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block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6초

돈암지구 가구(街區)의 형성과 도시한옥의 적응 (Formation of Don-am district and Adaptation of Hanok Area in Seoul)

  • 이경욱;김영수;송인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5호
    • /
    • pp.29-42
    • /
    • 2021
  • The Don-am district is a residential area that was supplied in 1936 as a land readjustment project(Tojiguhoekjeongri). The Don-am district was newly supplied with residential areas and urban hanoks were built in large numbers. The Don-am district was influenced by urban planning and legislation at that time. These affected in the layout and plan of urban hanok. Residential block in the Don-am district were developed sequentially from the late 1930s to the 1960s. Residential block were divided by modern construction company and sold by individual lots. The blocks supplied to the Don-am district made uniformly the corner out-off(Ga gak) for creating a vehicle-centered road. So urban hanoks located in the corner plot was transformed in response to the road. Residential blocks in Don-am district was divided into three to four rows. Therefore, alleys were created inside the block. Newly made alleys consist of a privately owned road(Sa-do), a public road(Gong-Do), and open space in the site. And the alleys were used as an entry space for sharing with neighboring. Urban hanoks of Don-am district have had changed and adapted to the formation of these alleys.

IPTV 환경에서 효율적인 웹 탐색을 위한 시맨틱 주밍 기법 (The Semantic Zooming Method for Efficient Web Browsing on Internet-connected Digital Television)

  • 정지혜;이혜정;이종호;김연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579-583
    • /
    • 2008
  • 기존 PC용 웹 페이지는 키보드와 마우스, 근거리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환경에 맞추어 많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복잡한 구성과 작은 폰트로 디자인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 거리 이상의 시청 거리, 사용자의 기밀한 주의를 요구하지 않는 컨텐츠 제공, 제한적 기능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TV에서 동일한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TV 환경에서 웹 페이지를 효율적으로 브라우징하기 위해 시맨틱 주밍 기법을 적용한 브라우징 방식을 디자인하였다. 기존의 웹 페이지를 분석하여 구성된 컨텐츠를 기반으로 semantic block 을 추출하고, 기존의 레이아웃과 스타일 정보를 분석한 후 현재 환경에 최적의 형태로 컨텐츠를 요약하고 레이아웃, 스타일을 변경하여 재구성한다. 이렇게 재구성된 웹 페이지는 줌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의 양을 조정하여 보여준다. 즉, 사용자가 관심 있는 semantic block 을 선택하여 줌-인을 하면 해당 블록이 커지며 더 자세한 컨텐츠로 이루어진 내용을 볼 수 있고, 줌-아웃을 하면 해당 블록이 작아지면서 요약된 컨텐츠로 이루어진 내용을 볼 수 있다. TV 와 같이 큰 디스플레이의 경우 PC 보다 스크롤과 같은 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됨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가로 스크롤은 제거하고 세로 스크롤은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채택하였다. 복잡하게 구성된 웹 페이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요약된 컨텐츠로 재구성하고, TV 환경에 최적화된 레이아웃과 스타일을 제공하여 가독성과 심미성을 향상되도록 하였다.

  • PDF

Cooperative control system of the floating cranes for the dual lifting

  • Nam, Mihee;Kim, Jinbeom;Lee, Jaechang;Kim, Daekyung;Lee, Donghyuk;Lee, Jangm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10권1호
    • /
    • pp.95-102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 dual lifting and its cooperative control system with two different kinds of floating cranes. The Mega-erection and Giga-erection in the ship building are used to handle heavier and wider blocks and modules as ships and off-shore platforms are enlarged. However, there is no equipment to handle such Tera-block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n performance of existing floating cranes, the dual lifting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In the dual lifting, two floating cranes are well-coordinated to add up the lift capabilities of both cranes without any loss such that virtually a single crane is lifting, maneuvering and unloading. Two main constraints for the dual lifting are as follows: First, two barges of floating cranes should be constrained as a rigid body not to cause a relative motion between two barges and main hooks of the two cranes should be controlled as main hooks of a single crane. In order wo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operative control of two floating cranes in order to sustain a center of gravity of the module and minimize the tilting angle during the lifting and unloading by the two floating cranes. Two floating cranes are handled as a master-slave system. The master crane is able to gather information about all working conditions and make a decision to control the individual hook speed, which communicates the slave crane by TCP/IP. The developed control system has been embedded in the real floating crane systems and the dual lifting has been demonstrated five times at SHI shipyard in 2015. The moving angles of the lifting module are analyzed and verified to be suitable for hoisting control. It is verified that the dual lifting can be applied for many heavier and wider blocks and modules to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of ships and off-shore platforms.

