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l labor marke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Arrival at the Caspian Coast: Migration, Informality and Urban Transformation in Sumqayit, Azerbaijan

  • JAGER, PHILIPP FRANK
    • Acta Via Serica
    • /
    • 제5권2호
    • /
    • pp.51-90
    • /
    • 2020
  • The city of Sumqayit in Azerbaijan was famous in the USSR for its chemical plants, which supplied the whole country with plastics, detergents, and fertilizers. While production increased in the post-WWII period, young people from remote Caucasian villages were attracted as workers to the industrial settlement on the shore of the Caspian Sea and worked together with specialists from all over the USSR. Migration did not stop when the USSR collapsed. To the contrary, mobility increased as Azerbaijani refugees from Armenia and IDPs from Karabakh fled to Sumqayit, which grew to become the second-largest city of Azerbaijan. Although a generation has passed since the ceasefire, IDPs still are separately administered. In the last 20 years, more and more internal migrants have chosen the Greater Baku Region as their destination, mostly finding jobs in the informal labor market. In the post-independence transformative period, informal housing has offered migrants a place to stay in the city. Sumqayit can be regarded as an arrival city, an established urban platform for migrants who prefer internal over transnational migration.

브라질 비정규노동의 제한적 활용과 정규직화 요인 (Restricted Use of Contingent Workers and the Factors of Shift from Contingent to Standard Workers in Brazil)

  • 정흥준
    • 산업노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3-260
    • /
    • 2013
  • 본 연구는 비정규직의 규모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브라질의 비정규노동현황과 그 요인들을 통해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브라질 비정규직의 감소원인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문헌과 통계청 자료를 확인하고, 구체적인 실태파악을 위해 상파울로 주에 있는 6개 제조업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결과, 비정규관련 노동법 조항과 제도들은 비정규직의 제한적 활용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질의 노동법은 고용형태가 다르더라도 비정규노동자를 임시적인 목적으로만 고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동일노동 동일임금 및 최저임금제도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차별을 완화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비정규활용 동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 노동검찰과 노동법원은 위법적인 비정규활용을 엄격하게 감시하는 역할을 통해 법적 테두리를 넘어서는 비정규고용을 억제하고 있었다. 사례조사결과, 대부분의 기업에서 비정규직은 임시적인 형태로만 고용되어 있었으며 다수의 사례기업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비정규고용에 대한 법적 제한과 정규직화는 노조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브라질의 사례는 우리에게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고, 이를 연구의 결론에서 토론하였다.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the Forms Change of Employment and the Labor Market in the Context of the Information Economy Development

  • Popelo, Olha;Kychko, Iryna;Tulchynska, Svitlana;Zhygalkevych, Zhanna;Treitiak, Olh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5호
    • /
    • pp.160-167
    • /
    • 2021
  • The authors of the article investigate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the forms change of employment and the labor market in the modern conditions. It is substantiated that digitalization processes directly affect the change of forms of employment and the range of occupations in the labor market, as well as the change of jobs. The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of changing forms of employment for the economy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are analyzed, which include: reduction of personnel costs by employers; dissemination of non-standard, informal employment (electronic freelance, electronic outsourcing, start-employment); enabling employees to manage their working hours; increasing unemployment and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in the labor market; reduction of productivity of enterprises, as a result of reduced productivity of workers with non-standard forms of employment, or with a negative indirect impact on productivity. A model for managing the process of digitalization in the labor market of Ukraine under different scenarios of their implementation, namely evolutionary and forced is devoted. To recognize the possible change in the level of employment in connec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orced scenario of digitalization in Ukraine, a model for estimating probable changes in the labor market is proposed.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the state strategy of prevention of risks of reduction of number of workplaces in the course of digitalization are outlined.

