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gredient kinds and ratio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우엉김치 재료배합비의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 Ratios of Wooung (Burdock, Arctium lappa, L) Kimchi)

  • 박건영;최미정;한지숙;이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18-624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ingredient ratios of wooung kimchi. The ingredient ratios of model wooung kimchiwere determined by the survey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and using the literatures including cooking books. Several kinds of wooung kimchi were prepared by adjusting the ingredient ratios fo the model wooung kimchi within standard deviation. The wooung kimchi with different ingredient ratios were fermented for 6 days at 15$^{\circ}C$. The 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wooung kimchi were investigated. There was little change in pH but the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decreased, as the ratio of pickled anchovy juice became high. The wooung kimchi adding 9.4% pickled anchovy juice obtained high score in appearanc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ncreased in wooung kimchi adding 5% red pepper powder, and there was obtained better result in appearanc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e other groups. The activity, reducing sugar and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ncreased, as the ratio of glutinous rice paste became high. The wooung kimchi including 6% glutinous rice paste showed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The fermentation process of wooung kimchi accelerated, as the ratio of garlic became high. The wooung kimchi adding 3% garlic showed good appearance and acceptability. In addition to these, the addition of 1.3% ginger ehhanced the appearanc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fermented anchovy juice, 5.0% red pepper powder, 6.0% glutinous rice paste, 3.0% crushed garlic and 1.3% crushed ginger.

  • PDF

주재료에 따른 조선시대 떡류의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s of Joseon Dynasty Tteok (Korean Rice Cake) according to its Main Ingredient)

  • 오순덕;이귀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5-35
    • /
    • 2010
  •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tteok (Korean rice cake) recorded in 21 old literature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according to its main ingredients. Tteok varieties of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into jjin-tteok, chin-tteok, jijin-tteok, salmeun-tteok and guun-tteok and their changes in cooking method were discussed from the early to late eras of the Joseon dynasty. Thes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era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1, 15 and 84 kinds of tteok using non-glutinous rice as the main ingredient, and 6, 24 and 120 kinds using glutinous rice, respectively. Tteok using wheat flour was not foun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reas 6 and 32 kinds were found in the middle and late eras, respectively. There were 1, 4 and 5 kinds of tteoks using buckwheat, and 5, 11 and 19 kinds using other ingredients such as yam, barley, elephant's ear, oat, and arrowroot flour,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eras,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the main ingredient increased in the order of glutinous rice>non-glutinous rice>wheat flour>other ingredient>buckwheat flour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ratio of tteoks using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flours was 1:1.5. The number and types of tteok were noted to increase abruptly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is may be associated with the commercial industrial development that prevai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on their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se old literatures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for the globalization of tteok.

부재료 첨가 배추김치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성 증진효과 (Increase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Changing Kinds and Levels of Sub-Ingredient)

  • 박건영;조은주;이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25-632
    • /
    • 1998
  • To enhance th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13 kinds of kimchi, which were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ub-ingredient added kimchi, were prepared and fermented at 15℃ for 1 day and then at 5℃ up to pH 4.3.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kimchi were studied by using Ames mutagenicity test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and SOS chromotest in E. coli PQ37. Among the kimchi samples, high ratio of red pepper powder(7%) and garlic(2.8% or 5.2%) added kimchi, 1% chinese pepper powder added kimchi and organic cultivated chinese cabbage kimchi significantly reduced(p<0.05)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latoxin B1(AFB1) in Ames test and SOS response against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in SOS chromotest, and also the kimchi inhibited more effectively(p<0.05) the survival and growth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than the standarized kimchi on the SRB assay, MTT assay and growth inhibition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activites of kimchi can be increased by the sub-ingredients such as organic cultivated chinese cabbage, red pepper powder, garlic and chinese pepper powder.

  • PDF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의 재료 배합비가,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Mixing Ratio and Cooking on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Jeonbok- and Obunjaki-Jooks)

