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ant, low birth weight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4초

Surgical Ligation on Significant Patent Ductus Arteriosu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Comparison between Early and Late Ligations

  • Lee, Jun Ho;Ro, Sun Kyun;Lee, Hyun Ju;Park, Hyun Kyung;Chung, Won-Sang;Kim, Young Hak;Kang, Jeong Ho;Kim, Hyuc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5호
    • /
    • pp.444-450
    • /
    • 2014
  • Background: We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early surgical ligation (within 15 days of age) over late surgical ligation (after 15 days of age)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undergoing surgical correction for symptomatic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over the course of 6 years in our hospital.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the medical record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from March 2007 to May 2013, to identify VLBW infants (<1,500 g) who underwent surgical PDA ligation. Results: The gestational age (GA) in the late ligation (LL) group was significantly younger than in the early ligation (EL) group (p=0.010). The other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preoperative condit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tubation period before surgery (p<0.001) and the age at surgery (p<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of the study patients, including major morbidity and mortality, are summariz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onchopulmonary dysplasia, sepsis, or mortality between the EL and the LL groups. However, the LL grou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p=0.037) and with a prolonged duration of the total parenteral nutrition (p=0.046) after adjusting for GA. Conclusion: Early surgical ligation for the treatment of PDA that failed to close after medical treatment or in cases contraindicated for medical treatment might be desirable to reduce the incidence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to alleviate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임신말 모체와 제대혈의 혈장 총유리기포집 항산화능과 임신결과 (Pregnancy Outcomes in Relation to Plasma TRAP Concentration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 안홍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9호
    • /
    • pp.817-82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ake of antioxidant vitamins and plasma TRAP concentrations of 60 maternal-infant pairs (30 in normal term delivery group, NT; 30 in preform group, PT)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TRAP levels of maternal-umbilical cord blood and pregnancy outcomes. Mean energy intakes of NT and PT pregnant women were 93.2% and 85.4% and their protein intakes were 113.3% and 110.9% of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respectively. The vitamin A intakes of NT and W pregnant women were 559.7 RE and 497.8 RE, which were less than RDA. While the vitamin E and C intakes of both NT and PT pregnant women were more than RDA. The maternal plasma TRAP level of PT was 1.41 mmol/l and that of was 1.50 mmol/l,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RAP level of PT (p < 0.05) . The umblical cord plasma TRAP levels of NT and PT were 1.44 mmol/l and 1.23 mmol/l, which indicat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p < 0.001) . In case of comparing the TRAP level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T pregnant women, however, in PT group maternal the TRAP level significant higher than that of umbilical cord (p < 0.001). The length of gestation and plasma TRAP level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other parameters of pregnancy outcomes such as birth weight, weight gain, and Apgar score were not affected by the plasma TRAP levels. Based on these results, preform infants could have a risk of oxidative stress because of low plasma TRAP level.

Parental concerns about their premature infants' health after discharg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questionnaire survey for anticipated guidance in a neonatal follow-up clinic

  • Cho, Ji-Yun;Lee, Ju-Young;Youn, Young-Ah;Kim, Soon-Ju;Kim, So-Young;Sung, In-Ky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8호
    • /
    • pp.272-279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ppropriate nursing information guideline according to corrected age, after investigating parents' concerns about the growth, development, and diseases of their premature infants after discharg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The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birth weight, <2,500 g; gestational age, <37 weeks) who went to a neonatal follow-up clinic after NICU discharge at Seoul St. Mary's Hospital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9, were asked with regard to their concerns about their infant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physical examinations, including body measurements and neurodevelopmental status at 4, 8, 12, and 18 months of corrected ag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in 390 infants. Results: The most common parental concerns were developmental delay, poor growth, and feeding and nutritional problems. Parental concerns about developmental delay, growth failure in improvement in body weight and length, and overweightness were high in specificity but very low in sensitivity. After NICU discharge, 30% of premature infants experienced infectious diseases before 18 months of corrected age, the most common of which was respiratory tract infection. Conclusion: For guiding of premature infants in outpatient day clinics after NICU discharg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arents' highest concerns, to educate them about the possibilities of growth and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infants and to provide them with handouts containing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especially respiratory infections.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경피적 산소포화도의 적정 범위 (The Optimal Pulse Oxygen Satura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or Very Preterm Infants)

