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ca ${\times}$ japonica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7초

일반계(一般系) 및 다수계(多收系) 현미(玄米)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일반성분(一般成分)-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aponica and J/Indica Brown Rice -Chemical Composition-)

  • 송보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41-146
    • /
    • 1987
  • 일반계(一般系) (천마벼, 서남벼 및 섬진벼) 및 다수계(多收系) (가야벼, 원풍벼, 이리 362호(號)) 현미(玄米)의 성분(成分)을 분석(分析) 비교(比較)하였다. 현미(玄米)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N{\times}5.95)$은 평균(平均) 9.63%로서 서남벼가 10.50%로 가장 높았고, 섬진벼는 8.90%로 가장 낮았다. 지방질(脂肪質)$(2.11{\sim}2.31%)$과 회분(灰分)$(1.14{\sim}1.34%)$ 함량(含量)은 각(各) 품종간(品種間)에 큰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은 일반계(一般系)와 다수계(多收系) 현미간(玄米間)에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며, 품종간(品種間)에도 큰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현미(玄米)의 제(第)1제한(制限) 아미노산은 리진(lysine)이었으며, 제(第)2제한(制限) 아미노산(酸)은 원풍벼의 트레오닌(threonine)을 제외(除外)하고는 모두 이소로이신(isoleucine)이었다. 현미(玄米)의 주(主)된 지방산(脂肪酸)은 팔미트산(酸)(19.3%), 올레산(酸)(40.3%) 및 리놀레산(酸)(36.1%)으로서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95.7%를 차지하였다. 일반계(一般系) 현미(玄米)는 다수계(多收系) 현미(玄米)에 비(比)하여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 함량(含量)이 낮았다. 현미(玄米)의 무기질(無機質) 함량(含量)은 품종간(品種間)에 큰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差異)는 일반계(一般系) 현미(玄米)가 심하였다. 현미(玄米)의 무기질중(無機質中) 칼슘과 인(燐)의 비(比)는 약 0.052이었다.

  • PDF

벼 품종별 Methane 배출과 뿌리의 탄수화물 분비 특성 (Influence of Different Rice Varieties on Emission of Methane in Soil and Exudation of Carbohydrates in Rhizosphere)

  • 이경보;이덕배;엄택용;김종구;류철현;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7-264
    • /
    • 1997
  • 논 토양에서 벼 품종간 $CH_4$ 배출과 근 분비물 특성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만생종에 비하여 조생종의 $CH_4$ 배출이 적은 경향이었으며 자포니카 형보다는 통일형의 $CH_4$ 배출이 적은 경향이었다. 2. $CH_4$ 배출과 분얼수 및 근중과는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상관계수는 분얼수보다 근중에서 높은 경향이었고, 유수형성기 및 출수기에 $CH_4$ 배출이 많았다. 3. 토양용액중 $CH_4$ 함량은 계화벼가 가장 높았으며 다른 품종들은 비슷한 경향이었는데 이는 근권 산화력에 크게 좌우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4. 뿌리에서 분비된 탄수화물류는 이앙 40일을 기준으로 조생종인 남원벼가 $1,306{\mu}g\;l^{-1}day^{-1}$, 중만생종이 $283{\mu}g\;l^{-1}day^{-1}$ 통일형인 풍산벼가 $984{\mu}g\;l^{-1}day^{-1}$를 분비하였다.

  • PDF

개량 곳간용 벼이송장치(移送裝置)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 Rough Rice Handling Equipment for In-Bin Drying and Storage System)

