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medicatio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6초

일개한방병원에서 전라북도산후건강지원사업을 이용해 한약치료를 받은 산모에 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f mothers who received herbal medicine treatment using the Jeollabuk-do postpartum health support project at one korean medicine hospital)

  • 정서윤;이은희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64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medical records and online survey of mothers who received herbal medicine treatment using the Jeollabuk-do Postpartum Health Support Project.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proposal of a postpartum questionnaire of korean medicine for the initial examination, and the project direction.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cal records of 46 mothers who received herbal medicine treatment using the Jeollabuk-do Postpartum Health Support Program at one korean medical hospital. The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past history, symptoms, an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the 33 mothers who responded to the online survey questionnaire, 13 items including medication satisfaction, lactation, and side effect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34.46±4.27 years. Musculo-skeletal pain was the most common in both medical records and online surveys. The date of visit from the date of delivery was 47.56±57.15 days. Boheo-tang was prescribed the most, and 84.8% of mothers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ir health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Conclusions: The satisfaction of mothers who received herbal medicine treatment through this project was very high. There were no significant side effects on the mother and the breastfeeding baby who took herbal medicine. In the future, support projects for postpartum korean medical treatment at the national or local level will be necessary.

Implication of microRNA as a potential biomarker of myocarditis

  • Oh, Jin-Hee;Kim, Gi Beom;Seok, Hee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5권5호
    • /
    • pp.230-238
    • /
    • 2022
  • Myocarditis was previously attributed to an epidemic viral infection. Additional harmful reagents, in addition to viruses, play a role in its etiology.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vaccine-induced myocarditis has recently been described, drawing attention to vaccine-induced myocardit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ts pathology is based on a series of complex immune responses, including initial innate immune responses in response to viral entry, adaptive immune response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ntigen-specific antibodies, and autoimmune responses to cellular injury caused by cardiomyocyte rupture that releases antigens. Chronic inflammation and fibrosis in the myocardium eventually result in cardiac failure. Recent advancements in molecular biology have remarkably increased our understanding of myocarditis. In particular, microRNAs (miRNAs) are a hot topic in terms of the role of new biomarkers and the pathophysiology of myocarditis. Myocarditis has been linked with microRNA-221/222 (miR-221/222), miR-155, miR-10a*, and miR-590. Despite the lack of clinical trials of miRNA intervention in myocarditis yet, multiple clinical trials of miRNAs in other cardiac diseases have been aggressively conducted to help pave the way for future research, which is bolstered by the success of recently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approved small-RNA medications. This review presents basic information and recent research that focuses on myocarditis and related miRNAs as a potential novel biomarker and the therapeutics.

정신병적 장애로 첫 내원한 환자들의 임상 특징과 투약 순응도 및 의료 이용 추이: 예비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Drug Adherence to Antipsychotics and Medical Use Trends in Patients First Diagnosed with Psychotic Disorder: A Preliminary Study)

  • 허정운;김동욱;오승택;최원정;박재섭
    • 대한조현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2-50
    • /
    • 2019
  • Objectives: In this preliminary study,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were first diagnosed with psychotic disorder and explored the impact of the adherence to antipsychotics on long-term medical use. Methods: All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related to psychotic disorders including gender, age, income, and drug compliance, from January 1, 2008 to December 31, 2015, were examined. With trend test using Medication Possession Ratio (MPR), we compared the medical use between the compliant group (MRP≥0.8) and the comparative non-compliant group (0.2≤MPR<0.8). Results: Among 28,095 participants in total, 16,239 patients (57.8%) were diagnosed as schizophrenia; the 30s were the most common (n=7,151, 25.5%). Drug compliance was generally low regardless of the diagnosis and was the lowest among 20s with the 40-60% range of income. The compliant group showed lower psychiatric and medical us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following years (p<0.0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tients in the 20s and 30s with the 40-60% range of income, who ar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at the first psychiatric visit, may need more clinical and political attention. The results als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itial drug adherence to antipsychotics in reducing long-term psychiatric costs.

