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sine monophosphat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9초

근내지방도가 한우육의 품질 및 항산화성 Dipeptide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ramuscular Fat Content on the Meat Quality and Antioxidative Dipeptides of Hanwoo Beef)

  • 조철훈;;임동균;이경행;김종주;차주수;남기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7-124
    • /
    • 2013
  • 근내지방도(IMF)가 한우육의 품질 및 기능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50두의 한우를 근내지방 함량에 따라 Low(<14%, n=96), Medium(14~17%, n=83), High(>17%; n=71) 세 그룹으로 분류하고, 7일간 숙성 후 등심육의 품질 및 기능성분을 분석하였다. 한우 등심육의 수분 함량은 IMF와 반비례하였으며, High IMF 그룹은 Low IMP 그룹에 비하여 낮은 드립 감량을 나타내었다. 기능성 didpeptide 함량은 IMF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High IMF 그룹은 다른 그룹보다 낮은 inosine monophosphate, 높은 hypoxanthine, 낮은 histidine 함량은 나타내었다.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IMF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저지방육의 건강지향적 가치를 고려할 때 지나친 IMF를 목표로 하는 육종 및 사양은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spergillus oryzae에서 Adenosine Deaminase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denosine deaminase from Aspergillus oryzae)

  • Choi, Hye-Seon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62
    • /
    • 1993
  • Intracellular adenosine deaminase (ADA) from Aspergillus oryzae was purified using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a DEAE-Sephadex A-50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 ultrafiltration using a PM 10 membrane and two times of Sephadex G-100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e enzyme was purified 151 fold with a 9% recovery. Purified enzyme gave a single protein band with a molecular weight of 105,000 delton. The enzyme was reasonably stable. The enzyme activity was kept even after 1 hr incubation at 55.deg.C, but decreased significantly at 60.deg.C. The pH optimum was found to be from 6.5 to 7.5. Among tested compounds, the substrate activity was found with adenosine, adenine arainofuranoside, formymcin A, 2'-deoxyadenosine, 3'-deoxyadenosine, 2', 3'-isopropylidene adenosine, 2,6-diaminopurine deoxyriboside, .betha.-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reduced form), 6-chloropurine riboside, 2'-adenine monophosphate (AMP), 3'-AMP and 5'-AMP. The values of Km of adenosine and 2'-deoxyadenosine were calculated to be 500 and .$710\mu$m, respectively. ADA was sensitivite to $Zn^{2+}$, $^Cu{2+}$ and $Fe^{3+}$, p-chloromercuribenzoate and mersalyl acid inactivated the enzyme. The activity of enzyme was not changed when ADA was incubated with dithiothreititol, 2-mercaptoethanol, N-ethylmaleimide, iodoacetic acid and iodoacetamide.

  • PDF

Effects of $\gamma$-Irradiation and Subsequent Storage on Amino Acids and Ribonucleotides of Biled-Dried Anchovy

  • Kwon, Joonh-Ho;Byun, Myung-W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6-22
    • /
    • 1996
  • Amino acids and ribonucleotides were measured for boiled-dried anchovy to determine the effect of 5 kGy γ-irradiation on its quality stability during storage at ambient and cooling (5∼10℃) temperatures for 12 months in a laminated-film package(Polyethylene 10㎛). The anchovy samples contained about 55%(d.b) of total amino acids and about 1%(d.b) of free amino acids. Although there found a significant change(p<0.01) in the content of leucine and lysine immediately sfter irradiation, the overall content of toral amino acids was little changed in stored anchovy even six months after irradiation at cooling conditions. γ-Irradiation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p<0.01) in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s, showing a similar tendency by storage conditions. However, the ribonucleotides. which were 12.00mg/g(d.b) in inosine-5'-monophosphate and 0.38mg/g(d.b) in guanosine-5'-monophospate, were resistant to 5kGy-irradiation. With the lapse of storage time, it was also shown that storage temperature was more influential than irradiation on the contents of amino acids and taste compounds of dried anchovy.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le Fiber Composition and Pork Taste-traits Assessed by Electronic Tongue System