  • 장동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3권3호
    • /
    • pp.44-51
    • /
    • 198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ain handling system for loading, unloading and transporting of rough rice stored at the in-bin drying and storage (IBDS) developed by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KAIST). A mechanized Fain handling system consisted of a portable auger and a gate was developed and tested. The test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The loading capacity of the handling system developed is $16.2m^3/h$ (8.3 ton/h) for the Indica type rice and $13.0m^3/h$(7.3 ton/h) for the Japonica type. It is greater than that of manual handling as much as 2.5 - 2.7 times. 2) The unloading capacity of the handling system developed is $16.0m^3/h$(8.2 ton/h) for the Indica type rice and $12.6m^3/h$(7.0 ton/h) for the Japonica type. It is greater than that of the manual as much as 4.7 - 5.5 times. 3) For 3-ton capacity of the storage, the loading and unloading can be performed for 20 and 30 minutes by one man operation of equipment. while 60 and 120 minute for the manual of 2 men, respectively. 4) The volumetric efficiency of the system developed is 0.42 - 0.54 and the power efficiency is 4.0 - 4.4. 5) The break-even quantity of the handling system developed is about 38.6 ton($68.7m^3$) of rough rice and the initial investment for the system would be returned within five years for the most owners of the KAIST IBDS system.

  • PDF

온대와 열대에서 생태형이 다른 수도품종의 수량 및 생육형질의 변이 IV. 온대지방에서 파종기와 묘대일수에 따른 품종별 반응 (Variations of Yields and Growth-related Characteristics shown by Different Ecotype of Rice Varieties in the Temperate and Tropical Zones IV. Varietal Variation in Different Sowing Times and Nursery Period in Temperate Zone)

  • 노건길;이은웅;권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1987
  • 인도네시아품종인 Indies 4개품종과 Bulu 4개 품적을 한국품종인 Japonica 4개 품종과 원록교잡 통일형 4개 품종을 비교하기 위하여 파종기와 묘대일수들 달리하여 비교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공시한 Bulu 4개 품종중 Jamu, Putih Gang-sar. Kesambi Putih 등 3개 품종은 처리한 어떠한 파종기나 묘대일수에서도 출수치 않았으며 Untup품종은 조기에 파종한 것 중에서 부대일수가 빠른 구에서 출수하였으나 성숙치는 못하였다. 2. Indica의 만생종인 Cisadane는 식대일수가 짧은 것은 출수하였으나 성숙치는 못하였으며 나머지 3개 품종은 처리한 모든 구에서 출수하여 성숙하였으나 조기파종과 묘대일수가 짧은 것일수록 수업성적이 좋았다. 3. 한국 품종은 Jaronica형이 나 통일형 품종은 처리한 모든 구에서 출수ㆍ성숙하였으나 조기파종 및 묘대일수가 짧은 것일수록 수량성적이 좋았다. 4. 생식생장기 및 성숙기의 각종온도요인과 출수기의 일장과 각 품종의 출수기와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더니 Japonica 품종이 각 온도요인과 일장과 상관관계의 빈도가 높았다. 5. Cisadane와 Bulu 품종의 출수한계온도는 기존보고의 18$^{\circ}C$보다 높다고 판단되었다.

  • PDF

Mat-묘(苗)의 리올러지 특성(特性) (Rheological Properties of Mat-type Seedlings)

  • 이정기;허윤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4권1호
    • /
    • pp.8-15
    • /
    • 1989
  • Agricultural materials do not react in a purely elastic manner, and their responses when subjected to stress and strain are appeared from a combination of elastic and viscous behavior. Various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many agricultural materials, but those properties are available mostly foreign varieties of agricultural products. Rheological properties of rice seedlings become important to formulate the principles governing their mechanical behavio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erimentally determine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ies of rice seedlings such as three Japonica-type and one Indica ${\times}$ Japonica hybrid in the transplanting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ress relaxation behavior could be described by the generalized Maxwell model. 2. The phenomenon of stress relaxation happened abruptly just after loading and this phenomenon weakened with the loading time lapsed. 3. With increase of the initial stress, the stress relaxation intensity and residual stress increased, while the relaxation time was constant with increased, while the relaxation time was constant with increase of the level of initial stress. 4. With increase of loading rate, the stress relaxation intensity increased, while the relaxation time and residual stress decreased.

