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2초

Correlations Between the Incidence of National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s and Public Open Data, Including Meteorological Factors and Medical Facility Resources

  • Jang, Jin-Hwa;Lee, Ji-Hae;Je, Mi-Kyung;Cho, Myeong-Ji;Bae, Young Mee;Son, Hyeon Seok;Ahn, Ins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8권4호
    • /
    • pp.203-215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ce of national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s (NNIDs) and meteorological factors, air pollution levels, and hospital resources in Korea. Methods: We collected and stored 660 000 pieces of publicly available data associated with infectious diseases from public data portals and the Diseases Web Statistics System of Korea. We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the monthly incidence of these diseases and monthly average temperatures and monthly average relative humidity, as well as vaccination rates, number of hospitals, and number of hospital beds by district in Seoul. Results: Of the 34 NNIDs, malaria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r=0.949, p<0.01) and concentration of nitrogen dioxide (r=-0.884, p<0.01). We also foun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of NNIDs and the number of hospital beds in 25 districts in Seoul (r=0.606, p<0.01). In particular, Geumcheon-gu was found to have the lowest incidence rate of NNIDs and the highest number of hospital beds per patient.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rrelational analysis of public data from Korean government portals that can be used as parameters to forecast the spread of outbreaks.

화학, 생물, 방사능 사고의 정신적 영향 (The Psychological Impacts of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Disasters)

  • 이다영;심민영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
    • /
    • 2017
  • We reviewed the scientific literature on psychological effects of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Nuclear, Explosive (CBRNE) disaster, which is one of the biggest threat to modern society. CBRNE disaster has the potential to cause specific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victims ; moreover, various toxic symptoms and carcinogenesis/mutation would be an important issue. Bioterrorism can cause localized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 or pandemic disaster. Somatization as well a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depression are the characteristic psychological symptoms in CBRNE disaster's victims. CBRNE disasters could lead to large-scale public fear and social chaos due to the difficulties involved in verifying the extent of exposure and unfamiliar area to the common people. In the evacuation process, problems associated with adjustment and conflict between victims and residents should be considered.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Wilt Pathogen(Fusarium oxysporum f. sp.) using Plasma in Tomato Hydroponic Cultivation)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23-332
    • /
    • 2024
  • 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soil and water pollution problems caused by discharge of fertilizer components because the nutrient solution is reused. However, cyclic hydroponic cultivation has a low biological buffering capacity and can cause outbreaks of infectious root pathoge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or disinfection systems to control them. This study use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which generates various persistent oxidants, to treat Fusarium oxysporum f. sp., a pathogen that causes wilt disease. Batch and intermittent continuous inactiv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residual oxidant was persistent in intermittent plasma treatment at intervals of 2-3 days, and F. oxysporum was treated efficiently. Intermittent plasma treatment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tomatoes.

경기도 식중독에서 분리된 Clostridium perfringens의 유전적 특성 분석 (Genetic diversity of Clostridium perfringens form food-poisoning outbreak in Gyeonggi-do, 2013-2014)

