구조적 변형을 모니터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선행자료에 비해 4~9배 정도 높은 해상도를 보인 정밀스캐닝 결과는 성덕대왕신종의 문양 및 명문 가시화에 상당히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표면 보존상태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데이터로 매우 적절하였다. 성덕대왕신종의 원형 보존에 3차원 스캐닝 결과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추가적인 스캔을 하여 형상변화 시점과 지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단기모니터링을 통해 큰 형상 변화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중장기모니터링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추서(醜書)'에 대한 새로운 모색 -옥흥화(沃興華)와 증상(曾翔)의 서예 작품을 중심으로 (A New Exploration of Ugly Calligraphy(醜書) - Focused on Calligraphy Works of Ok Heung-hwa(沃興華) and Jeung Sang(曾翔) -)

  • 형정;이재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57-65
    • /
    • 2023
  • 현대 서예의 유파가 많은데 '추서(醜書)'가 하나의 유파로 봐야 할지에 대해 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하다. '추서'를 인정받지 않은 사람은 '추서'에서 전통적인 결자 규범이 없다고 본다. 그리고 문제의 식별성도 사라진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추서'가 존재하고 발전을 이루는 것은 현대 서예가의 끊임없은 탐색과 개혁과 관련된다. 뿐만 아니라 서예들의 미적 인식 능력이 늘어나고 미적 표준도 시대와 함께 변화한다. 이에 따라 '추서'를 인정하는 사람도 많아질 것이다. 시대에 앞장선 서예가들이 전통적인 서예 사상을 줄곧 견지하면서 전인을 배우고 경험을 쌓는다. 그 중에서 전통적인 중용(中庸)사상을 저버리고 '추(醜)'를 세인에게 보이는 서예가들이 있다. 옥흥화(沃興華)와 증상(曾翔) 등 서예가들이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옥흥화와 증상은 모두 고대 비첩을 골자로, 민간 서예를 혈액으로 하여 나름의 풍격을 창출했다. 본고는 옥흥화와 증상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추서'의 정의와 형성 과정을 탐색, 연구하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추서'의 특징 및 '추서'의 미감을 정리하도록 한다.

금석문(金石文)에 나타난 ‘차(茶)’ 자소고(字小考) (An Illustration of ‘茶’(tea) Inscription in Epigraphs’)

  • 이형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6
    • /
    • 1988
  • 금석문(金石文)이란 금속이나 돌로 만든 각종 유물에 기획된 명문(銘文)을 말하는데 갑골류, 도기류, 철폐(鐵幣)류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 금석문 251점 중 '차(茶)'자가 기록된 것을 조사 연구하였던 바 비문 16점, 와당 1점, 도자기 1점 이었으며 시대별로는 신라시대 5점, 고려시대 13점 이었으며 최초로 기록된 차(茶)자는 전남 장흥군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비(884년)였다. 그리고 종교적으로는 불교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금, 향, 구슬 등 여러가지 귀중품 중 차(茶)를 최상의 것으로 취급하였으며 왕으로부터 하사받은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차문화(茶文化)가 신라시대, 고려시대에 번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단면형상 분석을 이용한 요철이 심한 금석문(金石文) 판독 향상 방법 연구 (A Study on Readability Improvement Method for Ancient Inscription of Irregularity Surface using Cross Section Analysis)

  • 최원호;고선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1-259
    • /
    • 2014
  • Outdoor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damaged by natural weathering and air pollution for a long time.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characteristics it is hard to decipher some carved inscription on the surface of damaged outdoor cultural properties. Until now, Rubbed copy has been widely used to decode engraved inscription. A investigation for epigraph has been made by the rubbing that has resulted in a lower resolution from the viewpoints of extraction process and used materials. Rubbing's results are not satisfied in the damaged inscriptions which are weathered by natural environment and pollution for a long time and in the narrowed one. The main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is a cross section analysis method using 3d scanning technique for epigraph not read. Cross section analysis is a study on readability improvement method for ancient inscription of irregularity monument surface. Cross section analysis confirms information that separated the inscription information of monument and the ground information to read a ancient inscription and decode the inscription information. The proposed character identification method contributed to decoding an ancient inscription on Silla Monument in Jungseong-ri of Pohang.