  • PDF

수도자포니카 및 통일형 품종의 광합성 및 물질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and Dry Matter Accumulation in Japonica and Tongil type Rice)

  • 허훈;양덕조;류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5-53
    • /
    • 1992
  • 우리나라에 육성보급하고 있는 대표적인 벼품종으로 Japonica$\times$Japonica 교잡인 일반형품종 2품종(추청, 화진)과 Indica$\times$Japonica 원연교잡으로 육성한 통일형품종 2품종(삼강, 칠성)을 공시 하여 광합성 및 물질생산특성과 이와 관련된 주요 생리적특성을 구명코져 온도와 광도 조건을 달리하여 생육특기별로 실험한 결과 그 개요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2. 유묘기에 있어서도 통일형 품종은 일반형품종에 비하여 저온에서 광합성능력이 저하되나 상온에서는 오히려 높았다. 3. 저온에 의한 호흡율의 저하는 유묘기, 분얼기 모두 품종간 차이는 적으나 유묘기보다 분얼기에 저하정도가 큰 특징을 보였다. 4. 생육단계별 specific leaf area는 품종간에 큰 차이없이 분얼기가 가장 높고 유수변화기에서 출수기에 갈수록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5. 출수기의 광합성능력은 7KLx의 저광도에서는 일반형품종이 통일형품종 보다 조해도가 낮으나 60KLx의 광도하에서는 통일성품종이 높았으며 특히 2위엽에서 높은 특성을 보였다. 6. 출수기의 엽위별 광합성에 호흡율(R/P$\times$100)은 3위엽에서 현저히 높았고 품종간에도 그경향은 일정하였다. 7. CGR는 전반적으로 통일형품종이 일반형품종에 비하여 높았고 RGR는 품종간에 대차가 없었으나 NAR는 통일형인 삼강에서 현저히 높았다. 8. 통일형품종이 일반형품종에 비하여 1수영화수 및 주당 정조중도 많았고 수확지수도 높은 특성을 보여 주었다.

  • PDF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생태형(生態型) 차이(差異)가 잡초(雜草)와의 경쟁력(競爭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Competition between Transplanted Lowland Rice and Weeds as Affected by Plant Spacing and Rice Cultivar Having Different Eco-geographic Race)

  • 김순철;이수관;김동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
    • /
    • 1982
  • 수도(水稻)의 품종형(品種型) 차이(差異)가 잡초(雜草)와의 경쟁(競爭)에 미치는 영향력(影響力)을 알기 위해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Japonica${\times}$Indica)인 서광(曙光)벼와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인 낙동(洛東)벼를 공시(供試)하여 30${\times}$15 cm, 40${\times}$(10${\times}$10 cm), 10${\times}$10 cm 재식거리(裁植距離)로 1980년(年) 포장시험(圃場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던 결과(結果_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대체로 서광(曙光)벼보다 낙동(洛東)벼 재배구(栽培區)에서 많은 발생량(發生量을) 보였고 재식거리(裁植距離) 간(間)에는 밀식(密植)인 10${\times}$10 cm구(區)에서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가장 적었고, 30${\times}$15 cm구(區)와 40${\times}$(10${\times}$10cm) 구(區) 간(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그리고 제초방법(除草方法) 간(間)에는 서광(曙光)벼 10${\times}$10 cm 구(區)를 제외(除外)한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무제초구(無除草區)의 잡초발생량(잡초발생량)이 월등히 많았다. 2. 잡초발생(雜草發生)에 의한 벼 수량감소(收量減少)는 서광(曙光)벼의 경우 40${\times}$(10${\times}$10 cm)> 30${\times}$15 cm 구(區) > 10${\times}$10 cm 구(區) 순(順)이었고 낙동(落東)벼의 경우는 30${\times}$15 cm구(區) > 40${\times}$(10${\times}$10 cm)> 10${\times}$10 cm 구(區) 순(順)이었으나 10${\times}$10 cm 구(區)에서는 제초방법간(除草方法間)의 수량차(收量差)가 없었다. 3. 잡초건물중(雜草乾物重)과 벼 수량(收量)과는 두 품종(品種) 다 같이 높은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었으며 벼 수량감소율(收量減少率)이 50% 예상(豫想)되는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서광(曙光)벼 213 $g/m^2$, 낙동(洛東)벼 241 $g/m^2$였다. 4.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여 보면 잡초(雜草)와의 경쟁력(競爭力)은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인 서광(曙光)벼보다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인 낙동(洛東)벼가 약간 높은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벼줄기의 기계적(機械的)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Rice Culm)