  • 유선영;강혜진;김민정;장미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20-327
    • /
    • 2011
  • 목적: 조산아는 산화 방지 시스템이 미성숙하여 과산소증 및 저산소증에 노출되면 이차적으로 중추 신경계, 호흡계, 혈액계 등 다른 체내 기관에 손상이 올 수 있다. 저자들은 1,500 g 미만 또는 32주 미만의 조산아에서 동맥혈 산소 분압을 50-70mmHg근처로 유지하기 위하여 경피적 산소 포화도를 90-94%로 유지하여 과산소증 및 저산소증을 회피하는 전략 하에 치료하였던 군(T)과 고식적인 경피적 산소 포화도 감시를 하였던 군(C)에서 사망률, 입원 기간 및 이환율에 대해 비교하였다. 방법: 충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신생아 중 1,500 g 미만 또는 32주 미만의 조산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8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경피적 산소포화도를 90-94%으로 유지하였던 조산아들을 T군으로 하였고 2007년 1월에서 2008년 8월까지 경피적 산소 포화도 감시의 지침 없이 고식적인 관리를 하였던 조산아들을 C군으로 하였다. 양 군 간에 입원 중 사망률, 입원기간, 만성폐질환으로 이행 및 치료 여부, 괴사성 장염, 미숙아 망막증, 뇌실 내 출혈, 동맥관 개존증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양 군의 기본 특징은 성별 외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망률은 T군에서 C 군 보다 적은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5.3% vs. 16.7%, P=0.127). 두 군간에 입원기간, 만성폐질환, 산소 사용 기간과 괴사성 장염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ICROP 제 3기 이상의 중증 미숙아 망막증은 T군이 C군 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2.6% vs. 10%, P=0.203), 뇌실 내 출혈의 발생 빈도는 T군에서 C군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18.4% vs. 40.0%, P=0.051). 치료가 필요하였던 동맥관 개존증의 빈도는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극소 저체중 출생아 또는 극소 조산아에서 경피적 산소포화도를 90-94%으로 유지하는 전략은 과산소증 및 잠재적인 저산소증에의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서 합병증의 증가 없이 단기적 예후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으로 인한 카테터 연관 혈류감염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Due to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조일현;정태웅;이주영;문세나;빈중현;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88-292
    • /
    • 2011
  • 목적: 소아와 신생아에서의 MRSA 감염의 발병률은 증가되었고, 특히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중심정맥카테터의 빈번한 사용과 연관되었다. 이번 연구는 NICU에 입원한 극소저체중 출생아를 대상으로 MRSA로 인한 CRBSI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CRBSI로 인해 사망한 환자와 생존한 그룹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사망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34명의 극소저체중 출생아는 실험실적으로 확인된 S. aureus 의 혈류감염을 보였고 카테터 연관 혈류감염의 발병률, 사망률, 유병률 그리고 사망률과 연관된 예측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26명의 환아는 혈액과 카테터 tip에서 같은 병원균(24 MRSA, 2 MSSA)을 보였다. 8명(25.8%)은 CRBSI로 사망하였고 모두 MRSA 혈액 감염을 보였다. MRSA로 인한 CRBSI으로부터 생존한 그룹과 사망한 환자 간에 성비, 재태연령, 병원균 확인과 혈액채취의 기간, 백혈구, 혈소판 수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RP는 사망한 환자에서 분명히 증가되었다. 사망한 환자에서 발현 나이의 평균값은 빠르고(9.1${\pm}$6.6 vs. 26.9${\pm}$20.2; P= 0.005) 입원일수는 짧았다(10.1${\pm}$7.0 vs. 73.0${\pm}$32.4; P=0.000). 2명의 생존아는 하지에 화농성 관절염과 연부조직염의 합병증을 가졌다. 결론: 카테터 연관 혈류감염의 사망률은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높은 것으로 보이고 CRP와 질환의 조기발병에 의해 예측되었다.

