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drying rate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1초

Influencing of drying-wetting cycles on mechanical behaviors of silty clay with different initial moisture content

  • Shi-lin Luo;Da Huang;Jian-bing Peng;Fei Liu;Xiao-ran Gao;Roberto Tomas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8권3호
    • /
    • pp.307-317
    • /
    • 2024
  •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drying-wetting cycles (DWC) on the mechanical behaviors of silty clay hiving different initial moisture content (IMC), the direct shear tests were performed on sliding band soil taken from a reservoirinduced landslide at the Three Gorges Reservoir ar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the increasing number of DWC, the shear stress-displacement curves type changed from strain-hardening to strain-softening, and both the soil peak strengths and strength parameters reduced first and then nearly remain unchanged after a certain number of DWC. The effects of DWC on the cohesion were predominated that on the internal friction angle. The IMC of 17% is regarding as the critical moisture content, and the evolution laws of both peak shear strength and strength parameters presented a reversed 'U' type with the rising of the IMC. Based on it, a strength deterioration evolution model incorporating the influence of IMC and DWC was developed to describe the total degradation degree and degradation rate of strength parameters, and the degradation of strength parameters caused by DWC could be counterbalanced to some extent as the soil IMC close to critical moisture content. The microscopic mechanism for the soil strength caused by the IMC and DWC were discussed separately. The research results are of great significance for further understanding the water-weakening mechanicals of the silty clay subjected to the water absorption/desorption.

잠재적 효소식품 원료로서 발아현미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Microwave Vacuum Drying of Germinated Brown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Enzyme Food)

  • 김석신;김상용;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07-1113
    • /
    • 1998
  • 품질이 우수한 효소식품으로의 활용가능성 검토를 위해 현미를 발아시킨 후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로 건조하고 그 건조특성과 품질특성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그리고 동결건조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경우 열전달속도가 빨라 건조 개시후 5분 경과후 $60^{\circ}C$에 도달하였고 건조시간 내내 $60{\pm}2^{\circ}C$를 유지하였으나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개시 60분 경과 후, 진공건조의 경우는 2시간 경과 후에야 $60^{\circ}C$에 도달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의 경우 건조 3시간 후 수분함량 0.08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2의 경우 총건조시간 2시간만에 수분함량 0.O6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다. 열풍건조의 경우 건조시간 4시간만에 수분함량 0.14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최소한 2시간은 더 건조시켜야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초기 건조속도는 0.05 kg water/kg solid/min이었으며 처음부터 건조속도가 계속 감소하는 감률건조를 보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초기 건조속도가 0.0057 kg water/kg solid/min으로서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1/10 수준이었으며 건조개시 30분까지 항률건조를 보이다가 임계수분함량 0.81 kg water/kg solid 부근부터 감률건조가 시작되었다. 건조시료의 ${\alpha}-amylase$ 활성 및 protease 활성은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및 열풍건조의 순서를 보였고, diastatic activity의 경우 동결건조와 마이크로파 진공전조가 거의 대등한 품질보존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로부터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를 이용하여 건조할 경우 최소한 동결건조와 대등한 품질의 건조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리라 예상되었다.

  • PDF

버어리종 담배 건조시 급건엽 발생방지에 관한 연구 II. 차광의 영향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Excessive Drying Leaves during Burley Tobacco Curing II. Effect of the Shading Conditions on the Occurrence of Excessive Drying Leaves)

  • 배성국;임해건;김경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15
    • /
    • 1987
  • Burley 21을 공시품종으로 하여 건조실은 파이프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였고, 시험 I 은 차광율을 10∼90%까지 20%씩 차이를 두어서 5 처리를 하였으며, 시험 II는 흑색차광막, 차광강과 5가지 유색비닐 등으로 차광재료를 달리하여 잎담배 건조시 차광효과와 알맞은 차광재료를 달리하여 잎담배 건조시 차광효과와 알맞은 차광재료를 밝히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차광량이 않을 수록 온도가 낮고 습도는 높은 경향이었다. 2. 노변 전까지의 차광효과는 엽중탈수속도를 지연시키는데 있었다. 3. 급건엽발생은 차광량이 많을 수록 적었으나 차광 70%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4. 품질 및 물리성은 50% 이하의 차광구에서 불량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건조시 차광량의 하한선은 70% 본다. 6. 유색비닐 중 주황색, 백색 및 자주색비닐은 흑색차광막과 충분한 대비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백색비닐은 광에 의한 내구성이 가장 약하였다. 7. 가시광선의 광질 차이는 건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8. 흑색계통의 차광재료는 차광량은 많으나 광energy를 흡수하여 하우스 내 온도를 높이므로, 내구성이 크고 광 반재형 차광재료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 PDF