Isolated unilateral temporalis muscle hypertrophy of unknown etiology: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Jun Ho Choi;Seung Yeon Choi;Jae Ha Hwang;Kwang Seog Kim;Sam Yong Lee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278-283
    • /
    • 2023
  • The initial instance of isolated unilateral temporalis muscle hypertrophy (IUTMH) was reported in 1990. Since then, only few cases have been documented. The cause of this condition remains ambiguous; however, it is presumed to be linked to compensatory and stress-induced hypertrophy. We introduce a rare case of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UTMH. A 39-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steadily enlarging pain-free swelling on the left side of her face, first noticed a month ago. Apart from a hyperthyroidism medication regimen her medical history was unremarkable. She had no history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bruxism, surgery, or trauma. However, she complained of having been under substantial stress lately.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asymmetric temporalis muscle hypertrophy. The treatment plan consisted of administering type A botulinum toxin injections into left temporalis muscle, supplemented by lifestyle changes and relaxation techniques. At a follow-up visit 9 months after the injections, the muscle contour was normalized both in physical and in radiologic examinations. While further supportive evidence is needed, it can be anticipated that cosmetic treatment with botulinum toxin, rather than surgical interventions, will become the standard treatment of IUTMH.

Efficacy and safety of radioiodine therapy for 10 hyperthyroid cats: a retrospective case series study in South Korea

  • Yeon Chae;Jae-Cheong Lim;Taesik Yun;Yoonhoi Koo;Dohee Lee;Mhan-Pyo Yang;Hakhyun Kim;Byeong-Teck Ka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4권2호
    • /
    • pp.10.1-10.9
    • /
    • 2024
  • Hyperthyroidism, characterized by elevated thyroid hormone levels and thyroid gland hyperplasia or adenoma, is a prevalent endocrinopathy in older cats. Treatment options include antithyroid drugs, surgical thyroidectomy, and radioiodine therapy (RAIT), which is non-invasive treatment option that can achieve complete remission. However, efficacy and safety of RAIT in hyperthyroid cats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South Korea. This study includes 10 hyperthyroid cats with RAIT. Initial assessments comprised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blood analysis, and serum total T4 (tT4) concentration. Thyroid scintigraphy revealed hyperactivity and enlargement of thyroid gland at 24 hours before the RAIT. Radioiodine (RAI) was injected subcutaneously with 2 to 6 mCi, determined by the fixed dose or the scoring system based on severity of clinical signs, tT4 concentration, and thyroid size individually. After RAIT, the concentration of serum tT4 and liver enzym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discharg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symmetric dimethylarginine, hematocrits, and white blood cell counts pre- and post-treatment. Although 4 cats received RAI twice, clinical signs disappeared and tT4 levels decreased following the RAIT. All 10 cats achieved complete remission after 6 months without critical adverse effect. The safety and the effectiveness of RAIT was confirmed based on protocols reported other countries. Therefore, RAIT could be considered the treatment option and prevent adverse effects from medication or surgery. This preliminary study presents the first evaluation of RAIT for hyperthyroid cats using locally produced RAI in South Korea and provide valuable insight for clinicians and further studies.

내원시 항산균도말검사상 음성인 환자에서 실시한 PCR검사방법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The Usefulness of PCR Study in AFB Smear Negative Patients on Admission)

  • 김창선;손형대;박미란;서지영;조동일;류남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1001-1010
    • /
    • 1997
  • 연구배경 : 내원시 항산균도말검사에서 음성인 환자에서 결핵의 조기진단을 위하여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결핵균 PCR 방법의 민감도와 유용성에 대해 본원에서의 후향적고찰을 통하여 알아보고, 타연구자들의 결과와 비교해보고자 한다. 방 법 : 활동성 결핵이 의심되거나, 결핵의 재발이 의심되는 환자, 그리고 타질환으로 입원하였으나 결핵의 복합감염이 의심되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객담 항산균도말검사나 기관지세척액 항산균도말검사를 실시하여 음성으로 나온 환자 177명에서 PCR검사를 시행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해보고, 또한 동시에 실시된 결핵균 배양검사의 민감도와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결핵성 흉막삼출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흉막삼출액을 이용한 PCR 검사와 배양검사의 결과를 비교하고, 타연구자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결 과 : 내원시 객담도말검사상 음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객담 PCR검사와 배양검사의 민감도는 각각 41.5%, 53.8%로 나타났으며, 기관지세척액을 이용한 경우는 PCR검사와 배양검사의 민감도는 각각 53.8%, 43.6%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원전에 항결핵약제를 복용하지 않았던 군에서는 PCR의 민감도가 45.6%, 배양검사의 민감도는 58.2%였으며, 내원전부터 항결핵약제를 계속복용해오던 군에서는 PCR의 민감도가 60%, 배양검사의 민감도는 50%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 PCR검사와 배양검사의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이유는 타연구자들과는 달리 연구대상환자를 내원이후 3회연속 객담도말음성이고 또한 기관지세척액도 말음성인 경우로 엄격히 제한시켰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특이도는 94.9%로 높은 결과를 보여주어 불필요한 투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는 매우 드믈것으로 생각되어 비교적 안전한 검사방법이라고 사료된다. 내원시 객담도말 음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PCR 검사는 배양검사와 거의 유사한 양성률을 보이고, 기관지세척액을 이용한 경우는 배양검사보다도 더 우수한 양성률을 보이며, 또한 도중에 내원한 경우 역시 배양검사보다 좋은 결과를 내원시 객담도말음성인 경우에는 조기진단을 위해 유용한 검사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