Morbidity and Mortality Trends in Preterm Infants of <32 Weeks Gestational Age with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 A 14-Year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 Eui Kyung Choi;Hyo-jeong Kim;Bo-Kyung Je;Byung Min Choi;Sang-Dae Ki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3호
    • /
    • pp.316-323
    • /
    • 2023
  • Objective : Owing to advances in critical care treatment,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preterm infants born at a gestational age (GA) <32 weeks has consistently improved. However, the incidence of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has persisted, and there are few reports on in-hospital morbidity and mortality.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surrounding in-hospital morbidity and mortality of preterm infants with severe IVH over a 14-year period. Methods : This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620 infants born at a GA <32 weeks, admitted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20. After applying exclusion criteria, 596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fants were grouped based on the most severe IVH grade documented on brain ultrasonography during their admission, with grades 3 and 4 defined as severe. We compared in-hospital mortality and clinical outcomes of preterm infants with severe IVH for two time periods : 2007-2013 (phase I) and 2014-2020 (phase II). Baseline characteristics of infants who died and survived during hospitalization were analyzed. Results : A total of 54 infants (9.0%) were diagnosed with severe IVH over a 14-year period;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rate was 29.6%. Late in-hospital mortality rate (>7 days after birth) for infants with severe IVH significantly improved over time, decreasing from 39.1% in phase I to 14.3% in phase II (p=0.043). A history of hypotension treated with vasoactive medication within 1 week after birth (adjusted odds ratio, 7.39; p=0.025) was found to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mortality. When comparing major morbidities of surviving infants, those in phase II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undergone surgery for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29.2% vs. 0.0%; p=0.027). Additionally, rates of late-onset sepsis (45.8% vs. 14.3%; p=0.049) and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25.0% vs. 0.0%; p=0.049)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hase II survivors than in phase I survivors. Conclusion : In-hospital mortality in preterm infants with severe IVH decreased over the last decade, whereas major neonatal morbidities increased, particularly surgical NEC and sepsi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multidisciplinary specialized medical and surgical neonatal intensive care in preterm infants with severe IVH.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향상에 따른 장기 신경발달 장애의 감소 (Improved survival rate with decreased neurodevelopmental disability in extreme immaturity)

  • 전가원;김묘징;김성신;심재원;장윤실;박원순;이문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067-1071
    • /
    • 2007
  • 목 적 :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향상에 따라 장기 신경발달 장애가 감소했는지 여부와 이들의 장기 신경발달의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1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입원 치료 받은 초극소저출생체중아 중 교정나이 18개월에 외래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외래 방문 시 진찰소견과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아를 1994년 1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인 제 I기와 2000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인 제 II기로 나누었으며 각각 36명과 98명이 해당되었다. 결 과 : 제 I기에 비하여 제 II기에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이 낮았지만 생존율은 향상되었으며(제 I기: 60.0%, 제 II기: 74.7%) 뇌성마비는 감소하였고(제 I기: 22.2%, 제 II기: 8.2%) 따라잡기 성장은 향상되었다(제 I기: 25.0%, 제 II기: 51.0%).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패혈증과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이환율은 제 II기에 감소하였다. 뇌성마비의 가장 큰 위험요인은 3도 이상의 고도 뇌실내출혈, 따라잡기 성장의 실패와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이었다. 결 론 :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향상은 장기적인 예후의 향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신생아 관리의 질향상과 관련된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의 감소, 고도 뇌실내출혈의 감소, 더 나은 영양공급이 장기적인 예후의 향상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쌍태임신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연구;III. 제 2 쌍 태 아 (Clinical Study in Twin Pregnancies;III. The Second Twin)

  • 강희원;김대현;박찬규;곽현모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9권1_2호
    • /
    • pp.29-41
    • /
    • 1982
  • This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done based under the delivery records of 146 cases of twin pregnancies in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and Wonju Christian Hospital from 1977 through 1980 with particular interest in the second twins. Clinical factors, Apgar scores related to neonatal prognosis, and perinatal mortality rat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mean - birthweight for A (first) twins was 2,377 grams and for B (second) twins 2,296 grams. In comparison of the percentage of low-birth-weight (less than 2,500 grams) infants, there were more small B twins,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Because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birth weight-grouping between A and B twins, they could be compared with the comprehensive Apgar scores, but this method was also shown to b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comparison of the percentage of breech deliveries in A and B twins, the percentage was more than three times in B twin (A twin, 7.5 per cent; B twin, 24.0 per cent),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p < 0.0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Apgar scores of A and B twins in reference to the manner of delivery. According to the manner of delivery of B twins, spontaneous vertex delivery and total breech extraction revealed higher infant mortality rate than others. B twins presented by the vertex in 88 cases (61.0 per cent), by the breech in 55 cases (37.0 per cent), and by the shoulder in 3 cases (2.0 per cent). And this therefore disclos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Apgar scores in relation to the presentation. The duration of labor appeared to have no clear correlation with the Apgar scores and the perinatal mortality of A and B twins. The delivery interval between A and B twins was 11.9 minutes on an. averge, varying from 3 to 65 minutes. The length of this interval was not found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Apgar scores and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of B twin.

