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genous yeast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울릉도 수집 균주의 배양조건에 따른 균사 생장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ycelial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ulture Conditions of Ulleungdo Collection Strains)

  • 김민경;안초롱;김창무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75-8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에서 수집한 자생 버섯 균주 5종의 평판배지 배양 특성과 액체배양에서의 특성을 확인하여 자생 균류의 이용을 위한 기초 정보를 확보하였다. 5종의 야생 균주의 최적 배양온도는 25-30℃이고, pH는 4.0-5.0의 산성임을 확인하였다. 특히P. brumalis는 35℃에서 생장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보아 고온성 버섯으로 판단된다. 실험에 사용한 상용 배지 중 최적 배지는 F. punctata의 경우 MEPA 배지, P. ulleungus는 MMNA 배지, G. subnudus는 MEA 배지, T. kmetii는 MMNA 배지, 마지막으로P. brumalis는 모든 배지에서 빠른 생장 속도를 보였으며 6종류의 배지 중 MEA 배지는 모든 균주의 균사 밀도가 낮아 배양이 적합하지 않은 조성임을 확인하였다. P. brumalis는 5종의 균주중 가장 빠른 생육 속도를 보였으며, 반면에P. ulleungus는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여 같은 속(genus)의 종이지만, 생육특성의 차이가 극명함을 보였다. 액체배양을 통해 배양 기간에 따른 배양여액의 건조 중량을 비교한 결과 배양 기간이 길수록 건조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6개월 이전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로 정치배양 조건에서의 액체배양은 한달 이상의 배양 시간이 주어져야만 배지 성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5종의 균주에 대한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고 향후 응용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ichia anomala JK04와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의 혼합발효에 의한 감와인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wine by the mixed culture of Pichia anomala JK04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cells)

  • 권수진;최준수;여수환;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68-7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와인제조에 있어 향미 증진과 같은 품질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Pichia anomala JK04와 일반적으로 와인 양조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을 혼합 발효하여 감와인의 발효 특성을 비교하였다. 감와인의 발효특성 결과 발효 종료 시 대부분의 실험구에서 pH 4.0~4.2, 총산 0.5~0.6%를 나타내었다. 당도와 환원당 함량 변화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점차 감소하여 S. cerevisiae Fermivin 단독 발효구와 P. anomala JK04 혼합 첨가 발효구에서 발효 종료시점에서 대부분의 당이 소비되었다. 최종 알코올 함량은 S. cerevisiae Fermivin 단독 발효구와 S. cerevisiae Fermivin과 P. anomala JK04의 혼합첨가 발효구에서 알코올 생성이 빨랐으며 발효 종료 시 모든 구의 알코올 농도는 12~13%를 나타내었다. 각 첨가구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0.05 mg/mL로 초기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감와인의 hue value는 발효 초기에 비해 증가하여 4~5의 값을 나타내었고, intensity value는 발효초기 0.5의 값에서 점차 감소하여 발효 종료 시까지 0.1~0.2의 값을 유지하였으며 휘발성 향기성분의 경우 P. anomala JK04의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 보다 다양한 알코올류, 에스테르류가 생성되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 향기와 맛의 평가에서 P. anomala JK04를 첨가한 모든 혼합 발효구에서 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한국의 민속주에 관한 고찰(II) -전라도.경상도.제주도 지방을 중심으로- (Study on Traditional Folk Wine of Korea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Chulla-do, Kyungsang-do and Cheju-do-)

  • 윤숙자;박덕훈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5-367
    • /
    • 1994
  •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nature of the traditional Korean wines brewed throughout the Southern Region of Korea-Chulla-do, Kyungsang-do and Cheju-do describing their varieties and brewing methods and also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ir features. When compared with the wines produced in the Central Region, the Southern varieties are very fastidious and complex in their brewing methods, which in turn show a wide range of diversity. First of all, all the 29 kinds of wines investigated, not a single one shows any resemblance to any one of the remaining, each exhibiting peculiar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 features of its own. Especially, the distilling methods demonstrate very complex processes. Secondly, the majority of the Southern spirits are made from grains, added with fragrant flavor of pine tree, wormwood, chrysanthemum leaves and other medicine herbs such as Chinese matrimony vine and tankui. Thirdly, they are brewed with yeast made from wheat into kodupap(steamed rice) type of spirits, emerging as in the form of blended liquor. Fourthly, in brewing, different fermenting temperature and duration are required. Typewise, the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basic spirit is $15{\sim}20^{\circ}C\;or\;25{\sim}30^{\circ}C$ : in the case of blended secondarily fermented liquor, from the minimum of $0{\sim}5^{\circ}C$ to the maximum of $75{\sim}80^{\circ}C$. The brewing duration is $3{\sim}5$ days for the basic spirits. In some cases, from the minimum of 3 days to the maximum of 100 days are consumed for fermenting. Fifthly, the wine extraction gadgets are yongsu (wine strainer), the sieve, filter paper, Korean traditional paper, the utilization of which implies that the brewers endeavor to observe and preserve the traditional and indigenous methods of wine making.