  • Hwang, Young-Hwa;Ismail, Ishamri;Joo, Seon-Te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305-1314
    • /
    • 2018
  •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of electronic taste-traits with muscle fiber type composition (FTC) and contents of nucleotides, porcine longissimus lumborum (LL), psoas major (PM), and infra spinam (IS) muscles were obtained from eight castrated LYD pigs. FTC and taste-traits in these three porcine muscles were measured by histochemical analysis and electronic tongue system, respectively. I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type I fibers while LL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type IIB than other muscles (p<0.05). IS had the highest inosine monophosphate (IMP) content while LL had the lowest IMP content (p<0.05). In contrast, LL had significantly higher hypoxanthine content compared to PM and IS (both p<0.05). For taste-traits, IS had significantly higher umami and richness values but lower sourness value than LL and PM (p<0.05). Sourness and astringency values of L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S (p<0.05). The proportion of type IIB fibe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urness and astringency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lt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urness and astringency tastes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proportions of type IIB fibers in porcine muscles due to increase of hypoxanthine content. These results also imply that umami and richness tastes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s of type I and IIA fibers because of increased IMP content in porcine muscles.

지연냉각과 숙성기간이 돈육내 핵산물질변화와 맛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layed Chilling and Aging on the Contents of ATP-Related Compounds and Taste of Pork)

  • 최용환;이민석;주선태;이석;이준섭;홍원식;고경철;김병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1-245
    • /
    • 1995
  • 본 연구는 돼지 도축 후 실온에 방치 유통되는 돈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지연냉각과 숙성기간이 육내 핵산 관련물질의 함량과 조리시 정미성분의 함량 및 고기의 맛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동일조건에서 사육된 랜드레이스 12두를 공시하여 도살 후 이분체한 다음, 좌도체는 $20^{\circ}C$ 내외의 실내온도에서 3시간 지연시킨 후 냉장$(1{\sim}2^{\circ}C)$하였고, 우도체는 같은 온도에서 곧바로 냉장하여 실험하였다. 지연냉각도체가 정규냉각도체보다 빠른 pH 하강 경향과 대사작용을 나타냈는데, 숙성기간 중 두 경우 모두 ATP와 AMP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ADP는 숙성 1일째, IMP는 숙성 3일째에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Hx는 숙성 전기간 동안 점차로 증가하였다(p<0.05). 조리육수내 IMP는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추세를 나타낸 반면 GMP와 L-glutamate는 증가추세를 보여 미도가 높아졌으며 관능검사 결과도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사후 3시간 지연냉각시킨 본 실험에서 정규냉각에 비해 지연 냉각은 정규냉각에 비해 맛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연어 (Oncorhynchus keta)의 함질소 엑스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Korea)

