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visualization

검색결과 2,097건 처리시간 0.039초

공간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시각화 방법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for Spatial Big Data)

  • 서양모;김원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109-1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간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을 정의하고 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높일 수 있는 정보 시각화 방법론을 조사하였다. 또한 시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를 공간정보의 정량적인 확장의 결과와 빅데이터의 정성적인 확장의 결과로 정의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최근 활용 서비스 측면이 이슈화 되면서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가 주목받고 있다. 정보 시각화의 방법은 Matthias, Ben, 정보디자인교과서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 되어 있으나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는 방대한 양의 원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조직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차이점이 있다. 추출된 정보는 특성에 따른 적합한 시각적 표현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없으므로 필터링, 샘플링, 데이터 비닝, 클러스터링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축소하여 표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Visualization Data Mining Tool을 활용한 보험사기 적발 (Dectection of Insurance Fraud using Visualization Data Mining Tool)

  • 성태경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49-6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심각한 사회 및 경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보험사기를 효과적으로 적발하기 위하여, visualization 데이터마이닝 tool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가장 효과적인 visualization 데이터마이닝 tool로 인정되고 있는 i2사의 Analyst's Notebook을 활용하여 대량의 보험금 청구 자료로부터 보험사기의 혐의가 가는 거래를 찾고, 이를 근거로 보첩사기의 혐의를 입증하는 일련의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visualization 데이터마이닝 tool이 대량의 보험금 청구 자료에서 혐의가 가는 거래를 찾는 단순한 예측의 수준을 넘어, 관련 범죄를 추적하여 체계적, 계획적으로 기획된 보험사기단을 추적해내는 성과를 올렸다. 따라서 보험사기 둥과 같은 부정거래나 범죄 행위를 적발하는 데는 visualization 데이터마이닝 tool이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CiteSpace 적용을 통한 디지털 보존 지식영역 비주얼화 연구 (A Study on Visualization of Digital Preservation Knowledge Domain Using CiteSpace)

  • 김희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89-104
    • /
    • 2005
  • 디지털 보존 주제분야를 중심으로 지식영역 비주얼화(knowledge domain visualization)를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1990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 동안의 Web of Science DB를 중심으로 총 74건의 문헌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지식영역 비주얼화를 위하여 사용한 툴은 서지DB를 중심으로 비주얼 데이터마이닝 결과를 제공하는 Java 어플리케이션인 CiteSpace이다. 분석 결과, 디지털 보존 분야의 핵심적인 지식 영역은 최신정보기술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보존전략, 정보네트워크와 보존시스템, 전자정부와 지식관리의 세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Data Visualization and Visual Data Analytics in ITSM

  • Donia Y. Badawoo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6호
    • /
    • pp.68-76
    • /
    • 2023
  • Nowadays, the power of data analytics in general and visual data analytics, in particular, have been proven to be an important area that would help development in any domain. Many well-known IT services best practices have touched on the importance of data analytics and visualization and what it can offer to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 Yet, little research exists that summarises what is already there and what can be done to utilise further the power of data analytics and visualization in this domain. This paper is divided into two main parts. First, a number of IT service management tools have been summarised with a focus on the data analytics and visualization features in each of them. Second, interviews with five senior IT managers have been conducted to further understand the usage of these features in their organisations and the barriers to fully benefit from them. It was found that the main barriers include a lack of good understanding of some visualization design principles, poor data quality, and limited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and shortage in data analytics and visualization expertise.

정보 특성 시각화 시스템 구축 (Implementation of an Information Feature Visualization System)

  • 조윤기;하재관;구연설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5호
    • /
    • pp.487-495
    • /
    • 2000
  • 정보 특성 시각화는 기존의 정보 검색 기법과 시각화 기법을 통합하여 방대하고 다양한 인터넷 정보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정보 검색 시 요구되는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키며, 검색된 결과에 대한 통계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검색 결과 중에 정보에 관련된 동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전자 도서관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최근 정보 시각화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주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시각화 기법에 대한 연구와 이를 적용한 검색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정보의 특성을 체계적이며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정보 시각화의 구성 요소를 다양한 뷰를 통해 획일화하고 구조적 정보 분류 기법을 적용한 새로운 차원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정보를 항해하고 정보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검색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검색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이해도와 검색의 효율을 향상시켰다.