  • PDF

Effect of Prenatal Antibiotic Exposure on Neonatal Outcomes of Preterm Infants

  • Kim, Hyunjoo;Choe, Young June;Cho, Hannah;Heo, Ju S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3호
    • /
    • pp.149-159
    • /
    • 2021
  • 목적: 산모의 산전 항생제 사용은 여러가지 면에서 태아 및 신생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극소 미숙아 또는 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산모의 산전 항생제 투여 기간이 신생아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2015년 9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출생한 재태주수 32주 미만 또는 출생 체중 1,500 gram 미만인 신생아 및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산모의 산전 항생제 투여 기간에 따라 미투여 군, 7일 이하 군, 7일 초과 군의 세 군으로 나누어 산모의 특성, 환아의 특성 및 합병증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145명 중 93명의 환아가 산전 항생제에 노출되었으며, 그 중 35명(37.6%)는 7일 이하 군, 58명(62.4%)는 7일 초과 군이었다. 7일 초과 군은 미투여 군에 비해 재태 연령에 따른 출생체중의 Z-score가 교란변수 보정 후에도 유의미하게 높았다(beta, 0.258; standard error, 0.149; P<0.001).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7일 초과 군은 사망(adjusted odds ratio [aOR], 8.92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82-53.775), 그리고 사망, 괴사성 장염, 후기 패혈증의 복합 평가 결과와 연관이 있었다(aOR, 2.375; 95% CI, 1.027-5.492). 결론: 산모의 장기간 산전 항생제 투여는, 극소 미숙아 또는 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재태 연령에 따른 출생체중의 Z score을 증가시키며, 사망 뿐 아니라 사망, 괴사성 장염, 후기 패혈증의 복합 평가 결과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Effective Ways of Performing Surveillance Surface Cultures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Lee, Ju-Young;Kim, Ee-Kyung;Lee, Jin-A;Choi, Chang-Won;Kim, Han-Suk;Kim, Beyong-Il;Choi, Jung-Hwan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40-247
    • /
    • 2011
  • 목적: 미숙아에서 피부상재균 배양 검사를 하는 것은 세균의 집락화가 침습성 감염에 선행되며 이런 집락화된 세균을 알고있는 것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전신 감염의 원인균을 예측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근거에 기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시행하고 있는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4년 동안 113명에게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시행한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를 분석하였다.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는 겨드랑이, 외이도, 비강, 인후(삽관한 경우 기관흡입액), 항문, 이렇게 다섯 군데에서 일주일에 한번씩 총 4주간 시행하였다. 패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패혈증 당시의 혈액균 배양 검사와 이전 13일 동안 시행되었던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를 각각 비교하여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 특이도 및 양성예측률을 계산하였다. 총 1,894쌍이 비교되었고,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와 특이도 및 양성예측률은 각 배양 장소와 배양된 균, 그리고 양성 혈액 배양 검사와의 시간 간격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는 45.9%, 특이도는 22.4%, 양성예측률은 6.8%였다. 양성예측률은 인후/기관의 배양 검사에서 11.0%로 가장 높았고, 항문 배양 검사에서 2.3%로 가장 낮았다. 상재균 감시 배양 검사의 감도, 특이도 및 양성예측률 모두 패혈증 시점과 가까워질수록 혈액 배양 검사와의 관련성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상재균 배양 검사의 장소에 따른 분석에서는 겨드랑이와 인후/기관의 배양 검사만이 패혈증 원인균의 예측에 유용하였고, 비강과 외이도 및 항문의 배양 검사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결론: 상재균의 감시 배양 검사는 패혈증 원인균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감염 감시 검사를 현재의 다섯군데에서 겨드랑이와 인후/기관, 두 군데로 줄여서 지속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