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luencing factors

검색결과 8,859건 처리시간 0.036초

CAE 기반 바이패스 밸브 기본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design of bypass valve using CAE technology)

  • 오재원;민천홍;조수길;박상현;강관구;김성순;홍섭;김형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7호
    • /
    • pp.663-670
    • /
    • 2016
  • 본 논문은 심해저 채광시스템 중 심해저 광물자원의 안전한 양광을 위한 바이패스 밸브의 개념 소개 및 CAE 기반의 바이패스 밸브 요소 설계 기술을 고찰하고 있다. 바이패스 밸브는 다른 해양의 기자재와 같이 고장예방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간단한 구조로 제안되었으나, 유체, 구조, 동적 거동 등의 다양한 영향으로 인해 설계는 복잡하고 어렵다. 설계가 복잡한 바이패스 밸브를 개발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CAE 기반 설계 기술을 활용하였다. CAE 기반 설계 기술은 설계, 설계검증, 가상의 실험 등을 한 번에 할 수 있어 바이패스 밸브와 같이 복잡한 설계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특히, 바이패스 밸브에 사용되는 스프링은 밸브 특성에서 가장 중요한 응답 성능에 관련된 부품으로 유체력, 동역학을 이용한 CAE 기반 설계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를 위해 각 학제들을 연동한 통합설계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통합설계 모델을 바탕으로 바이패스 밸브의 설계 및 설계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바이패스 밸브를 개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inical stres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곽혜원;이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 지역 3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4학년생 261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7일~18까지 설문조사하였고,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는 평균 $3.74{\pm}0.39$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21{\pm}0.54$점, 임상실습 만족도는 $3.44{\pm}0.45$점이었다. 대인관계는 연령(F=3.12, p=.046), 간호학 전공만족도(F=15.84, p<.001), 대인관계 중요성(F=4.76, p=.001), 학업성적(F=3.80, p=.01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연령(F=8.05, p<.001), 간호학 지원동기(F=4.55, p=.001), 간호학 전공만족도(F=2.69, p=.04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만족도는 간호학 전공만족도(F=3.24, p=.022), 대인관계 중요성(F=3.01, p=.019), 학업성적(F=5.2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와 임상실습 만족도(r=.24, p<.001)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대인관계(${\beta}=.21$, p<.001), 학업성적(${\beta}=.12$, p=.045)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이 필요하다.

임상간호사의 기본소생술 수행의지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Clinical Nurses' Willingness to Perform Basic Life Support (BLS) in South Korea)

  • 엄동춘;황지영;전명희;김동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90-298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기본소생술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실증적 자료검증을 통해 예측모형을 구축함으로써 국내 임상간호사의 기본소생술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이론적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2년 10월 25일부터 2013년 2월 25일 까지 3차 의료기관 임상간호사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와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기본소생술의 지식은 임상경험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임상경험은 기본소생술 수행의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식과 임상경험의 기본소생술 수행의지에 대한 설명력은 19.5%이었다. 임상경험은 지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61, p<.001).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기본소생술 수행의지를 높이기 위해 입원 환자의 질병 상태를 고려한 지식과 임상경험의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구강건강 삶의 질 (Oral health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by behavior of oral care)

  • 심재숙;이미라;강윤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43-350
    • /
    • 2016
  •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관리행태를 파악하여 중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전북 소재 대학교 중국인 유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일부터 5월 9일 동안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5.3%가 1년 이내 치과내원 경험이 없었으며, 82.6%가 1년 이내 치석제거를 받지 않았고, 68.2%가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OHIP-14는 학년, 건강보험 가입여부, 유학생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OHIP-14는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 1년 이내 치과내원 경험과 치석제거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주관적인 구강건강 상태와 1년 이내 치석제거 경험으로 나타났다(p<0.05). 중국인 유학생들의 구강건강 문제 발생 시 의료기관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자국어 번역 안내서 및 의료 전문 통역자의 배치와 대학 차원에서 학교구강보건실의 운영 및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구강보건교육이 요구된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intention of Home visiting nurses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Korea: Focusing on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 유재순;김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22-33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직무만족도와 회복탄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방문간호기관에서 근무하는 방문간호사 141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 부터 2019년 5월 31까지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전문직업성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51점,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7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79점, 재직의도는 5점 만점에 4.04점으로 나타났다. 재직의도와 전문직업성(r=.272), 직무만족도(r=.201) 회복탄력성(r=.530)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최종 회귀모형에서 회복탄력성(β=.455, p<.001), 직무만족도(β=.175, p=.016) 순으로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의 모형 설명력은 32.0%로 나타났다(F=11.968, p<.001).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재직의도 향상을 위해 회복탄력성 증진 전략에 가장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다음으로 직무만족도 증진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과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전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13-22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재학중인 327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과만족도 정도를 알아보고,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29일부터 6월 12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입학동기와 교우관계, 학교성적은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 나이, 종교는 모든 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전문직 자아개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간에는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학과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이었고 그 외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과선택시 적성고려 여부로 44.3%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추후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생 선발에 있어 학과에 대한 적성을 고려한 선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사회성,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ity, Life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00-10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성,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이며, 분석대상은 270명 이었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분석을 하였고,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폰 사용시간(β=.183, p<.001), 생활스트레스(β=.369, p<.001), 우울(β=.205, p=.012)이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33.5%이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생활스트레스(r=.50, p<.001), 우울(r=.35, p<.001)은 스마트폰 중독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스마트폰 중독과 사회성(r=-.20, p<.001), 사회성과 생활스트레스(r=-.28, p<.001)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스마트폰 사용시간,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간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시간 관리능력을 키우고,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온라인 쇼핑몰 특성이 감성적 반응과 지각된 가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emotional response,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revisit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2))