  • PDF

GML Map Visualization on Mobile Devices

  • Song, Eun-Ha;Jeong, Young-Si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1호
    • /
    • pp.33-42
    • /
    • 2010
  • GIS can only be applied to certain areas by storing format. It is subordinate to a system when display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t is therefore inevitable for GIS to use GML that supports efficient usage of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interoperability for integration and sharing. The paper constructs VisualGML that translates currently-used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DXF (Drawing Exchange Format), DWG (DraWinG), or SHP (Shapefile) into GML format for visualization. VisualGML constructs an integrated map pre-process module, which filter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its tag and properties, to provide the flexibility of a mobile device. VisualGML also provides two major GIS services for the user and administrator. It can enable visualizing location search. This is applied with a 3-Layer POI structure for the user. It has trace monitoring visualization through moving information of mobile devices for the administrator.

발전된 보안 시각화 효과성 결정 모델 (Decision Model of the Effectiveness for Advanced that Security Visualization)

  • 이민선;이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47-162
    • /
    • 2017
  • IT 환경의 변화 속에서 다양한 서비스와 기기의 출현으로 인하여, IT 규모의 증가와 더불어 데이터의 복잡도가 높아지면서 많은 조직에서 보안 상황 인지를 위한 대량의 데이터 분석 및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조직의 위험관리에 있어서 보안 상황의 인지와 대응이 늦어지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시각화를 통한 보안 상황 인지 효과의 향상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각화와 관련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선행 연구를 통해 사용자 유형, 상황 인지 단계, 정보 시각화의 속성 등을 고려하여 효과적 시각화를 위한 평가 요인과 대안을 선정하고 AHP 계층 모델을 수립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 기준 의사결정 문제의 해결을 위한 AHP 기법을 활용하여 효과적 시각화를 위한 요인과 요인별 대안의 중요도를 산정함으로써, 시각화의 목적 및 사용자 유형에 따라 보안 상황의 인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시각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경제통계 시각화의 현황과 과제 (Visualizing Korean economic statistics)

  • 이긍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313-1325
    • /
    • 2017
  • GDP, 소비자물가, 국세수지, 실업률 등 경제통계는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측정되고 있다. 또한 경제통계는 산업, 상품, 지역 등의 분류에 따라 측정된다. 우리의 관심은 경제통계가 시간에 따라 어떤 패턴으로 움직이고, 현시점에서 경제통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나라 또는 지역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통계청, 한국은행 등 통계작성 기관은 보도자료와 웹 등에서 경제통계를 시각화하여 경제통계에 대한 이용자 측면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 한국은행의 경제통계 시각화를 검토 정리한 후 언론 등의 경제통계 시각화 결과를 참고하여 향후 경제통계 시각화의 과제를 정리하였다.

지리정보를 갖는 통계 데이터의 Visualization

  • 이정진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29
    • /
    • 2003
  • 정보화시대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 일상생활에 친숙하게 다가온 기술 중의 하나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이다. GIS는 공간(지표, 지하, 해양 등)상에 분포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 여러 종류의 세밀한 지도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관리하는 종합정보기술이다. 통계 데이터 중에는 지리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하지만 지리정보를 갖는 통계 데이터의 탐색적 자료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을 위한 Visualization 기법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GIS를 위한 벡터맵(vector map)의 간단한 제작방법과 GIS의 개발방법, 그리고 탐색적 자료분석을 위한 Visualization기법을 소개한다.

  • PDF

지식 표상 방법을 이용한 정보 검색 시각화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Tool using Knowledge Representation)

  • 지혜성;박기남;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383-39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지식 표상 방식을 이용한 정보 검색 시각화 도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정보 검색 시각화 도구는 사용자 검색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의도를 자동 추출하고, 추출된 검색의도를 지식 표상 방식 구조로 시각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검색의도 표상 방식을 위한 스키마는 인지 심리학적 지식 표상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행동실험을 통해 그 효용성을 증명하였다. 실험결과 정보 검색 시각화 도구는 기존 검색방법에 비해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약 39%의 향상이 있었으며, 정보 검색 과정에서의 재검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