  • 박춘규;서상복;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1-63
    • /
    • 1996
  • 한국 동해안에서 어획되는 연어 Oncorhynchus keta에 대한 식품학적인 연구로서 1991년 $10\~12$월에 강원도 양양군 남대천에 올라오는 시료를 대상으로 등육의 일반성분, 엑스분 질소 및 함질소 엑스성분 즉,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 guanidino화합물, 4급암모늄염기 등을 분석하여 각 성분조성을 밝히고 이들 각 성분에 대한 질소분포를 살펴보았다. 엑스분 질소 함량은 $478\~648mg$ 범위였고, 암컷은 평균 604mg으로서 수컷 537ing 보다 높았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049\~1,441mg$ 범위였으며 10월에 어획된 것은 11월, 12월에 어획된것보다 그리고 암컷은 수컷보다 그 함량이 높았다. 함량이 많고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anserine, taurine, alanine, glycine, glutamic acid, lysine 등의 순이었으며, 특히 anserine 함량은 $724\~1,242mg$ 범위로서 엑스분 질소의 평균 $38\%$를, 그리고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평균 $84\%$를 차지하였다. 또한 anserine 함량은 어획시기에 따라 차이가 많아서 10월에서 11, 12월로 경과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되었다. Oligopeptide류는 anserine이 가수분해로 생성된 $\pi-methylhistidine$$\beta-alanine$이 대부분을 차지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hydroxyproline, glyc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의 순이었으나 함량은 낮았다. 핵산관련물질 총량은 $3.32\~9.22{\mu}mol/g$, 범위였으며, inosine 5'-monophosphate$(61.2\%)$와 inosine$(29.9\%)$$90\%$ 이상을 차지하였다. Betaine류로서는 일부시료에서 glycinebetaine $23\~43mg,\;\beta-alaninebetaine\;2\~11mg$, 그리고 homarine이 1mg 이하 검출되었다. TMAO는 $107\~148mg$ 범위였고, TMA는 $6\~11mg$으로 미량이었다. Creatine 함량은 $477\~642mg$으로서 엑스분질소의 평균 $31\%$를 차지 하였으나 creatinine은 $8\~11mg$으로서 낮았다. 엑스분중의 질소분포는 유리아미노산질소가 가장 높고 $(41.5\~50.1)$, 다음이 creatine과 creatinine$(26.0\~35.7\%)$, oligop-eptide류$(5.3\~12.3\%)$, 핵산관련물질$(3.2\~8.8\%)$, TMAO와 TMA$(3.6\~6.1\%)$, betaine류$(0.1\~0.9\%)$의 순이었다. 연어 엑스분중의 질소분포 특징은 모든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anserine과 creatine이 중요한 함질소 성분으로서 엑스분 질소에 대한 양 성분질소의 비율은 anserine이 평균 $38\%$, creatine이 평균 $31\%$로서 이 두 성분만으로 엑스분질소의 $60.9\~76.5\%$에 달하였다. 분석된 성분에 의한 엑스분 질소의 회수율은 모든 시료에서 $91.4\~98.1\%$ 범위였다.

  • PDF

산 및 열처리에 따른 오징어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quid upon Acid and Heat Treatment)

  • 이혜영;김성호;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39-549
    • /
    • 2012
  • 본 연구는 오징어 가공식품개발의 기초자료확보를 위하여 산(acetic acid, 0~5%) 처리와 예비가열($55^{\circ}C$, $80^{\circ}C$) 후 열처리($100^{\circ}C$)에 따른 오징어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이 약 73~78%, 조단백이 약 19~24%였으며 자숙 오징어의 일반성분 함량은 산 농도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자숙 오징어의 모든 시료에서 주요 유리당은 ribose와 glucose이었으며, $55^{\circ}C$ 예비가열 시료는 다른 시료보다 glucose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유리당 함량은 표피 무제거 시료와 $80^{\circ}C$ 예비가열 시료순으로 높았고 $55^{\circ}C$ 예비가열 시료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모든 시료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proline 함량이 가장 높았고 taurine, histidine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모든 자숙 오징어군에서 산 용액 처리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영향을 보였다(p<0.05).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55^{\circ}C$ 예비가열 시료가 가장 높았고 $80^{\circ}C$ 예비가열, 표피 무제거 시료순으로 나타났다. 핵산관련물질은 모든 시료에서 inosine이 검출되지 않았고 ATP 함량이 가장 낮았다. $55^{\circ}C$$80^{\circ}C$ 예비가열 시료는 hypoxanthine 함량이 가장 높고 AMP와 IMP 함량이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나 표피 무제거 시료는 IMP 함량이 표피제거 시료보다 높았다. 지방산은 포화지방산이 약 40%로 palmitic acid 함량이 매우 높았고 불포화지방산은 약 60%로 EPA와 DHA 함량이 높았다. 지방산중 DHA 함량이 가장 높고 palmitic acid, EPA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세 가지가 총 지방산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었다. 지방산은 산 처리와 가열 방법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기질의 함량은 인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순이었으며 예비가열 온도 또는 산 용액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중금속류인 카드뮴, 납, 비소는 미량으로 나타나 식품 기준치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Penicillium brevi-compactum을 이용한 면역억제제 Mycophenolic Acid 발효에서 탄소원 및 질소원의 영향 (Effect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Immunosuppressant Mycophenolic Acid Fermentation by Penicillium brevi-compactum)