"서궐영건도감의궤"의 철물류 어휘 분석 연구 (Metallie Material Vocabulary Study of SeoGwol-YeongGeon-DoGam-UiGwe(西闕營建都監儀軌))

  • 오창명;천득염;손희하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3호
    • /
    • pp.45-60
    • /
    • 2008
  • This study lists the vocabulary of the inscriptions on SeoGwol-YeongGeon-DoGam-UiGwe(西闕營建都監儀軌 1831). This study also deciphers and explains the meanings of them. In advance, this study compares them with the vocabulary of the national language in the middle ages and in modem times. There are two important missions in deciphering a transcription marking of the architectural vocabulary of UiGwe(儀軌). One i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reading method of transcription marking and the other is an explanation of what that means. As a result, we can correctly understand the UiGwe(儀軌) written in transcription marks. If we could decipher the transcription markings of the documents as it is, we cannot only recover plenty of vocabulary related with characteristic architecture in the age of the later Joseon Dynasty, but also correct wrongly used vocabulary in the present. As a result, we can standardize and adjust the vocabulary use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advance, we can correct errors of spelling and mistaken explanations in the Korean Encyclopedia.

  • PDF

광삼각법 측정 원리를 이용한 금석문 가독성 향상 방법 (A Technique to Improve the Readability of Ancient Inscription by Using Optical Triangulation Measurement Principle)

  • 이근호;고선우;최원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sup호
    • /
    • pp.103-111
    • /
    • 2012
  • In epigraph field to study ancient scripts, alternative readability improvement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replace existing rubbing method which has low resolution and causes surface pollution of heritages from the viewpoints of extraction process and used materials. Recently many methods which are based on analysis of pixel data for extracting outlines of the specific image have been developed with advancement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s. But these methods are not applicable and the results are not satisfied in the damaged inscriptions which are weathered by wind and rain for a long time and in the narrowed one. In this paper laser scanning techniques which uses optical triangulation measurement principle are developed to minimize scanning error. The proposed techniques are consisted of 3 parts:(1) the understanding of optical triangulation measurement principle to find scanning guideline (2) determinations of points interval, scanning distance and scanning angle to guarantee scanning data quality (3) identification of valid point data area which will be used in registration process. The proposed character identification method contributed in decoding an ancient inscription on SeukBingGo in Kyungju.

안압지 조경과 신라왕가의 풍속 (A study on the building of An-ap pond and the customs of royal family during Shilla dynasty)

  • 박경자;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1-27
    • /
    • 1998
  • According to the Samkuk Saki(History of Three Nations), An-ap pond was constructed in the 1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mu$ But this period precedes the unification of Shilla(in the 16th year the reign of king Mun-mu) and Shilla was at war. Therefore I suppose the 16th year of the King's reign is just the time of the commencement of the construction of the pond. But the real construction had not been started before the 16th year of the King's reign,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nations into Shilla Dynasty. Another record of making a larger pond(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Kyung-duk) may signify the enlargement of the very pond that had been built the 16th year of King Mun-mu's reign. Korean traditional belief was the belief in the Dragon, the Mountain God, and the Heavenly God and these was deeply rooted in the Royal family and perhaps had influenced the building of An-ap pond. Namely it is explained that Em-hae Jun sympolizes the An-ap pond itself as the sea and the Dragon lived in the sea and also the mountain built in the East bank of An-ap pond is related to the Mountain God. And also Taoism's Sin Sun Sa-Sang(Paradise philosophy) had influenced the building of the three legendary immortal islands, called Yong Ju, Bang-Jang, Bong-Rae in the An-ap pond. It is supposed that the age of An-ap pond from the above mentioned facts and inferences and we can als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e Royal family customs on the building of An-ap pond. The inscriptions on the vessels and architectural accessories suggest us the influence of the Royal family customs on the construction of An-ap pond.

  • PDF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소장 승자총통의 과학적 연구 (Scientific Study for Seungja Chongtong in the Central Museum of Kyunghee University)

  • 오일환;정연중;조남철;강형태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19
    • /
    • 2016
  • 승자총통은 중국 화기를 모방하여 선조(宣祖,1552-1608) 시기에 독자적인 화기 제작방식으로 만들어진 우리나라 유통식 소화기(小火器)이다. 이 연구는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소장 승자총통을 중심으로 명문 판독 결과와 함께 과학분석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승자총통 3점은 각 원소의 함량차이가 크지 않은 Cu-Sn-Pb 삼원계 합금으로 제작되었고 분석대상 중 미세조직 분석이 가능한 승자총통 1의 미세조직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주조방식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추가적인 열처리나 담금질 흔적은 관찰되지 않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승자총통 제작 시 사용한 납의 출처를 알아보고자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 남부 zone 2 지역(경상북도 북부와 강원도 남부지역)의 납광석을 사용하여 승자총통을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TURFAN MINARET INSCRIPTION: A SYMBOL OF CULTURAL CONFLUENCE ON THE SILK ROAD

