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cator variable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초

농업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식물 7종의 분포 특성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예측 (Potenti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even Agricultural Indicator Plant Spec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t Agroecosystem in South Korea)

  • 남형규;송영주;권순익;어진우;김명현
    • 생태와환경
    • /
    • 제51권3호
    • /
    • pp.221-233
    • /
    • 2018
  • 본 연구는 농업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식물의 현재와 미래의 분포 특성을 예측하고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전국을 대상으로 총 108개 지점에서 지표식물 7종(광대나물, 꽃마리,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 큰망초, 서양금혼초)의 실제 분포 유무 자료를 수집하고 Maxent 모형을 적용하여 현재와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미래의 잠재적 분포를 예측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분포 예측에서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 3종은 전체 분포 면적은 감소하였지만 분포 범위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큰망초와 서양금혼초 2종은 분포면적과 범위가 모두 확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광대나 물과 꽃마리 2종은 분포 면적이 급격히 줄어들어 국지적으로 분포하거나 일부 해안가에만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광대나물, 꽃마리,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의 경우 토지피복도나 고도와 같은 비기후인자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큰망초와 서양금혼초는 기후인자가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기후변화 지표식물의 분포 예측 특성은 향후 지표식물의 모니터링 방향과 관리 계획 설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모델기반의 전기자동차용 전지 잔존용량계 개발 (Development of Model Based Battery SOC Indicator for Electric Vehicle)

  • 임영철;박종건;류영재;이흥수;변성천;김의선
    • 센서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35-42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델 기반 잔존용량계(model based battery indicator)를 개발했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면 잔존용량을 측정하는 데 전지의 전압과 전류만 측정하면 되고, 초기 잔존용량값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전기자동차와 같이 부하가 급변하는 상태에서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를 계산하여 예측할 수 있다. 전지의 방전 특성 데이터를 이용해 수학적인 모델링을 한 후,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이를 모델링한 식에 대입하면, 추정된 전지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이 추정 전압과 측정 전압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잔존용량의 반화량을 이용히여 잔존용량을 추정한다. 실험에서는 제작한 충방전장치와 PC를 이용하여 전지의 전압과 전류를 계측하여 수학적으로 모델링을 하고, 실제의 전기자동차에 탑재 가능한 스탠드 얼론(stand alone)타입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모델식 및 알고리즘을 장착하여 모델 기반 잔존용량계를 실제 검증하여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Modeling of Environmental Survey by Decision Trees

  • 박희창;조광현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75
    • /
    • 2004
  • The decision tree approach is most useful in classification problems and to divide the search space into rectangular regions. Decision tree algorithms are used extensively for data mining in many domains such as retail target marketing, fraud dection, data reduction and variable screening, category merging, etc. We analyze Gyeongnam social indicator survey data using decision tree technique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We can use these decision tree outputs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 PDF

Modeling of Environmental Survey by Decision Trees

  • Park, Hee-Chang;Cho, Kw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5권4호
    • /
    • pp.759-771
    • /
    • 2004
  • The decision tree approach is most useful in classification problems and to divide the search space into rectangular regions. Decision tree algorithms are used extensively for data mining in many domains such as retail target marketing, fraud dection, data reduction and variable screening, category merging, etc. We analyze Gyeongnam social indicator survey data using decision tree technique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We can use these decision tree outputs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 PDF

일련 자료 처리를 위한 시각적 객체 기반 모델러 개발 (Development of a Graphical Modeler for Manipulating Series Data Based on Object-Oriented Technique)

  • 김태곤;이정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2호
    • /
    • pp.43-49
    • /
    • 2009
  • Many researcher uses simulation techniques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and expecting the response. Simulation techniques have many advantages which is less time-consuming, easy to control constraints, and cheaper than experimental study. However Researches usually are not good at programming the model, it's hard to implement simulation model using computer language. They use spreadsheet program like Microsoft $excel^{TM}$ Although a spreadsheet program is good for modeling, it's cumbersome to describe expressions which consist of not variable name but location indicator. This study suggests the program which helps researcher developing model using graphical interface and variable name. For verifying usability, the model which is implemented by developed modeler were compared with by spreadsheet program.