  • 양미영;손정우;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3-360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재료배합비에 따른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의 기호도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예비실험을 통해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의 최적의 조리법과 쌀: 물: 참기름: 소금의 최적의 배합 비율을 찾아낸 후 전복과 오분자기 살 및 내장을 첨가한 전복과 오분자기죽의 일반성분 분석, 관능검사, 기계적 검사를 거쳐 다음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복과 오분자기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가장 많았으며,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었고, 내장이 살보다 지방, 회분, 총당의 함량이 많았으며, 수분은 전복살이, 단백질과 회분, 총당은 전복내장이 많았고, 지방은 오분자기 내장이 많았다. 그리고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의 영양성분은 살의 첨가량과 내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백질, 지질, 회분은 증가하였고, 총당은 감소하였다. 내장을 첨가하지않고, 살의 첨가량을 다르게 하여 관능평가한 결과에서는 향미, 감칠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향미와 기호도는 전복살을 40% 첨가한 전복죽이 가장 강했고, 감칠맛은 오분자기살을 40% 첨가한 오분자기죽이 가장 높았다. 내장은 쌀 중량의 4%로 일정하게 첨가하고, 살의 첨가량만을 다르게 하여 관능평가한 결과에서 점도는 오분자기살을 40% 첨가한 오분자기죽이, 색과 향미는 전복살 40% 첨가한 전복 죽이, 감칠맛은 오분자기살 30% 첨가한 오분자기죽이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냈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전복살 30% 첨가한 전복죽이 가장 좋았다 그리고 내장의 비율을 다르게하여 관능평가한 결과에서도 점도는 오분자기 내장 12% 첨가한 오분자기죽이, 색과 향미는 오분자기 내장 12%를 첨가하였을 때, 감칠맛은 4%를 첨가하였을 때, 그리고 전박적인 기호도는 전복내장 4%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았다. 또한 기계적 검사와 관능평가에 의해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이 점도가 증가하고 녹색이 옅으며, 황색에 가까울수록 기호도가 증가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영양면에서 단백질 함량은 오분자 기죽이 전복죽보다 우수하였으며, 기호도면에서도 전복죽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내장을 첨가하지 않은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에서는 살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나, 내장을 4% 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에 살의 첨가량을 30%로 한 것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 내장의 첨가가 경제적이고 영양면이나 기호도에 좋은 영향을 주었다.

  • PDF

인산염이 견사련용수의 경수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Sodium Phosphates as Auxiliary Agents for Softening Hard Water to Degum Silk)

  • 신봉섭;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7-43
    • /
    • 1994
  • 네 종의 서로 다른 인산염을 견정련 보조제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정련용수 중 금속이온의 봉쇄, 정련용액의 pH 변화, 그리고 연감효과에 대하여 검토하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칼슘경도성분에 대한 봉쇄효과는 TSPP와 SPD가 높은 봉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PM과 SHP는 비교적 낮은 봉쇄효과를 보였다. 2. 철성분에 대한 봉쇄효과는 SHP와 TSPP가 우수한 봉쇄능력이 있었다. 3. 4종의 인산염 중 TSPP와 pH값이 가장 높지만 비누에 비해서는 낮다. 4. 정련속의 pH값은 인산염의 종류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으나 pH값이 클수록 정련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배추김치의 표준화 연구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 조은주;이선미;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4-332
    • /
    • 1998
  • 배추김치의 표준화를 위하여 조리서 및 관련 연구 논문과 김치공장에서의 담금방법과 재료배합비의 표준값을 구하여 표준화김치로 선정하고 뚜렷한 차이가 있었던 고춧가루의 첨가농도는 관능검사 및 이화학적 실험과 항돌연변이 효과와 in vitro 항암 기능성을 검토하여 결정하였다. 배추김치 담금시 사용빈도가 50% 이상인 부재료는 무, 파였으며, 양념류로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 설탕으로 나타났다. 또 재료배합비는 절인배추 100에 대해 무 $13.0{\pm}7.0$, 파 $2.0{\pm}0.5$, 마늘 $1.4{\pm}0.4$, 생강 $0.6{\pm}0.3$, 멸치액젓 $2.2{\pm}1.6$, 설탕 $1.0{\pm}0.3$, 최종염도 $2.7{\pm}0.3$로 결정되었으며,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차이를 보여 $2.5{\pm}0.3$$3.5{\pm}0.8$로 나타났다. $15^{\circ}C$에서 0, 2, 4, 6, 8, 10일간 김치를 발효시키면서 관능검사및 이화학적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발효 기간은 4일이 가장 적당히 익은 상태였다.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3.5%인 경우가 2.5%인 경우에 비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고, pH가 서서히 감소되어 보존성도 있었으며, 김치의 맛에 관여하는 젖산균인 Leuconostoc속 젖산균수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선정된 표준화 배추 김치 즙액은 $AFB_1$에 대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고, SRB assay에서는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는데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3.5%인 경우가 2.5%인 경우에 비해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표준화 배추김치의 재료 및 배합비는 배추 100에 대해 고춧가루 3.5, 무 13.0, 파 2.0, 마늘 1.4, 생강 0.6, 멸치 액젓 2.2, 설탕 1.0, 최종염도 2.7로 결정되었다. 배추김치의 담금방법은 배추를 10% 소금물에서 10시간 절이고, 물기를 뺀 후, 무, 파는 채 썰어 고춧가루 갠 것을 넣은 다음, 멸치액젓을 넣고, 마늘, 생강, 설탕을 섞은 후 고루 버무린다.