  • 박성희;최옥경;정진아;김운호;이예은;박광희;윤미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86-297
    • /
    • 2016
  • 질병관리본부에서 2012년 이후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실험실 진단실무지침에 cpb2 유전자를 포함시킨 후, 2013-2014년 경기도의 C.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이 원인불명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그 발생률이 2011-2012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경기도내 유행하는 toxinotype을 파악하고, PFGE, MLST를 통해 이들의 분자역학적 연관성을 연구함으로서 C.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 발생 시 역학조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2013-2014년 경기도에서 분리된 120주의 C. perfringens 중 cpe 보유균주는 49주, cpb2 보유균주는 71주였다. 발생건별로 살펴보면, cpe 단독발생건은 2건(10주), cpb2 단독발생건은 7건(45주), cpe, cpb2 혼합발생건은 7건(65주)로 cpb2 단독발생과 cpe, cpb2 혼합발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Toxinotype PCR 결과, 120주 모두 C.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의 주요 타입인 A로 밝혀졌다. PFGE 분석 결과, 53.5-100%의 유사도와 75 유형으로 나뉘었다. 65% 이상을 기준으로 했을 때 5가지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A, C, D, E 그룹은 1개의 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cpb2 보유균주로 이루어졌고, B 그룹은 1개의 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cpe 보유균주로 구성되었다. 2014년 안산상록구 식중독 4주와 2014년 수원 권선구 식중독 3주를 제외하고, 64 cpb2 보유균주들은 대부분 다양한 유전자패턴을 보였다. 41 cpe 보유균주 중 3개의 균주를 제외하고, 2013년 부천원미구, 성남분당구, 2014년 안산상록구, 평택, 김포, 화성 식중독 모두 각각 동일한 유전자 패턴을 보였다. 2013 수원영통구 식중독은 2가지 cpe 유전형 패턴을 보였다. MLST 분석 결과, 크게 P-cpe 및 cpb2 그룹과 C-cpe 그룹으로 나뉘어 졌고, 세세하게 11개의 cluster로 나뉘어졌다. 경기도에서 분리된 31개 균주 중, 16 cpb2 보유균주와 2014-06-03 cpe 보유균주는 1-7 cluster에 속해있었고, 14 cpe 보유균주는 모두 8-11 cluster에 속해있었다. 하나의 cpe 보유균주를 포함하여 cpb2 보유균주들은 P-cpe 그룹과 건강한 사람에서 분리된 cpb2 그룹들 사이에 산재되어 cluster되었고, cpe 보유균주는 C-cpe 그룹에 속해있었다. 2014-06-03주의 cpe gene은 plasmid에 존재하고, 나머지 cpe 보유균주의 cpe gene은 모두 chromosome에 존재함을 추정 할 수 있었다. PFGE 및 MLST 분석 결과, cpe 보유균주에 비해 cpb2 보유균주가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유전자패턴을 나타내며, cpe 유전자 보유균주의 경우 단일 유전자형이거나 유사도가 높은 유전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pe 보유균주의 경우 집단식중독의 원인균 파악이 용이하였으나, cpb2 보유균주의 경우 2 발생건을 제외하고 역학적인 연관성이 낮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002-2007년 사례 및 유행을 통해서 본 홍역퇴치 수준에 대한 평가 - 홍역퇴치 수준에 대한 평가 - (Assessment about the measles elimination from cases and outbreaks, 2002-2007 - Assessment about the measles elimination -)

  • 소재성;고운영;오현경;백수진;이종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호
    • /
    • pp.68-74
    • /
    • 2009
  • 목 적 : 2002-2007년 보고된 홍역 사례 및 유행에 대한 역학적 분석을 통해서 현재 홍역퇴치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홍역퇴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인구집단의 질병유행 여부를 평가하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인 한명의 환자에서 평균 몇 명의 환자에게 질병이 전파되는지를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수(R: the effective reproduction number)를 사용하였다. 결 과 : 2002년부터 2007년 까지 각각 11명, 13명, 6명, 6명, 25명, 180명의 사례가 발생하였다. 2006년도에 15명의 환자가 발생한 1건의 유행이 있었고 2007년도에는 각각 2, 2, 2, 3, 3, 3, 5, 9, 9, 12, 50명의 사례가 발생한 11건의 유행이 있었다. 2002- 2007년도 해외유입 사례의 비율에 의한 R 값은 0.95, 유행의 크기에 대한 비율에 의한 R 값은 0.43 이었다. 2007년도에는 원내감염을 중심으로 한 유행이 발생하였고 대부분의 사례가 4세 이하였고 예방접종력이 없었다. 대부분의 사례의 감염원을 찾을 수 없었다. 결 론 : 홍역퇴치 수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내감염과 같은 감수성 집단의 유행 차단 및 신뢰성 있는 감시체계와 역학조사를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2021년 경남지역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Enteritidis 원인 식중독의 분자역학적 특성 분석 (Molecular Epidemiological Analysis of Food Poisoning Caused by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Enteritidis in Gyeongnam Province of Korea)