Integration of 4-20mA Current Loop Receiver Instrument Variable Linear Mapping

  • 롱치록;박수홍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537-15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4-20mA 수신기를 가진 선형매핑용량의 새로운 집적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듈은 즉각적으로 기구변환을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성은 직렬통신포트에 콘솔명령을 사용하여 쉽게 배치하였다. 전류루프나 디폴트전류송신기에서의 중단되는 현상을 표시에 의하여 쉽게 발견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모듈의 적용과 실험에 대하여 상세히 연구하였다.

The Variable Acquisition of Discourse Marker Use in Korean American Speakers of English

  • Lee, Hi-Kyou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2호
    • /
    • pp.1-18
    • /
    • 2005
  • This study i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discourse marker acquisition in Korean American speakers of English. Discourse markers are of interest because they are not an aspect of language taught through formal instruction either to native or non-native speakers. Therefore, discourse marker use serves as indirect evidence of face-to-face interaction with native speakers and an indicator of integration. In this ligh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presence of discourse markers in Korean Americans. The markers chosen for analysis were you know, like, and I mean. The data consist of spontaneous speech elicited from interviews. Sociolinguistic variables such as age, sex, and generation (i.e., $1^{st}$, 1.5, $2^{nd}$) were examined. Results show that there appears to be interac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discourse marker use. While all speakers showed variable acquisition of markers, younger, female, and 1.5 generation speakers were found to use discourse markers more than other speakers. Although discourse marker use is optional and thus not a linguistic feature that must be necessarily acquired, it is clear that use is pervasive and acquired differentially by English speakers irrespective of whether they are native or not.

  • PDF

Iteration 부호의 가변반복복호 제어기법 (Variable Iteration Decoding Control Method for Iteration Codes)

  • 백승재;이성우;박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53-75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반복복호 부호의 복호과정시 채널 적응적으로 반복복호수를 가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제어기법을 제안한다. 반복복호 부호는 반복구조를 가지며 그 특성상 반복복호수가 증가할수록 성능이 우수하게 향상된다. 그러나 반복복호수가 증가한 수록 복호과정시 적용된 알고리즘의 복잡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계산량의 증가를 가지게 되며 이는 복호지연시간 증가로 나타난다. 또한 일정 반복복호수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그 성능 변화가 거의 없는 오류마구(floor) 현상이 나타난다. 즉 성능변화가 없는 적절한 반복복호수 종료점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 주기로 수신된 정보를 프레임 에러체크 지시자를 이용하여 채널의 변화를 감시하며 반복복호 부호의 반복복호수를 채널 적응적으로 승가, 감소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반복구조를 가지는 부호의 방대한 계산량 감소와 이로 인한 복호지연 시간을 성능저하없이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교육기능성게임의 효과성 측정에 대한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Outcome Variable for Educational Serious Game)

  • 윤수민;최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46-552
    • /
    • 2016
  • 컴퓨터게임이 새로운 인기 레저활동으로 변화되고, 기능성게임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이에 대한 효과성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기능성게임의 효과 평가, 종류, 개발 등에 국한되어진 반면, 게임 활용이후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기능성 게임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위하여 기존의 문헌연구에 사용된 효과성 검증에 사용된 성과 변수들을 분석하고, 특히 교육용 기능성게임의 효율적인 효과성검증을 위해 필요한 성과지표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게임사용 이 후 변화된 학습효과, 인지 효과 등을 검증하기 위한 성과지표로써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도서관 예산과 도서관 이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budget and Library Usage)

  • 김선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3-212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이용과 도서관예산 사이에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잠재적 이용자들을 도서관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적정예산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있다. 다시 말해, 도서관예산은 도서관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공공도서관 31개관을 대상으로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으로부터 확보된 2013년 통계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독립변수는 도서관예산을 설명하는 '총비용지수(TFI: Total Funding Indicator) = $\sqrt{인건비{\times}자료구입비}$'와 도서관이용을 나타내는 'LU(Library Usage) = (연간 방문자수) + (연간 대출자료수) / 봉사대상인구'의 개념을 통해 산출된 값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도서관총비용지수(TFI)와 도서관이용(LU) 사이에는 영향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서관의 예산이 증가할수록 도서관이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비록 도서관예산과 도서관이용의 긍정적인 관계를 설명하고 있지만,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의 제한성 및 한정성으로 인해 정책결정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대상의 확대 및 분석기간의 다년화를 통한 타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