마감상세도 관리를 위한 도면 블록화 모듈 개발 (Drawing Segmentation Module for Management of Building Finish Details)

  • 구교진;박형진;정진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9-337
    • /
    • 2015
  • 건설도면은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담은 지식의 집성체이다. 도면에 포함된 지식의 재활용은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마감상세도는 실별, 부위별 마감 및 공법을 선택하고 설계하면서 생성되는 도면으로, 기존 사례 도면의 재활용이 가장 많은 도면중 하나이다. 그러나 여러 도면이 한꺼번에 작성되는 마감상세도의 특징 때문에 기존 도면관리시스템에서는 활용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인 마감상세도의 활용을 위하여 도면 블록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마감상세도 블록화 모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듈을 기반으로 마감상세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개별적인 마감상세도에 대한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개별적인 마감상세도의 관리는 기존 마감상세도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마감상세도 설계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마감상세도 내 지식의 재활용성이 증대됨에 따라 설계된 도면의 품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Y/C 비트 평면합 영상을 이용한 블록 기반 칼라 영상 분할 (Block-based Color Image Segmentation Using Y/C Bit-Plane Sum]nation Image)

  • 곽노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53-64
    • /
    • 2000
  • 본 논문은 Y/C 비트 평면합 영상을 대상으로 블록에 기반한 영상 분할을 수행함으로써 우수한 분할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칼라 영상 분할 기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R, G, B 영상들 간의 차분 성분들의 절대값을 구하여 합산한 후, 이를 정규화하여 색차합 영상을 구한다. 다음으로, 화소 단위로 휘도 영상의 상위 2비트와 정규화된 색차합 영상의 상위 6비트를 비트연산하여 Y/C 비트 평면합 영상을 얻는다. 이후, 기설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분할된 Y/C 비트 평면합 영상의 각 블록을 질감 블록과 단순 블록 및 에지 블록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블록별로 병합한 후, 기설정된 마커 배정 규칙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커를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마커가 부여되지 않은 블록을 대상으로 화소 단위의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정교한 분할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고찰할 때, 제안된 방법은 질감 영역에서의 과분할의 문제와 과도한 연산량의 부담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더불어, 영상 분할용 파라미터들의 민감도가 낮아 서로 다른 화소 분포 특성을 갖는 영상들에 전역적인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Y/C 비트 평면합 영상에 반영된 색차 성분에 힘입어 저대조 경계면에서의 분할 특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DF

주거건물의 개별급탕방식 환탕배관 적용에 따른 급탕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ecirculation System for Individual Hot Water Supply System in Residential Buildings)

  • 차민철;여명석;석호태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9권12호
    • /
    • pp.857-864
    • /
    • 2007
  • In the current residential building, hot water supply system consumes the second largest energy in order to make the thermal comport condition of residential space. The mor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s the more the demand for hot water and water consumption is increasing gradually. So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circulation for individual hot water supply system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for waiting time for hot water, wasted water and energy consump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ase of recirculation system method the waiting time for hot water can be reduced up to $69\sim85%$ in spring and fall period and so dose up to $77\sim85%$ in winter period. (2) The total wasted water has a little change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which can make the total wasted water reduced about $77\sim86%$. (3) The efficiency of hot water supply system can be improved, if the method which blocks the inflow of cold water is applied, when return pump is operated to recirculate hot water in recirculation system.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의 가구(街區)체계에 관한 연구 -1970년대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lock Structure of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Districts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Cheongju City in the 1970's)

