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search channel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7초

균일 오율의 시공간 격자상 부호 설계 (Design of Space-Time Trellis Code with Uniform Error Property)

  • 정영석;이재홍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8호
    • /
    • pp.59-68
    • /
    • 2006
  • 채널 부호의 균일 오율에 대한 연구는 부가성백색가우시안 채널에 대해 국한되어 연구되어 왔으며, 기하학적 균일성으로 불려왔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 채널과 수신기를 완전히 묘사해주는 확률밀도함수를 직접 다루어 균일 오율 특성을 다중 송수신안테나가 사용되는 시공간 부호로 확장한다. 또한 빠른 페이딩 채널에서 곱거리 스펙트럼를 고려한 기하학적 균일 시공간 부호 설계 과정을 보여준다. 균일 오율 특성으로 부호 검색의 복잡도가 현격히 감소하고, 이런 복잡도 감소는 높은 상태 수를 갖는 시공간 격사상 부호에 대해서도 최적의 부호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새로 설계된 부호가 다른 알려진 부호들에 비해 빠른 페이딩 채널에서 더 좋은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한다.

한글 NAVTEX시뮬레이터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angul-NAVTEX Simulator)

  • 이헌택;김기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819-830
    • /
    • 1999
  • NAVTEX system is an international automated direct-printing service, broadcast on 5181kHz and 490kHz, for the promulgation of navigational and meteorological warnings and urgent information to ships. With our government's adop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SAR(Search and Rescue) in 1993, various trials for the installation of NAVTEX system have been executed by the government committee, relating laboratory and experts. An important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for NAVTEX system is the availability that could broadcast messages written in korean letter. Also, the receiver which can process the signal demodulated from the two frequencies, 518kHz and 490kHz, should be developed and supplied in domestic. In this paper, the code table and algorithm for conversions between NAVTEX characters and Korean Letters are studied, and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of code conversion are developed. Circui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NAVTEX simulator using the Direct Digital Synthesizer are discussed, code conversion algorithm and signal processing technique of the NAVTEX transmission are programmed in its circuits. For evaluating the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receiving module which has I-Q channel structure is designed. From the measurements of simulator, the characteristics show the frequency stability of the $(\pm)2Hz$ and Spurious free dynamic range is -63dBc. And the simulator can generate simultaneously wanted signal and several interfere signals. So, its capability is valuable for designers of the transmitting system and NAVTEX receiver, for provider as testing facilities of the type approval.

  • PDF

고속 시변 채널 OFDM을 위한 저복잡도 양방향 탐색 순차적 간섭 제거 (Low Complexity Bilateral Search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OFDM in Fast Time-Varying Channels)

  • 임동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호
    • /
    • pp.9-1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고속 시변 채널 OFDM을 위한 저복잡도 양방향 탐색 순차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방식을 제안한다. SIC에서는 오류 전파에 의한 성능 저하 가능성으로 인하여 심볼 블록 내에서의 심볼 검출 순서가 전체적인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조건 심볼오류확률(Conditional Symbol Error Probability: CSEP)을 기준으로 최초로 검출되는 심볼을 결정하고, 그 다음 검출될 심볼은 기검출된 심볼군의 경계에서 양방향으로 탐색하여 CSEP를 갱신한 후 결정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방식은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높은 SNR 영역에서 거의 동일한 계산량으로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제안된 방식은 비트에러율 = $10^{-5}$에서 성능 상한치인 정합필터 한계(Matched Filter Bound: MFB)에 2dB 이내로 접근하는 성능을 가진다.

경량 블록 암호 PIPO의 MILP-Aided 디비전 프로퍼티 분석 및 인테그랄 공격 (MILP-Aided Division Property and Integral Attack on Lightweight Block Cipher PIPO)

  • 김제성;김성겸;김선엽;홍득조;성재철;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875-88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경량 블록 암호 PIPO에 대한 인테그랄 구별자(integral distinguisher)을 탐색한 결과를 통해 8-라운드 PIPO-64/128에 대한 키 복구 공격을 수행한다. ICISC 2020에서 제안된 경량 블록 암호 PIPO는 고차 마스킹 구현을 고려한 설계를 통해 부채널 공격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효율적인 구현이 가능하다. 동시에 차분 분석, 선형 분석 등의 다양한 분석법을 적용하여 PIPO의 안전성을 보였다. 그러나 인테그랄 공격에 대해, 5-라운드 이상의 인테그랄 구별자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제안되었을 뿐 인테그랄 공격에 대한 안전성 분석은 현재까지 수행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MILP 기반 Division Property를 통해 PIPO에 대한 인테그랄 구별자를 탐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기존의 결과와 달리 6-라운드 인테그랄 구별자가 존재함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PIPO의 라운드 함수 구조를 활용하여 입출력에 대한 선형 변환을 고려하는 인테그랄 구별자 탐색 방법을 통해 총 136개의 6-라운드 인테그랄 구별자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획득한 6-라운드 인테그랄 구별자 중 4개를 이용하여 2124.5849의 시간 복잡도와 293의 메모리 복잡도를 가지는 8-라운드 PIPO-64/128 키 복구 공격을 제안한다.