일본과 대만의 시간제 고용에 관한 연구 (Part-time Employment in Japan and Taiwan)

  • 이혜경;장혜경
    • 한국인구학
    • /
    • 제23권2호
    • /
    • pp.79-112
    • /
    • 2000
  •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의 확대와 노동유연성 추구라는 유사한 환경을 겪고 있는 일본과 대만에서 시간제 고용의 활성화와 여성화 현상이 매우 대조적임에 주목하였다. 즉 일본에서는 시간제 고용의 활성화와 여성화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었고 대만은 전혀 그 렇지 않은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한 문화권의 두 나라가 시간제 고용을 중심으로 이렇게 대조적인 이유와 이는 양국의 여성 노동공급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발견은 첫째, 시간제 고용을 둘러싼 일본과 대만의 현상을 시간제 \`활성화\` 와 \`비활성화\`로 요약한다면, 이는 가사와 육아의 부담으로 인한 여성의 \`자발적 선택\`이라는 개인주의적 접근보다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합작품, 그리고 국가의 복지 및 가족정책을 강조하는 구조주의적 접근으로 설명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노동시장분절론과 노동유연성론은 유용한 설명틀을 제공하였다. 둘째, 여성의 노동공급에 있어서의 일본과 대만의 차이도 노동시장의 구조와 가족의 대응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일본의 대기업 위주인 그리고 엄격히 분절적인 노동시장의 구조는 시간제 활성화와 여성화를 확대시켰고, 대만의 소(가족)기업 위주인 느슨한 그리고 덜 분절적인 노동시장은 한편으로는 기혼여성의 지속적인 정규직 취업을 용이하게 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공식 고용의 여지를 남겨 놓아, 시간제가 확대될 필요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의 확대와 노동유연성의 추구라는 유사한 환경변화에 대하여 국가별고 다른 적응과 대응방식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특히 대만의 사례는 비공식 노동시장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었으며, 비공식 노동시장의 현존이 산업화가 덜 되어서가 아니라, 노동시장의 특성상 중요하여 하청망을 통한 다품종 소량생산 이라는 산업화 전락의 일환일 수도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The Precarization of Employment: A Case of Kazakhstan

  • Jumambayev, Seisemba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3권2호
    • /
    • pp.59-66
    • /
    • 2016
  • Dynamic changes in the field of labor relations have become a general trend in the world practice. These changes are due the impact of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bove all. Concept of "precarization of employment" appeared due the new emerging labor relations. This term has been used for more than thirty-five years, but there is still no generally accepted definition of it. A wide range of authors' viewpoints on problem of precarization makes it vague and impossible to strictly to identify its borders. Features of its manifestations in different countries also complicate the problem. Kazakhstan is a country with export-oriented economy of raw materials. At the same time government try to solve the problem for the industrial-innovative development of the economy. These two factors bring additional specific features in the manifestation of the precarization of employment in the country. The aim of the paper i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precarization of employment" concept in Kazakhstan's practice, based on the proposed definition.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노동공급효과 분석 - 부양가구원과 여성가구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Labor Supply)

  • 권현정;고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279-29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는 부양가구원과 여성가구원의 노동공급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공식적 돌봄 서비스가 부양가구원들의 비공식적 돌봄을 대체한다면, 이는 부양가구원들의 시간제약을 변화시켜 노동공급을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노동공급효과는 각국의 공적 돌봄 서비스의 제도적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금까지 서구국가들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어 왔으나, 이러한 실증분석들은 혼재된 결과를 보인다. 선행연구들에서는 무엇보다 방법론상 내생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사실험설계인 PSM(Propensity Score Matching)과 DD(Double Difference) 결합모형을 활용하여 선택편의를 최소화하였다. 한국복지패널 3차, 9차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결과,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노동공급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단순이중차이분석에서는 노동시간과 근로소득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더 엄격하다고 볼 수 있는 이중차이 고정효과모형분석에서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서구의 경험적 연구결과에 비춰보면, 한국의 공적 돌봄서비스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비공식적 돌봄을 대체하지 못하고 일부만을 보완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그동안 제기되어온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급여불충분성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으며,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제도적 배열이 대상자 및 부양가족의 욕구에 맞도록 선택되어져야 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 PDF

From Financial Literacy to Financial Capability: A Preliminary Study of Difference Generations in Informal Labor Market

  • AMONHAEMANON, Dalina;VORA-SITTA, Pornpe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355-363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financial attitude links financial literacy to financial capability. To make sound financial decisions, one essentially requires a certain level of financial literacy - knowledge and skill in finance. Even more effective is when one's financial literacy could be developed into financial capability. The samples comprised 342 individuals from informal labor in the South of Thailand. The stratified multistage sampling technique was utilized to select the respondents, while the interview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By using SmartPLS 3.0, the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one with the highest debt was Gen Y compared to Gen B and Gen X. Considering financial literacy, financial attitude, and financial capacity across generations, it was found that Gen Y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capacity, higher than that of Gen X and Gen B. The impact of financial literacy on financial capability through financial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on Gen B was higher than that of Gen X and Gen Y. With the right financial attitude, people of all generations would be equipped with a higher level of financial capability.