신질환 소아의 예방접종 현황 : 대한소아신장학회 회원들의 접종 방식에 대한 조사 (Immunization Practices in Children with Renal Disease : A Survey of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 박성식;안성연;이주석;김수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2호
    • /
    • pp.198-208
    • /
    • 2002
  • 목적 : 소아 신증후군을 비롯한 신질환 환아는 질병 자체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면역억제제 사용으로 인한 면역 기능 저하로 감염되기 쉬운 상태에 있다. 폐구균 감염,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대장균 등에 의한 복막염, 패혈증에 취약한 상태이고 홍역 및 수두 등에 심한 임상 경과를 취하므로 이들 질환에 대한 적극적 예방접종이 필요하며,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의 호발 연령인 $2{\sim}6$세는 소아의 기본 예방접종의 추가 접종 시기에 속한다. 하지만 신증후군 환아에서 예방접종의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다수의 소아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임상 경과의 시기, 스테로이드 제제의 사용 용량에 따른 예방접종 시기에 대해서도 완전한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지 못하고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소아 신장학 분야의 전문가들에 있어서 행해지고 있는 예방접종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한소아신장학회에 등록된 정회원 5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대상자 56명 중 35명이 응답하였고 (응답률 62.5%), 이중 대학병윈 근무자가 29명(82.8%)이었다. 신증후군 소아에 대한 기본 예방접종은 응답자 35명 모두 일반 소아에서 추천되는 지침과는 다른 수정된 방식으로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었다. 생백신의 경우 관해 이후 고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중에 접종하는 경우는 없었으며 저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중에 접종하는 경우가 12명(24.3%), 스테로이드 끊고 일정 기간 지난 후 접종이 23명(65.7%)이었다. 사백신의 경우는 관해 이전에도 접종하는 경우가 5명(14.3%), 관해 이후 고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중에 접종하는 경우가 5명(14.3%), 저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중에 접종하는 경우가 20명(57.1%). 스테로이드 끊고 일정 기간 지난 후 접종하는 경우가 5명(14.3%)이었다. 신질환 소아에서 추천되는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간염, 폐구균, 독감 등의 예방접종은 신질환 소아 및 면역억제요법을 실시하지 않는 신부전 소아에게 이들 백신을 대부분 접종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스테로이드사용 중인 신질환 소아에서 이들 예방접종시기에 대해서는 응답자 25명(71.4%)이 저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중에 접종하고 있었으며, 단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는 저용량 스테로이드 투여 시 접종하겠다는 응답자가 18명(45.7%)으로 스테로이드 끊고 접종하겠다는 응답자 15명(42.9%)과 비슷하였다. 신증후군 소아에서 예방접종 후 부작용은 백신 접종 후 신증후군 재발을 경험한 응답자가 9명, 백신접종에도 불구 해당 질병 발병을 경험한 접종자가 3명, 생백신 접종 후 백신 균주에 의한 발병을 경험한 접종자가 2명이었다. 결론 : 국내의 소아 신장학 전문가들은 일반 소아에서 권장되는 예방접종 지침과는 다른 수정된 방식에 따른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아직 질병 경과와 스테로이드 사용에 따른 접종 시기에 다양성을 보이고 있었고, 또한 예방접종 후의 부작용을 경험한 경우도 다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다수의 소아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소아 신질한 환아에서 추천되는 예방접종 지침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악성장폐색 환자에서 Octreotide의 치료 효과 (Effect of Octreotide on Patients with Malignant Bowel Obstruction)