약용버섯과 식용버섯의 건조방법에 따른 품질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roperties of medicinal and edible mushrooms)

  • 김보민;정은선;안용현;황인욱;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89-695
    • /
    • 2016
  • 약용버섯(영지버섯, 상황버섯)과 식용버섯(새송이버섯, 표고버섯)을 장방형(1 cm)과 정방형($1{\times}1cm$)으로 절단하여 자연건조와 열풍건조($50^{\circ}C$, $70^{\circ}C$)하면서 건조특성을 조사하고 건조 시료의 수축률, 색도 및 재수화성을 조사하였다. 건조 전의 초기수분함량은 약용버섯에 비해 식용버섯이 높았으며, 건조 후 최종수분함량은 약용버섯이 높았다. 건조속도는 $70^{\circ}C$ 열풍건조가 가장 빨랐으며, 장방형절편보다 정방형절편에서 건조 속도가 빨랐다(p<0.05). 수축률은 약용버섯은 $50^{\circ}C$ 열풍건조, 식용버섯은 $70^{\circ}C$ 열풍건조가 가장 작았으며 정방형 절편이 장방형에 비해 낮았다(p<0.05). Hunter 색차계로 색도 값을 조사한 결과, 약용버섯은 자연건조구, 식용버섯은 열풍건조구가 색도 변화가 작았으며, 갈변도를 나타내는 ΔE값도 적었다(p<0.05). 재수화율은 약용버섯은 $50^{\circ}C$ 열풍건조구, 식용버섯은 자연건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50^{\circ}C$ 열풍건조가 비교적 건조시간이 짧으며, 수축률이 낮고, 갈변이 적게 일어나며, 재수화율이 높아서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상온통풍에 의한 벼의 In-Bin 건조 : 건조시간, 에너지 소요량 및 품질에 미치는 건조조건의 영향 (In-Bin Drying of Paddy with Ambient Air: Influence of Drying Parameters on Drying Time, Energy Requirements and Quality)

  • 최홍식;W. 뮬바우어;임종환;신명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5-32
    • /
    • 1985
  • 상온통풍에 의한 벼의 in-bin 건조에 있어서 건조시간, 에너지 소요량, 품질에 미치는 몇가지 건조조건(기후, 초기 수분함량, 벼의 수량 및 풍량)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철제 grain bin(지름 : 3.0m, 높이 : 5.0m) 네 개를 이용하여, 1981년 및 1982년에 각각 수확한 물벼를 그해 수확기에 건조하였을 때, 벼의 수분함유량$(19.2{\sim}25.5%\;W.b.)$, bin내에서의 벼의 높이$(1.1{\sim}3.5m)$ 그리고 풍량$(3.0{\sim}6.9m^3\;air/m^3\;paddy/min)$에 따라 건조에 소요되는 시일은 $5{\sim}17$일이었다. 이와같은 조건의 범위에서는 우리나타 벼수확기의 가을 기후는 벼의 in-bin 상온통풍 건조에 알맞았으며, 최종수분 함량, 도정수율, 쇄미율, 발아율, 지방산가 등의 품질에서도 아무런 문제도 없었으며, 종래의 고온건조방법과 비교했을 때 에너지 소요량과 에너지 비용도 대단히 낮았다.

  • PDF

효소식품으로서 현미코오지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Microwave Vacuum Drying of Brown Rice Koji as an Enzymic Health Food)

  • 김석신;노회진;김상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25-630
    • /
    • 1999
  • 효소식품인 현미코오지를 제조한 후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를 적용하여 건조하고 그 건조특성과 효소활성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경우 열전달속도가 빨라 건조 시작후 $5{\sim}10$분만에 $40^{\circ}C$에 도달한 후 건조시간 내내 $40{\pm}2^{\circ}C$를 유지하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시작 10분 경과 후, 진공건조의 경우는 40분 경과 후 $40^{\circ}C$에 도달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경우 건조 2시간 후 수분함량 0.08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열풍건조의 경우 건조 시작후 2시간이 경과했는데도 겨우 수분함량 0.70 kg water/kg solid까지만 감소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경우는 초기 건조속도는 0.06 kg water/kg solid/min이었으며 처음부터 건조속도가 계속 감소하는 감률건조를 보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 초기 건조속도가 0.0045kg water/kg solid/min으로서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1/10 이하였으며 건조개시 40분까지 항률건조를 보이다가 임계수분함량 0.89 kg water/kg solid 부근부터 감률건조가 시작되었다. 건조시료의 ${\alpha}-amylase$ 활력, diastatic activity 및 protease 활력은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및 열풍건조의 순서를 보여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품질보존효과를 알 수 있었다.