  • 심태용;윤성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74-383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술수용모델(TAM2)를 통해 알아보고, 소비자가 추구하는 가치 기준에 따라 쇼핑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온라인 쇼핑몰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 1일부터 2019년 1월 31일까지 총 711부의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첫째,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은 모두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감성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시스템 품질, 제품품질 변인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 중, 사회적 실재감은 감성적 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의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감성적 반응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하는 제품의 실용재 집단과 쾌락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집단 별로 경로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고, 쇼핑몰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감성적인 부분까지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심리상태에 학업효능감, 자기주도성, 자아탄력성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cademic Efficacy, Self-directedness and Ego-resilience on Psychological States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s)

  • 김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73-7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분노와 행복감의 관계에 영향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대상자의 행복감을 높여 내면화된 가치를 가지고 학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401명의 간호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 학업효능감, 자기주도성, 자아탄력성, 분노척도, 주관적 행복감을 측정하였고, 집단간 차이는 t-test, ANOVA 검증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학업효능감, 자기주도성, 자아탄력성과 심리상태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간호대학생의 분노로 인한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하는 요인인 학업효능감, 자기주도성, 자아탄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관적 행복감과 연구의 예측변인인 자아탄력성, 자기주도성은 주관적 행복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자아탄력성이 낮을수록 분노로 인해 감소되는 주관적 행복감의 정도가 증가하였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그 정도가 감소해 자아탄력성이 분노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노와 행복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입증되었으므로,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교육방식을 현장에 반영될 수 있도록 교수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한냉에 노출된 인체의 냉각과 총지방량 및 S/V 비율 사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otal Body Fat and S/V Ratio and Body Cooling for Two Hours at $15^{\circ}C$)

  • 정관옥;남기용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3권1호
    • /
    • pp.19-28
    • /
    • 1969
  • Skin temperatures on 10 sites and rectal temperature at every 10 minutes, oxygen consumption at every 20 minutes were measured on 18 male subjects (ages between 14 and 47 years) after exposure to cold air at $15^{\circ}C$ for two hours in a climatic room. Total body fat measured by means of a skinfold method and ratio of body surface area (S) to body volume (V), S/V, were utilized as basis of observations. Surface area was calculated after DuBois equation and body volume was calculated by our original formula. In influencing on the heat loss from the body core to the cold environment, % fat showed inverse relations, whereas, S/V ratio showed direct relations. Thus these two factors acted antagonistically on the body heat loss. Local skin temperatur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kinfold thickness on the same site, nemaly, on chest, r=-.567; on back, r=-.507; and on upper arm, r=-.353. The other 7 skin sites showed low correlations with % fat. Minimum mean weighted skin temperature (MWS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r=-.443) with % fat, and showed no correlation with S/V ratio. Oxygen consumption in the cold air at $15^{\circ}C$ increased from the first measurement at 20 minutes after exposure and maintained the same increasing trend up to 120 minutes. ${\Delta}T_R$ was greater in tile lean subjects who showed a greater % change in oxygen consumption. The antagonistic actions of % fat and S/V ratio on the heat loss were manifested by observations as follows: minimum rectal temperature was higher In fat subjects (r=.600) and lower in subjects with a greater S/V ratio (=-.582), ${\Delta}T_R$ was smaller in fat subjects (r=-.738) and greater in subjects with a greater S/V ratio (r=.618).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body core and skin surface (minimum rectal temperature minus minimum MWS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 fat (r=.600)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V ratio (r=-.881). Decrease in the mean body temperature and heat debt, respectively,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 fat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V rati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