  • 박지찬;장이선;전은경;김동규;이욱현;이국진;류시영;최현호;박석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4호
    • /
    • pp.194-198
    • /
    • 2009
  • 목적: 진행성 암 환자에서 악성장폐색은 구역, 구토, 통증을 비롯한 소화기계 증상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악성장폐색의 증상 조절을 위해 octreotide를 투여한 후의 효능에 대한 보고들이 발표되었고, 저자들은 악성장폐색이 있는 환자에게 보존적 치료에 octreotide를 추가하여 투여시의 효과와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의무기록을 통하여 일반적인 치료로 호전이 없어 octreotide를 추가한 악성장폐색의 환자 29명에서 octretide를 0.1 mg을 시작으로 증상 조절될 때까지 증량하여, 약 투여 전후의 통증의 변화, 구토 횟수의 변화, 비위관 삽입환자의 경우 배액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Octreotide 투여량의 중간 값은 0.2 mg이고 0.1~0.6 mg의 범위이며, 약제 투여시점으로부터 사망까지 2일에서 103일의 범위로 중간 값은 20일이었다. 약제 투여 전의 VAS는 평균 5.6$\pm$1.2이고, 약 투여 후 VAS의 평균은 2.7$\pm$1.0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약제 투여 전의 구토 횟수는 평균 3.6회/일$\pm$2.5이었고 약 투여 후에는 0.4회/일$\pm$0.8로 감소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약제 투여전에 비위관 삽입 환자는 평균 975$\pm$1,083 cc/일의 배액이 확인되었고, 약 투여 후에는 평균 115$\pm$196 cc/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일반적인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악성장폐색환자에서 octretide의 추가 투여는 효과적이며 안전하였다. 악성장폐색 환자의 증상조절을 위해서 octreotide의 추가 투여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하겠다.

  • PDF

임플란트 장기간 유지와 변연골 소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후향적 연구 (The risk factors for implant survival and marginal bone loss: a retrospective long-term study)

  • 이은우;정하나;조유진;김옥수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2호
    • /
    • pp.97-109
    • /
    • 2022
  • 목적: 3년 이상 기능한 임플란트의 장기 추적을 통해 임플란트 실패에 기여하는 위험지표를 조사하고 변연골소실(MBL)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전남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임플란트 수술 기왕력이 있는 환자의 진료기록부를 토대로 후향적 조사 시행하였다. 환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임상적 변수와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소실 평가를 위한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환자의 임상변수와 임플란트 실패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후진소거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 시행하였고, 임플란트 장기생존율과 MBL 및 초기 안정성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위해 Pearson 상관분석 시행하였다. 결과: 다중회귀분석 결과 지대주 연결 유형(β = -.189, P < .05), SPT 유무(β = -.163, P < .05), 당뇨(β = -.164, P < .05), 골수염(β = -.211, P < .05)이 MBL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임플란트 장기 성공률에 항응고제, 임플란트 2차수술 시 PTV값이 영향을 미쳤다. 결론: 임플란트 장기 성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지대주 연결 유형을 선택해야 하며, 주기적 SPT가 필요하다. 당뇨병, 골다공증 같은 전신 질환과 항응고제 사용 질환을 고려해야한다. 또한 임플란트 2차 수술시 높은 PTV가 임플란트 장기 생존율과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보철 수복 전 초기 안정성을 신중히 고려해야한다.

Risk Factors of Delayed Surgical Intervention after Conservatively Treated Acute Traumatic Subdural Hematoma

  • Kwon, Hyungjoo;Choi, Kyu-Sun;Yi, Hyeong-Joong;Chun, Hyoung-Joon;Lee, Young-Jun;Kim, Do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0권6호
    • /
    • pp.723-729
    • /
    • 2017
  • Objective : Acute subdural hematoma (ASDH) is generally considered a condition that should be managed surgically. However, some patients initially receive conservative treatment, a subset of whom require surgical intervention lat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edictors of delayed surgical intervention in ASDH patients who are initially managed conservatively. Methods :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5, 842 patients diagnosed with ASDH were treated at our institution. Among them, 158 patients with convexity ASDH were initially treated conservatively.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delayed surgery group and a conservative group.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st medication and medical histories, and radiological and laboratory data were collected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Independent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wi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 Twenty-eight patients (17.7%) underwent delayed surgical intervention. Their mean age was 69.0 years, and 82.1% were male.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nd heart disease prevalence and use of anti-platelet agent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conservative group. However, age (p=0.024), previous cerebral infarction history (p=0.026), increased maximal hematoma thickness (p<0.001), midline shifting (p=0.001) and accompanying subarachnoid hemorrhage (p=0.022) on initial brain computed tomography (CT) scan, low hemoglobin level (p<0.001), high leukocyte count (p=0.004), and low glucose level (p=0.00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layed surgical intervention. In multivariate analysis, increased maximal hematoma thickness (odds ratio [OR]=1.279, 95% confidence interval [CI] 1.075-1.521; p=0.006), low hemoglobin level (OR=0.673, 95% CI 0.467-0.970; p=0.034), and high leukocyte count (OR=1.142, 95% CI 1.024-1.272; p=0.017)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delayed surgical intervention. Conclusion : Due to the high likelihood of delayed surgical intervention among minimal ASDH patients with a thicker hematoma on initial brain CT, lower hemoglobin level, and higher leukocyte count, these patients should receive more careful ob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