  • PDF

Xylanolytic and Ethanologenic Potential of Gut Associated Yeasts from Different Species of Termites from India

  • Tiwari, Snigdha;Avchar, Rameshwar;Arora, Riya;Lanjekar, Vikram;Dhakephalkar, Prashant K.;Dagar, Sumit S.;Baghela, Abhishek
    • Mycobiology
    • /
    • 제48권6호
    • /
    • pp.501-511
    • /
    • 2020
  • Xylophagous termites are capable of degrading lignocellulose by symbiotic gut microorganisms along with the host's indigenous enzymes. Therefore, the termite gut might be a potential niche to obtain natural yeasts with celluloytic, xylanolytic and ethanologenic traits required for bioethanol production from lignocellulosic biomass. In this study, we cultured 79 yeasts from three different termites viz. Coptotermes heimi, Odontotermes javanicus and Odontotermes obesus. After suitable screening methods, we identified 53 yeasts, which belonged to 10 genera and 16 different species of both ascomycetous and basidiomycetous yeasts. Most yeasts in the present study represent their first-ever isolation from the termite gut. Representative strains of identified yeasts were evaluated for their cellulolytic, xylanolytic, and ethanologenic abilities. None of the isolates showed cellulase activity; 22 showed xylanolytic activity, while six produced substantial quantities of ethanol. Among xylanolytic cultures, Pseudozyma hubeiensis STAG 1.7 and Hannaella pagnoccae STAG 1.14 produced 1.31 and 1.17 IU of xylanase. Among ethanologenic yeasts, the strains belonging to genera Candida and Kodamaea produced high amount of ethanol. Overall, highest ethanol level of 4.42 g/L was produced by Candida tropicalis TS32 using 1% glucose, which increased up to 22.92 g/L at 35 ℃, pH 4.5 with 5% glucose. Fermentation of rice straw hydrolysate gave 8.95 g/l of ethanol with a yield of 0.42 g/g using the strain TS32. Our study highlights the gut of wood-feeding termites as a potential source of diverse yeasts that would be useful in the production of xylanase and bioethanol.

The Adjuvant Effect of Sophy ${\beta}$-Glucan to the Antibody Response in Poultry Immunized by the Avian Influenza A H5N1 and H5N2 Vaccines

  • Le, Thanh Hoa;Le, Tran Binh;Doan, Thanh Huong Thi;Quyen, Dong Van;Le, Kim XuyenThi;Pham, Viet Cuong;Nagataki, Mitsuru;Nomura, Haruka;Ikeue, Yasunori;Watanabe, Yoshiya;Agatsuma, Takesh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4호
    • /
    • pp.405-411
    • /
    • 2011
  • Avian influenza virus vaccines produced in oil-emulsified inactivated form with antigen content of at least 160 hemagglutinin units (HAU) induced immunity in birds. However, in addition to enhancing the effect of the adjuvant(s), other additional supplemented biological compounds included in inactivated vaccines could produce higher levels of antibody. We examined in chickens, Vietnamese ducks, and muscovy ducks the adjuvant effect of Sophy ${\beta}$-glucan (SBG), a ${\beta}$-1,3-1,6 glucan produced by the black yeast Aureobasidium pollulans strain AF0-202, when administered with an avian influenza H5 subtype vaccine. In Experiment 1, 40 chickens (ISA Brown hybrid), allocated to four groups of ten each, were immunized with Oil-H5N1(VN), Oil-H5N1(CN), Oil-H5N2(CN), and saline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chickens (ISA Brown hybrid), muscovy ducks (French hybrid), and Vietnamese ducks (indigenous Vietnamese) were used to further assess the effect of SBG on immunogenicity of the Oil-H5N1(VN) Vietnamese vaccine. ELISA and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I) assays were used to assess the antibody response. The H5 subtype vaccines initiated significantly higher immune responses in the animals dosed with SBG, with 1.0-1.5 $log_2$ higher HI titers and 10-20% ELISA seroconversion, compared with those not dosed with ${\beta}$-glucan. Notably, some of the animals dosed with SBG induced HI titers higher than 9.0 $log_2$ following boosting immunization. Taken together, our serial studies indicated that SBG is a potential effector, such as enhancing the immune response to the H5 vaccines tested.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e)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및 해감 제거공정에 따른 저감화 효과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Semisulcospira libertine and Evaluation of Its Reduction Effects by Sediment Removal Treatment)

  • 최만석;전은비;최승호;방현조;박신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1-36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슬기 중의 자연균총의 정량적 오염도 분석과 해감 제거 공정(지하수, 상수)에 따른 저감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슬기 중의 일반세균, 대장균군과 대장균, 진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의 정량적 검출을 위해 표준평판법을 사용하여 각각 plate count agar (PCA), potato dextrose agar (PDA), 대장균군/대장균용 3M Petrifilm 및 황색포도상구균용 3M Petrifilm에 도말하여 집락을 계수하였다. 지하수와 상수 처리에 따른 이들 균의 저감화 정도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다슬기 원료 중의 미생물 오염도 분석시,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진균은 각각 6.40, 2.70 및 $6.79{\log}_{10}CFU/g$로 조사되었다.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 한계: < $1{\log}_{10}CFU/g$). 그러나, 지하수로 해감 제거한 다슬기의 경우, 분석된 모든 미생물의 정량적 오염도가 원료 다슬기에 비해 높게 검출되었다. 특히 원료 다슬기에서 불검출이었던 대장균도 $2.46{\log}_{10}CFU/g$ 검출되었다. 상수로 해감 제거한 다슬기의 일반세균은 유의적으로 저감화 되지 않았으며(p<0.05), 대장균군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진균만이 약간의 저감화(0.2 log 이하)를 유의적으로 보였다(p>0.05). 본 연구결과 지하수와 상수를 이용해서 해감 제거하는 공정만으로는 다슬기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