이차원 C/A 코드 검색 공간에서의 이중피크 검출을 이용한 기만신호 대응 기법 (Anti-Spoofing Method Using Double Peak Detection in the Two-Dimensional C/A Code Search Space)

  • 권금철;양철관;심덕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57-164
    • /
    • 2013
  • 일반적으로 기만신호는 GPS 신호보다 세기가 강한 신호이기 때문에 기만신호가 가해졌을 경우 GPS 신호의 정보를 획득하기는 어렵다. 특정 위성에 대한 기만신호가 발생하면 위성신호 획득시 도플러 주파수와 코드 페이스의 2차원 공간에 두 개의 피크가 존재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기만신호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각각의 신호획득 결과에 대한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신호추적과정을 수행하여 기만신호를 제외한 GPS 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사위성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가시위성 중 하나의 PRN에 대한 기만신호를 생성한 다음 소프트웨어 수신기를 이용하여 두 번의 신호획득 과정을 수행하여 두 개의 피크를 검출하고 각각에 대한 신호추적 이후 정상적인 GPS 신호의 결과를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D 렌더링 및 실시간 물체 검출 기능 탑재 캔위성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anSat System With 3D Rendering and Real-time Object Detection Functions)

  • 김영준;박준수;남재영;유승훈;김송현;이상현;이영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8호
    • /
    • pp.671-680
    • /
    • 2021
  • 본 논문은 정찰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제작하여 캔위성 플랫폼과 지상국에 탑재 후 기능을 검증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주요 정찰 임무는 크게 2가지로 구성되는데, 레이더와 GPS, IMU 센서를 이용해 주변 지형을 3D로 렌더링하는 지형탐색과 광학 카메라 영상분석을 통한 실시간 주요 물체 검출이다. 그리고 캔위성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GUI 소프트웨어를 통해 데이터 분석효율을 향상하였다. 구체적으로 지형정보와 물체 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지상국에서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였으며, 비정상패킷 예외처리와 시스템 초기화 기능을 통해 임무 실패를 방지하였다. 통신계는 LTE와 AWS 서버를 통한 통신을 메인 채널로 사용했고, 보조 채널로 지그비를 사용하였다. 완성된 캔위성을 로켓 발사 방식과 드론 탑재 방식으로 공중 낙하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지형탐색과 물체 검출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모든 결과를 실시간으로 처리 후 지상국 소프트웨어에 성공적으로 시현하였다.

도서관. 정보학교육의 공통핵심영역에 관한 연구

  • 송영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97-126
    • /
    • 1981
  • The professional duties of librarians and other information workers involve a generalized body of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the so-called, 'common core') which is a n.0, pplicable worldwide without regard to national boundaries, levels of economic and technical development or cultural context. The current study is an attempt to validate and su n.0, pport this common core concept through a detailed examination of its important role in the sound develop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oth as a learned subject and as a profession. Following an initial overview of generally agreed upon core areas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ians and information specialist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anifold social changes rapidly being effected by computer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ocus shifts to the proliferation of academic homes for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core areas in information science. Of note 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cience as a broadly accepted social science discipline and the evolving core curriculum in library schools. To this regard the fact that the popularization of computer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increasingly blurring the once-sharp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librarians and information specialists naturally favors common core concept. Major figur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such as Shera, Saracevic and Foskette su n.0, pport this concept and have already identified its theoretical infrastructure. Finally, UNESCO and IFLA are also stressing the common core cure curriculu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oth as guidelines for the Third World and as a means to achieve universally accepted academic standards. In conclusion, the search for a comprehensive common core curriculu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s still in the elementary stages. The task of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this common core is among the most crucial responsibilities facing today's educators and professionals for the successful elaboration of a common core would enable us to attain three highly desirable professional goals: 1) To determine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 To serve as the base for further professional education and specialized research. 3) To offer enhanced o n.0, pportunities for integrat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programs by providing a genuine two-way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s.

  • PDF

미세유체소자와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미생물의 3D 이미징과 세그먼테이션 (3D sensing and segmentation of microorganism using microfluidic device and digital holography)

  • 신동학;이준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47-452
    • /
    • 2013
  • 미세유체소자(microfluidic device)는 미생물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에 대해서 정확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세유체 소자와 디지털 홀로그래피 마이크로스코피 기술로 구성된 시스템을 구성하고 미생물의 3D 이미징과 세그먼테이션을 설명한다. 각각의 미생물은 미세유체 채널을 통하여 흘러가며 홀로그래피 마이크로스코피가 홀로그램을 기록한다. 기록된 홀로그램은 Fresnel 변환을 통하여 컴퓨터적으로 복원되며, 복원된 영상의 위상성분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위치 정보를 찾기 위한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광학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향링크 Massive MIMO 시스템에서 파일럿 할당 알고리즘 (Pilot Assignment Algorithm for Uplink Massive MIMO Systems)

  • 장석주;공한배;이인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8호
    • /
    • pp.1485-149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상향링크 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 상황에서의 파일럿 할당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기존에 제안된 파일럿 할당 알고리즘은 최적 알고리즘에 비해 성능 열화가 크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Pre-determined Interference 기법과 Pre-determined Desired-term 기법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최적 알고리즘에 비해 복잡도가 낮음과 동시에 성능 열화가 작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을 확인한다.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개인화 모바일 웹 뉴스 컨텐츠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onalized Mobile Web News Contents Creation using Keyword Analysis)

  • 한승현;임영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77-28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웹 뉴스 채널 컨텐츠의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개인화된 모바일 웹 컨텐츠 생성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기존의 웹 사이트의 뉴스기사 검색에서 제공하는 RSS와 연계된 웹 컨텐츠에서 빠르게 데이터를 획득하고, 키워드 분석을 통한 개인화 기법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필터링한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많은 뉴스 채널에서 보다 빠르고 쉽게 모바일용 웹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어 컨텐츠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키워드 분석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사용자들의 보다 세밀한 관심영역에 대응할 수 있으며 컨텐츠 필터링과 컨텐츠 접근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