  • PDF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복합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기초 및 크리프 특성 (Basic and Creepy Characteristic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Complexly Using Blast Furnace Slag Powder and Fly ash)

  • 박병관;배장춘;김수영;김복규;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717-720
    • /
    • 2008
  • 본 연구는 BS 및 FA를 복합치환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건조수축 및 크리프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재령경과에 따른 압축강도는 초기재령에서 OPC의 경우 B2F1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재령 28일에서는 B2F1의 경우 OPC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재령경과에 따른 건조수축변화율은 OPC B2F1 모두 재령이 경과됨에 재령 60일에서는 B2F1가 -21${\times}$10$^{-6}$및 -51${\times}$10$^{-6}$로서 OPC보다 약 42 % 정도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프 변형율은 초기재령 에서는 크게 증가하다가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비교적 완만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60일경과 후의 크리프 변형율은 B2F1의 경우 OPC보다 약 13 % 정도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韓國産) 감귤과피(柑橘果皮)의 효율적(效率的)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 감귤과피(柑橘果皮)의 열풍건조(熱風乾燥)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Citrus Peel Waste -I. Drying of Citrus Peel by Hot Air-)

  • 장호남;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5-250
    • /
    • 1977
  • 밀감 과피의 효율적인 건조방법과 건조특성을 알기 위하여 온도, 표면적의 변화, 종류, 화학적 및 물리적 처리후의 건조등에 대하여 열풍건조 실험을 하였다. (1) 상온하에서 자연건조시는 $3{\sim}6$일에 수분함량을 70%에서 20%까지 떨어뜨릴 수 있었다. (2) 온도에 따른 열풍건조는 $60^{\circ}C$에서 50분가량 소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60^{\circ}C$이상에서는 별다른 건조속도의 증가를 볼 수없었다. (3) 표면적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256등분으로 하여 표면적을 약 2배로 한결과 건조시간이 50분에서 15분으로 단축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 문단(文旦)과 병교을 제외하곤 밀감의 종류에 따른건조속도의 변화는 볼 수 없었다. (5) 소석회 처리와 압착후 건조는 둘다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생과피의 경우는 별다른 잇점이없고 최초수분함량이 $1200{\sim}1300%$인 경우는 유리하다고 보아진다. 결론적으로 온주밀감및 대부분의 감귤과피는 잘게 썰어서 $60^{\circ}C$에서 열풍건조 하면 15분정도에서 수분함량을 10%이하까지 건조할 수 있으며 연중을 통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있는 원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명태 건조과정에서 일어나는 수분과 수분활성도 변화가 명태건조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Drying of Alaska Pollack in Controlled Conditions to Identify Major Factors for Textural Properties of Hwangtae)

  • 하주엽;이상현;정경진;조영득;김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903-1907
    • /
    • 2010
  • 명태의 건조경향은 초기의 평형상태가 뚜렷하지 않은 과정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식품건조형태를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건조속도는 어육과 외기의 수분농도차이가 줄어듦에 따른 결과뿐만 아니라, 표면 건조에 의한 고화현상에 의해 수분이동이 억제됨에 따라 느려지게 된다. 명태의 부위별 건조속도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머리 부분이 몸통부분보다 빨랐다. 건조가 진행될수록 어육표면과 중심부의 수분함량과 그에 따른 수분활성도의 차이는 증가함으로써 어육내부의 수분이동이 잘 일어나지 않아 전체적인 건조속도의 저하를 나타내었다. 주어진 외기의 건조조건(온도, 습도, 풍속)에서 초기의 높은 건조속도에 의한 어육 표면응고로 인해 건조개시 수 시간 이내에 어피(피부)와 어피 바로밑부분의 어육과 어체 내부 어육의 수분함량 차이가 급격히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황태 제조과정의 전단계인 건조과정에서 건조가 시작된 뒤 주기적으로 수분활성도의 차이가 급격히 일어나는 시간(지점)은 황태 특유의 조직감을 형성하기 위해 건조과정에서 조직의 고화를 방지함으로써 일정한 건조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시점임을 제시해 준다.

에어로겔의 소결에 의한 실리카 유리의 제조 (Preparation of Silica Glasses via Sintering of Aerogels)

  • 김동준;현상훈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7-367
    • /
    • 1997
  • A fast process for producing pure silica glasses with the reproducibility of 100% by means of sintering of silica aerogels was optimized. The density of silica glasses synthesized by heat-treating upto 110$0^{\circ}C$ with the heating rate of 0.1$^{\circ}C$/min was 2.197 g/㎤. Synthetic silica glasses(5 mm thickness) exhibited the transmittance of 92% in the near IR range as well as they had th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flexural strength of 162 MPa and hardness of 778 kg/$\textrm{mm}^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