  • 장혜정;하연경;유선녕;김소영;엄지연;하강자;김동섭;이상률;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6-63
    • /
    • 2023
  • 2021년 국내에서 가장 많은 수의 식중독 환자가 Salmonella로 인해 발생하였고, 전 세계적으로도 꾸준한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9월 중 경상남도에서 발생한 2건의 Salmonella 원인의 식중독에 대한 사례 보고 및 분리된 Salmonella 균주의 분자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학교 급식 사례는 동일 섭취원 588명 중 29명(4.9%)이 설사 및 복통 증상을 보였고 36명(환자 29, 조리 종사자 7)에 대한 검사 결과, Salmonella Enteritidis가 환자 17명(47.2%)에서 검출되어 주원인으로 판단되었다. 식품 및 환경 검체 35건에서는 S. Enteritidis가 검출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회사 내 발생 사례는 동일 섭취원 2,900명 중 87명 (3.0%)이 설사, 복통, 발열 증상을 보여 50명(환자 40, 조리 종사자 10)을 검사를 했고, 그 결과 환자 28명 (56.0%)에서 S. Enteritidis가 검출되었다. 그중 4명은 Vibrio cholerae (NAG)와 S. Enteritidis가 중복 검출되었고 1명은 V. cholerae (NAG)만 검출되었다. 이는 S. Enteritidis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주원인으로는 S. Enteritidis로 판단되었다. 식품 및 환경 검체 125건 중 보존식에서는 S. Enteritidis가 불검출이었으나, 회사에서 단체로 배달 주문하여 섭취한 토스트에서 S. Enteritidis가 검출되었다. PFGE 유전학적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환자와 식품에서 분리된 S. Enteritidis 균주가 동일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앞서 발생한 경남지역 학교 사례와 타 지역 사례의 환자 분리 균주와도 동일한 유형으로 확인되어 문제성이 더욱 제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S. Enteritidis 원인 식중독의 분자역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역학적 관리 및 식중독 예방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Effects of Health Management System on the Growth of Chicken Small Farm in Southwest States of Nigeria

  • Saka, Jelili Olaide;Adesehinwa, Akinyele Oluwatomisin Kingsley;Oyegbami, Ajoke;Omole, Adeboye Joseph;Cho, Gyoung-rae;Seol, Young-joo;Kim, Chongdae;Kim, Sung Woo;Jeon, Iksoo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25-233
    • /
    • 2017
  • Chicken production remains the foremost endeavor in the Nigerian livestock industry. However, disease incidence has been a major constraint on the growth of this subsector. This study assessed health management practices and disease incidence in smallholder chicken production enterprise in Southwest Nigeria using data from a farm survey of 240 farmers selected using a multistage sampling technique from 5 of 6 states in Southwest Nigeria. The study showed that vaccination was given by 96.8% of the famers, 97.8% dewormed their chickens, and 92.9% disinfected the coops against diseases. However, 37% of the farmers regularly consulted veterinarians, 25.7% consulted them during disease outbreaks, and 34.2% occasionally consulted veterinarians. Infectious bursal disease (IBD), coccidiosis, and chronic respiratory disease (CRD) were the major diseases reported by 17.1%, 12.9%, and 7.1% of the farmers, respectively. Mortality rate was 37.8%, although this varied with disease. However, there was a growth of 157.4% in stock size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the farms and the survey period.