  • PDF

한식육류구이용 양념장에 이용된 기름의 혼합율에 따른 지방의 영양균형성 평가 (Evaluation on Nutritional Balance by the Rate of Mixed Oil in Korean Style Broiled Beef and Pork by the Self-Developed Computer Program)

  • 김갑영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87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balance of fatty acids for the Korean style broiled beef and pork ingredient of the rate of mixture oil with sesame oil, soybean oil and perilla oil, by self-developed computer program. Each 3 kinds of Korean style broiled beef and pork by the rate of mixure oil with sesame oil, soybean oil and perilla oil, were evaluated by using the self-developed computer program. Contents of calories were 415.6kcal in Korean style broiled beef, 656.3 kcal in Korean style broiled pork. The mean of protein were 41.35g, Korean style broiled beef, 32.66g, Korean style broiled pork. The ratio of C/P/F ratio of Korean style broiled beef and pork, 21/ 40/ 39, 10/ 20/ 70. The mean P/ M/ S of fatty acids in Korean style broiled beef and pork ratio was similar $0.4{\sim}0.5/\;1.4{\sim}1.5/\;1$. The ${\omega}6/{\omega}3$ ratio of fatty acids of Korean style broiled beef and pork using sesame oil was 54.3, 56.9 much higher than desirable $level(4{\sim}8)$. But the ${\omega}6/{\omega}3$ ratio of fatty acids of Korean style broiled beef using mixture oil with sesame oil, soybean oil and perilla oil were 4.6, 4.2 desirable $level(4{\sim}8)$, Korean style broiled pork using mixture oil with sesame oil, soybean oil and perilla oil were 3.0, 6.2. It means the ${\omega}6/{\omega}3$ ratio of fatty acids of Korean style broiled beef and pork was improved of desirable level respectively by using the mixture oil with sesame oil, soybean oil and perilla oil, than using sesame oil.

  • PDF

Characteristics of Wet and Dried Distillers Grain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Effects of Dietary Wet Distillers Grains on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 Kim, Ill Young;Ahn, Gyu Chul;Kwak, Hyung Jun;Lee, Yoo Kyung;Oh, Young Kyoon;Lee, Sang Suk;Kim, Jeong Hoon;Park, Keun 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5호
    • /
    • pp.632-638
    • /
    • 2015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ent composition,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IVDMD) and organic matter disappearance (IVOMD) of three kinds of distillers grains (DG); i) wet distillers grains (WDG, KRW 25/kg), ii) dried distillers grains (DDG, KRW 280/kg), iii)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DDGS, KRW 270/kg) produced from tapioca 70% and rice 30%, and to evaluate dietary effects of WDG on the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In Exp. 1, twelve-WDG, four-DDG and one-DDGS were collected from seven ethanol plants. Average crude protein, crude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of WDG, DDG, and DDGS were: 32.6%, 17.8%, 57.5%, and 30.2% for WDG, 36.7%, 13.9%, 51.4%, and 30.5% for DDG, and 31.0%, 11.9%, 40.3%, and 21.2% for DDGS (DM basis), respectively. The DDGS had a higher quantity of water-soluble fraction than WDG and DDG and showed the highest IVDMD (p<0.05) in comparison to other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time. The IVDMD at 0 to 12 h incubation were higher (p<0.05) in DDG than WDG,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24 to 72 h. The same tendency was observed in IVOMD, showing that DG made from tapioca and rice (7:3) can be used as a feed ingredient for ruminants. Considering the price, WDG is a more useful feed ingredient than DDG and DDGS. In Exp. 2, 36 Hanwoo steers of 21 months ($495.1{\pm}91k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for 85 days; i) Control (total mixed ration, TMR), ii) WDG 10% (TMR containing 10% of WDG, as fed basis), and iii) WDG 20% (TMR containing 20% of WDG, as fed basis). With respect to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WDG treatment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Dry matter intake of control (9.34 kg), WDG 10% (9.21 kg) and 20% (8.86 kg) and feed conversion ratio of control (13.0), WDG 10% (13.2) and 20% (12.1) did not show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WDG treatments. Thus, the use of WDG up to 20% in TMR did not show any nega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능이버섯과 미강 혼합 추출물의 β-Gluca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β-Gluca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ixed Extract from Sarcodon aspratus and Rice Bran)