  • VOSOOGHI, MOHAMMADBAGHER;KARIMIAN, HASSAN
    • Acta Via Serica
    • /
    • 제2권1호
    • /
    • pp.31-47
    • /
    • 2017
  • The corridors to the north and south of the $Takl{\bar{a}}m{\bar{a}}k{\bar{a}}n$ (塔克拉瑪干 Ta-ke-la-ma-gan) Desert are the most important regions for cultural confluence on the Silk Road, where caravans made it to the Chinese capital or the Korean Peninsula by the northern road, through the city of Turfan, or the southern path of Khutan. Being an important part of the Silk Road in the course of history, this region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cultures of various nations and ethnic communities whose merchants utilized the road to advance their business. The region's language, writing system and literary structure were also affected, so much so that in the course of its tumultuous history, many words, phrases and terms belonging to neighboring cultures found their way into the region, leaving their mark on its linguistic structure. Of the cultural exchanges that took place between the peoples of the region, conspicuous traces can be seen in the architecture, music, literature, texts, and inscriptions. Located in the Turfan region, the minaret of Su Gong (蘇公 Su Gong ) is host to an inscription which bears many signs of such exchanges. As so far no independ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cultural, literary and structural features conveyed in this inscription, the present paper is an attempt to study the inscription in terms of the script, language and syntax in order to unravel the effects of cultures prevalent on the Silk Road on this particular inscription. This study mainly aims to investigate the linguistic structure of the inscription and the impact of the Persian language on Silk Road culture. In fact, we approach the inscription as a symbol of cultural exchange on the Silk Road and will focus on the tradition of Persian inscription-making which affected the Turfan inscription.

나주 복암리 목간 출토의 고고학적 의의 (Archaeological Meanings of Wooden Tablets from Bogam-ri in Naju)

  • 김혜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2호
    • /
    • pp.142-157
    • /
    • 2016
  • 2008년 나주 복암리유적에서 백제지방 최초로 목간이 출토되었다. 이 글에서는 목간을 묵서가 있는 목제품으로 정의하고 복암리 유적 발굴보고서에 수록된 목간 65점 중 묵서가 확인된 13점을 대상으로 백제 목간 출토현황과 비교하여 복암리 목간의 의미를 살펴 보았다. 복암리 출토 목간은 모두 대형의 1호수혈에서 일괄 출토되었다. 수혈 내부 토층은 모두 43개의 층으로 세분되나 출토된 목간을 비롯한 다수의 목제품, 토기, 기와 등 유물의 시기적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목간은 다른 유구에서는 출토되지 않았으며 수혈에 일부러 폐기한 것으로 보이는데, 목간의 형태적 특징을 통해 2차 폐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복암리 목간은 간지명 묵서 '경오년(庚午年)'이 확인된 목간과 $C^{14}$ 연대측정 결과 등을 토대로 610년을 중심연대로 7세기 초반으로 편년된다. 출토된 13점의 목간을 묵서 내용과 형태적 특징을 토대로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문서목간 6점, 부찰목간 6점, 기타목간 1점으로 나뉜다. 현재까지 출토된 백제 목간은 총 89점으로 출토 지역은 나주와 금산을 제외하면 모두 부여에서 출토되었고, 사비도성 안팎의 왕궁지, 궁원지, 사찰 등으로 다양하다. 복암리 목간과 비교되는 주요 백제 목간으로는 관북리 목간, 궁남지 목간, 쌍북리 280-5번지 목간 등이다. 이들 목간과의 비교를 통해 웅진도독부 시절의 지명에 대한 검토, 지명+관등+인명 순으로 정형화된 신분표시 방식, 백제에서 군제가 실시되었고 복암리는 군이 설치된 지역이었다는 단서, 정중제 실시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복암리 목간은 작성시기(610년), 작성지(군이 설치된 두힐성), 작성주체(군좌, 지방관 등)가 확실하며 기록된 내용은 백제 목간의 표준화된 신분표시 방식, 서사방식, 정중제와 양전제의 실시 등 백제 지방사회의 지배에 대한 일면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중요자료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