국내 가금티푸스의 발생특징 (Prevalent Characteristics of Fowl typhoid in Korea)

  • Lee, Young-Ju;Kim, Ki-Seuk;Kwon, Yong-Kuk;Kang, Min-Su;Mo, In-Pil;Kim, Jae-Hong;Tak, Ryun-Bi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58
    • /
    • 2003
  • 가금티푸스는 Salmonella gallinarum의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조류의 세균성 전염병으로 간장과 비장의 종대, 황갈색의 설사 및 높은 폐사 등을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금티푸스의 발생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2001년까지 7년동안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병성감정의뢰된 닭가검물을 대상으로 발생역학을 분석하였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병성감정 의뢰된 가금전염성 질병중 가금티푸스의 검색율은 10.3%이었으며, 품종별로는 실용산란계, 실용육계, 육용종계 및 산란종계에서 각각 71.4%, 25.0%, 0.2% 및 3.4%가 검색되어 산란계에서의 발생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절별로는 여름 (35.8%)과 가을(33.9%)에 높은 발생율을 나타났으며, 일령별로는 실용산란계는 10-30주령 사이 (45.6%)에서, 실용육계는 2주 이하 (61.6%)에서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Overview of Legal Measures for Managing Workplace COVID-19 Infection Risk in Several Asia-Pacific Countries

  • Derek, Miller;Tsai, Feng-Jen;Kim, Jiwon;Tejamaya, Mila;Putri, Vilandi;Muto, Go;Reginald, Alex;Phanprasit, Wantanee;Granadillos, Nelia;Farid, Marina Bt Zainal;Capule, Carmela Q.;Lin, Yu-Wen;Park, Jihoon;Chen, Ruey-Yu;Lee, Kyong Hui;Park, Jeongim;Hashimoto, Haruo;Yoon, Chungsik;Padungtod, Chantana;Park, Dong-U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4호
    • /
    • pp.530-535
    • /
    • 2021
  • Background: Despite the lack of official COVID-19 statistics, various workplaces and occupations have been at the center of COVID-19 outbreaks. We aimed to compare legal measures and governance established for managing COVID-19 infection risks at workplaces in nine Asia and Pacific countries and to recommend key administrative measures. Methods: We collected information on legal measures and governance from both general citizens and workers regarding infection risks such as COVID-19 from industrial hygiene professionals in nine countries (Indonesia, India, Japan, Malaysia, New Zealand, Republic of the Philippines, Republic of Korea, Taiwan, and Thailan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A governmental body overseeing public health and welfare was in charge of containing the spread and occurrence of infectious diseases under an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or another special act, although the name of the pertinent organizations and legislation vary among countries. Unlike in the case of other traditional hazards, there have been no specific articles or clauses describing the means of mitigating virus risk in the workplace that are legally required of employers, making it difficult to define the responsibilities of the employer. Each country maintains own legal systems regarding access to the duration, administration, and financing of paid sick leave. Many workers may not have access to paid sick leave even if it is legally guarantee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vine brucellosis in Korea, 2000~2004

  • Nam, Hyang Mi;Yoon, Hachung;Kim, Cheol-Hee;More, Simon J.;Kim, Seok-Jae;Lee, Byeong-Yong;Park, Choi-Kyu;Jeon, Jong-Min;Wee, Sung-Hwa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9-24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vine brucellosis in Korea during January 2000~September 2004, which encompasses the period when the incidence of bovine brucellosis increased abruptly. Data from the National Animal Infectious Disease Data Management System were used for this study. A range of epidemiological measures was calculated including annual herd and animal incidence.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ere 1,183 outbreaks on 638 farms. In beef cattle, annual herd incidence increased from 0.2 (2000) to 11.5 (2004, to September) outbreaks per 10,000 and annual animal incidence varied between 3.4 (2000) and 105.8 (2004, to September) per 100,000, respectively. On 401 (62.9%) infected farms during this period, infection was eradicated without recurrence. Recurrence of inf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 farms where abortion was reported (53.3%), compared to farms where it was not (30.0%). On beef cattle farms, infection was introduced most frequently through purchased cattle (46.2%).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stablishment and spread of brucellosis in the Korean beef cattle population were mainly due to incomplete or inappropriate treatment of aborted materials and the movement of infected cat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