  • 김미연;오덕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51-563
    • /
    • 2019
  • 본 연구는 청주시의 1970년대에 시행된 4개의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를 대상으로 하며, 물리적 측면에서 가구체계의 개념을 통해 지구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첫째, 가구의 가로 특성을 보면, 4개 지구 동일하게 현재의 도시개발 기준 대비 간선도로망과 가구로의 진입을 위한 국지도로체계는 잘 갖춰져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가구내의 개별필지로의 진입로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개별 필지 별 건축이 어려운 상황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의 형태 특성을 보면, 세장비는 평균 1:2의 비율이며, 동서방향의 장방형 가구가 높은 빈도를 나타났다. 1지구부터 3지구까지는 가구면적이 증가하는 추세이었으나 4지구는 다시 감소하여 현대적인 가구구획의 형태로 변화하는 양상을 띠었으며, 가구면적이 클수록 접도율이 일관성 있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필지배열 특성을 보면, $4{\times}4$이상의 다열구조를 갖는 가구의 빈도가 1~3지구 까지 높았으며 4지구에서는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정방형에 가까운 가구는 접도율이 열악한 과다열 필지구획이 되어, 주거환경을 개선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한 택지 개발은 가구구획이 상당히 정형화되어 있고, 그러한 주택지의 면적이 상당한 만큼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좋은 주거지를 위한 개선방법을 찾는다면, 외곽개발 등의 난개발을 제어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약제품분석의 정성분석도구로서 FT-NMR (FT-NMR as an analytical tool for identification of inert materials in crop protection products)

  • 최달순;경석헌;홍수명;진용덕;이해근;김진화;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8-94
    • /
    • 2004
  • 농약제품 중 개별부자재의 확인을 위한 분석도구로서 NMR 분광기를 사용하였고 부자재의 표준품 및 농약제품을 분석 비교하였다. 고분자물질인 계면활성제는 co-polymer였고 많은 ethylene 그룹으로 이루어졌다. 가장 두드러진 signal은 긴 체인의 polyoxyethylene 그룹으로 70.5 ppm에서 나타났고 Ester의 carbnyl 그룹은 173.5 ppm에서 자기공명 signal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시료는 정제, 농축,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의 과정 없이 준비되었고 개별부자재의 확인은 분석된 시료와 표준품 스펙트럼과의 비교에 의하여 가능할 수 있었다. NMR 분광기는 전처리과정 없이 농약제품 중 개별부자재의 분석이 가능하였다.

지리정보[GIS]기술을 기반으로 한 도시공간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an Urban Spatial structure, based on the GIS Technique)

  • Kwon, Chang-Hee;Cho, Jae-Wan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4권2호
    • /
    • pp.67-73
    • /
    • 2006
  •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Category Individual Residence urban spatial structure along the National Route BO (Koushu-Kaido), one of the major roads in Japan, and the degree of differences between locations and its changes between the points of time.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GIS technique. Whilst, previous studies were based on municipal boundaries or mesh units as sources of data, GIS allowed the use of variable geographical units, Roadside zone, Inner zone, North zone, South zone, Blocks. As an example to apply the technology of GIS, 1986's and 1991's building polygon data of the Urban Planning Bureau of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are used. The layers referred to the analyses is the building polygons with the amount of stories, building area, floor area and the material of the building. Two statistical analysis are executed; one is the test of the regional equality about the number of story of building, building area, floor area and fireproof building ratio.

  • PDF

One-Dimensional Heterostructures Based Nanodevices

  • Myung, Nosang V.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1-3.1
    • /
    • 2009
  • Nanotechnology has beenrapidly evolved from passive nanostructures where nanostructures with steadystructures and functions often used as parts of a product to activenanostructures which change their properties during use. Startingaround 2010, it is anticipated that researchers will cultivate expertise withsystems of nanostructures, directing large numbers of intricate components tospecified needs. One dimensional (1-D) nanostructures suchas nanowires and nanotubes are extremely attractive building blocks for nextgeneration devices because of their high surface to volume ratio and uniquesize dependent properties. In addition, their extremely high aspectratio offers researchers the potentials to build axial or radialheterostructures to integrate multiple functionality from intrinsic propertiesof the material or through interfacial phenomena. Spatialmanipulation and the ability to assemble and position nanostuructures in acontrolled matter so they are registered to define spaces is also a criticalstep toward scalable integration in high density nanodevices. In thispresentation, a generalized template directed electrodeposition with ancillaryassembly, contact will be presented to synthesize axial and radialheterostructures in cost-effective matter and these individual nanostructureswill be applied to spintronics, gas and biological sensors and thermoelectr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