  • 노용택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9-25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탄소원 및 질소원의 이용 패턴과 mycophenolic acid의 생성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5 L 발효조에서 mycophenolic acid 발효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에는 여러 가지 탄소원들이 세포 생장과 mycophenolic acid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과당이 mycophenolic acid 발효에 가장 좋은 탄소원이었지만, 값이 고가인 단점이 있어서, 과당을 지니고 있는 설탕이 주성분인 당밀을 탄소원으로 사용한 결과 mycophenolic acid의 산업적 생산에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밀을 첨가한 실험구는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사용한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 생산성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양호한 세포 생장과 높은 mycophenolic acid 생산을 얻기 위하여 다양한 무기질소원과 유기질소원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무기질소원들 가운데 요소는 암모늄 형태의 질소원을 천천히 공급함으로써 생장과 mycophenolic acid 생산을 저해하는 배양액의 급격한 pH 하락을 일으키지 않았다. 요소를 첨가한 실험구는 질산암모늄을 첨가한 대조구보다 발효 생산성이 3.6배 증가하였다. 카제인, 펩톤, casamino acid 같은 우유 단백질 유래 유기질소원들은 대조구에 비하여 mycophenolic acid 발효 생산성을 최고 3.4배까지 증진시켰다. 카제인의 가수분해물인 펩톤과 casamino acid는 mycophenolic acid 발효 생산성뿐만 아니라 세포 생장도 촉진하였다.

명태육을 기질로 한 풍미물질 발효균주의 선발 (Screening of Suitable Mold Strains for Production of Taste Materials from Alaska Pollack Flesh)

  • 신동화;김영명;김동수;이병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1-226
    • /
    • 1990
  • 어육을 발효하여 정미성분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명태육에 전분을 첨가한 발효기질에 8종의 곰팡이를 접종, 발효하여 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모두 어육발효 배지에서 왕성히 증식하였고, $30^{\circ}C$에서 48시간 배양 이후 특징적인 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냄새는 균종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발효어육의 $NH_2-N$ 함량은 명태육에 비하여 25-26배, Ex-N은 6-15배 증가하였고, 명태육으로부터 ADP 생성능력이 높은 균주는 IMP와 GMP 생성능력도 높았다. 발효어육 중의 유리아미노산은 사용균주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lysine 함량이 가장 높고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순이었다. 발효어육 추출액의 관능검사한 핵산 관련물질, $NH_2-N$ 및 Ex-N의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때 어육발효에 비교적 우수한 균주는 Aspergillus oryzae KFCC 11371, Asp. oryzae KFCC 32343, Penicillium roqueforti KFCC 11269 및 Asp. quercinus KFCC 11956이었다.

  • PDF

Mizoribine Inhibits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PGE_2$ in Macrophages

  • Han, Shin-Ha;Kim, Kwang-Hee;Kim, Hyun-Yul;Kwon, Jeung-Hak;Han, Nam-Joo;Lee, Chong-Kil;Kim, Kyung-Jae
    • IMMUNE NETWORK
    • /
    • 제7권1호
    • /
    • pp.31-38
    • /
    • 2007
  • Background: Mizoribine (MZR) is an imidazole nucleoside isolated from Eupenicillium brefeldianum. MZR is currendy in clinical use fo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renal transplantation. Therapeutic efficacy of MZR has also been demonstrated in rheumatoid arthritis and lupus nephritis. MZR has been shown to inhibit the proliferation or lymphocytes by interfering with inosine monophosphate dehydrogenase. Since the exact mechanism by which MZR benefits rheumatoid arthritis (RA) is not clear, we investigated the ability of MZR to direct its immunosuppressive influences on other antigen presenting cells, such as macrophages. Methods: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were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in the presence of MZR.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therapeutic efficacy i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MZR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PGE_2)$ in macrophages. Results: MZR dose-dependendy decreas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pro-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s $1{\beta}$ (IL-${\beta}$ and IL-6 $PGE_2$. Examination of gene expression levels showed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correlated with the down-regulation of inducible niti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cycloxygenase-2 expression and TNF-${\alpha}$ gene expression. Conclusion: In this work, we resulted whether MZR $(1.25{\sim}10{\mu}g/ml)$ inhibited macrophage activation by inhibiting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NO and $PGE_2$. These findings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therapeutic efficacy of MZR in chronic inflammation-associated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