  • 심완섭;최선일;정태동;조봉연;최승현;한웅호;이진하;서유리;김혜빈;임기택;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0-20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능이버섯과 미강이 혼합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해 혼합 비율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용성분 분석 및 항산화능 평가에 앞서 소재별 추출 시간에 따른 $^{\circ}Brix$를 측정함으로써 $95^{\circ}C$ 열수 조건에서 1시간 추출법의 최적의 추출 조건을 확립하였고, 혼합 비율 별 추출물을 제조 한 후 추출 수율, ${\beta}-glucan$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FRAP value,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추출 수율의 범위는 24.3%~35.3%였으며, 100% 미강이 함유된 S-5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에서는 모두 30% 이상의 높은 추출 수율을 획득하였다. ${\beta}-glucan$ 함량은 능이버섯이 100% 함유된 S-1 추출물보다 능이버섯이 30% 함유된 S-4 추출물에서 $1.73{\pm}0.11%$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 값을 나타내었다. 혼합물들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DPPH radical 소거능, FRAP value 측정,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 결과 혼합물 내 미강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그 항산화력이 우수하였다. 이는 추출 과정에서 혼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능이버섯과 미강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능이버섯과 미강 따라서 30% 이상의 우수한 추출 수율, 가장 높은 ${\beta}-glucan$ 함량 및 우수한 항산화력을 바탕으로 능이버섯과 미강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한 그들의 혼합비는 능이버섯과 미강의 3:7의 비율(S-4)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나박김치의 제조 표준화 및 발효온도별 젖산균의 생육과 CO2 생성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and CO2 Levels of Nabak Kimchi at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 공창숙;서정옥;박순선;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07-714
    • /
    • 2005
  • 각종조리서 및 문헌의 자료를 이용하여 나박김치의 재료 배합비 및 제조 방법을 표준화하였다. 표준화한 방법으로 제조한 나박김치의 저장온도별$(5,\;10,\;20^{\circ}C)$ 발효특성과 $CO_2$ 생성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나박김치의 재료 배합비는 물 100 mL$(54.9\%)$에 대해 절인 배추 $45.0{\pm}26.7\;g(24.7\%)$, 무 $26.9{\pm}10.3\;g(14.8\%)$, 파 $1.9{\pm}0.6g(1.0\%)$, 홍고추 $1.0{\pm}0.2g(0.5\%)$, 마늘 $1.2{\pm}0.5g(0.7\%)$, 생강 $0.9{\pm}0.4g(0.5\%)$, 고춧가루 $0.7{\pm}0.4g(0.4\%)$로 나타났다. 나박김치의 표준 제조방법으로는 무와 배추는 깨끗이 씻어서 준비하고 각각 $2.5\times2.5\times0.5cm$의 크기로 썰어서 20분간 소금을 뿌려서 절인다. 파와 홍고추는 2.5 cm 길이로 채 썰어서 준비한다. 마늘과 생강은 다져서 준비하고, 고춧가루는 물에서 우려내어 멸균한 2겹의 gauze로 짜서 나박김치 국물을 만든다. 절인 무와 배추는 수돗물로 씻어 물기를 뺀 후 준비된 재료 및 양념과 함께 버무린 다음 국물을 부어서 나박김치를 제조한다 나박김치의 산도는 $5^{\circ}C$에서는 8일째에 $0.21\%,\;10^{\circ}C$에서는 3일째에 $0.20\%,\;20^{\circ}C$에서는 1일째 에 $0.31\%$로 되었다. pH와 산도의 관계에서는 김치의 적숙기에 해당하는 pH $4.2\~4.5$ 사이에서 나박김치의 산도는 $0.20\~0.25\%$ 사이에 있었다. 다른 종류의 김치에서와 같이 나박김치는 높은 Leuconostoc sp.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낮은 발효온도$(5^{\circ}C)$에서는 발효 말기에 Leuconostoc sp.균의 생성이 많아졌다. 그러나 $5^{\circ}C$에서 나박김치의 Lactobacillus sp.균은 다른 발효온도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CO_2$함량은 발효의 진행과 함께 초기부터 증가하였다가 급속히 감소하였다. 나박김치의 pH와 $CO_2$ 함량의 관계에서, $5^{\circ}C,\;10^{\circ}C$$20^{\circ}C$의 발효온도에서 각각 pH $4.0\~4.4$, 3.8, 3.4에서 가장 높은 $CO_2$ 함량을 나타내었다. $5^{\circ}C$에서 발효시킨 나박김치가 적숙기 pH에서 가장 높은 $CO_2$함량을 나타내어 $5^{\circ}C$의 저온에서 나박김치를 발효할 경우 맛 증진과 가식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