COVID-19가 인도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노동격차 확대와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Labor Market in India: Focusing on the Expansion of the Labor Gap and Digitization)

  • 강성용;이명무;김윤호;남은영;이상건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2-114
    • /
    • 2021
  • 인도는 2021년 03월 COVID-19 누적 확진자 수가 1,173만 명을 넘어섰고, 미국 다음으로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보았다. 특히 비공식노동에 종사하는 인도 내 이주 노동자들은 팬더믹과 봉쇄조치의 직접 타격을 받아 역이주와 생존의 위협을 겪고 있다. 2021년까지 COVID-19가 지속될 경우 관광 및 접객 산업에서 2천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미 노동자 부재로 인한 생산면에서의 타격도 현실화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일자리 감소와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COVID-19 이전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오던 구조적인 문제에서 출발하였으며, 코로나 대유행은 구조적 문제의 폭발적 발현의 촉매제가 되었을 뿐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인도 산업과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짚어 본다. 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책(Make in India)은 물론이고, 2020년 코로나 사태의 한 가운데서 제기된 자립 인도(Atmanirbhar Bharat) 정책도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된 것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화와 4차산업혁명을 맞이하고 있는 현실을 또 다른 위기 증폭의 촉매제가 아니라, 문제 해결의 단서가 될 수 있는 노동시장 재구성의 방향성을 살펴본다.

가족.국가.공동체의 소득 안정화 효과 분석 (Family, State, and Community Sources of Income Stability)

  • 홍경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321-345
    • /
    • 2003
  • 오늘날 개인이 소득을 획득하는 주된 원천은 노동시장이지만, 가구 내에서의 재분배나 사적 이전, 공적 이전 또한 개인에게 소득을 제공하는 소득원이다. 이 연구는 개인 소득의 안정성이 가족 국가 공동체라는 소득원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분석은 사회복지의 제공주체들이 제각기 작동시키는 사회복지의 논리와 그 결합구조를 파악하려는 시도의 하나라는 점에서 중요할 뿐 아니라, 지금까지 주로 분석되어 오지 않았던 사회보장제도의 또 다른 목표, 즉 소득안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가구 구성의 안정성은 개인이 소득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사적 이전과 공적 이전은 가족으로부터 소득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인구집단에게 특히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득의 안정화를 위한 공동체나 국가의 역할은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가구 구성의 안정성 약화가 지속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한국 장년임금근로자들의 퇴직: 사업체 규모별 위험모형분석 (Retirement of Older Wage Workers in Korea: Hazard Model Analysis by Firm Size)

  • 이철희;이에스더
    • 노동경제논집
    • /
    • 제38권1호
    • /
    • pp.31-65
    • /
    • 2015
  • 이 논문은 장년임금근로자들이 기존 일자리를 그만두는 이유와 퇴직위험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식적인 정년으로 일자리를 떠나는 장년근로자는 비교적 소수이며 대부분이 대기업 남성근로자들이다. 둘째, 일정수준을 넘는 고임금은 장년근로자의 퇴직위험을 높이며, 이 효과는 주로 대기업 남성근로자에게서 발견된다. 셋째, 관행적인 강제 퇴직은 장년여성근로자의 퇴직을 초래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넷째, 건강의 악화는 장년근로자 퇴직의 가장 중요한 이유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특히 여성근로자와 소규모사업체 근로자에게 강하게 나타난다. 끝으로, 적정한 근로시간과 높은 근로유연성은 장년근로자의 퇴직위험을 낮추는 요인이다. 논문은 분석결과가 장년고용정책에 대해 갖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