  • 허윤근;이상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569-575
    • /
    • 1982
  • 수확기간(收穫期間)에 있어서 벼줄기의 물리적(物理的) 및 기계적(機械的)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져 일반계(一般系) 품종(品種)인 이리(裡里)348 및 진주(晋州)벼와 통일계(統一系) 품종(品種)인 서광벼 및 태백(太白)벼 4개(個) 품종(品種)을 표준시비구(標準施肥區)에서 선정(選定)하여 압축(壓縮), 인장(引張), 굽힘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고, 이어서 진주(晋州)벼 및 태백(太白)벼에 대(對)하여 부위별(部位別), 전단각도(剪斷角度) 및 함수율(含水率) 변화(變化)에 따른 전단하중(剪斷荷重)-변형특성(變形特性), 전단력(剪斷力) 및 전단(剪斷) energy등(等) 전단특성(剪斷特性)을 측정(測定)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압축(壓縮), 굽힘, 인장(引張) 및 전단력(剪斷力)은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에 비(比)하여 일반계(一般系) 품종(品種)이 컸다. 2. 전(全) 부위별(部位別)의 전단력(剪斷力) 추세는 진주(晋州)벼에 있어서 하부위(下部位)의 큰 값이 상부위(上部位)로 갈수록 감소(減少)하였고, 태백(太白)벼에 있어서는 하부위(下部位)부터 지상(地上) 21cm까지 비교적 일정(一定)한 큰 값으로 나타냈다. 3. 전단면적(剪斷面積)의 증가(增加)에 따라 전단력(剪斷力) 및 전단(剪斷) energy는 증가(增加)하였고, 그 증가율(增加率)은 전단면적(剪斷面積) $10mm^2$까지는 컸으나 그 이상(以上)에서는 매우 둔화(鈍化)되었다. 4. 예취(刈取) 직후(直後)에 있어서 함수율(含水率)의 감소(減少)에 따른 전단력(剪斷力) 및 전단(剪斷)energy의 감소(減少)는 컸으나 함수율(含水率) 60%(w.b)부터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 PDF

벼 자포니카 및 통일형 품종의 광합성의 일중변화와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ural Changes of Photosynthesis in Japonica and Tongil Type Rice)

  • 허훈;류경열;양덕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7-244
    • /
    • 1994
  • 우리나라에서 육성 보급하고 있는 대표품종으로 Japonica$\times$Japonica 교잡인 일반형 품종 2품종(추청벼, 화진벼)과 Indica$\times$Japonica 교잡인 통일형 품종 2품종(삼강벼, 칠성벼)을 공시하여 생육시기별로 6회에 걸쳐 광합성 및 호흡 특성과 아울러 광합성의 일중변화와 이와 관련한 특성등을 구명코자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얼기 동화부위의 배분(엽신중비율)이 일반형 품종에 비하여 통일형품종에서 높은 특성을 보였다. 2. 생육시기별 광합성 능력은 출수기 이전인 8월 1일에서 가장 높았고 호흡에 대한 광합성 효율(Respiration/Photosynthesis)은 7월 25일에서 가장 높았으며 삼강벼와 추청에서 특이하였다. 3. 1일중의 광합성 곡선은 출수기에는 오전 11~12시(1991.8.12~14)에 peak를 보이는 정규곡선을 나타냈으며 출수 2주일 후(9.2~3)에는 동화량의 peak가 13~14시에 있었으며 통일형품종이 일반형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4. 광합성과 호흡작용의 일중 전환시각은 전품종 공히 표준 일출시각보다 30~60분 늦은 시간에 $CO_2$ 고정이 시작되고 오후에는 표준일몰 시각보다 50~60분 빠른 시점에서 광합성에서 호흡작용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5. 광합성과 엽록소함량 및 근의 생리적 활력과는대체로 정의 상관이 인정되나 엽의 암호흡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6. 통일형인 칠성벼와 삼강벼는 Japonica형인 추청벼나 화진벼에 비하여 수확지수가 현저히 높았다.

  • PDF

등숙기 기상조건이 벼알의 탈립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eorological Condition during Ripening on the Grain Shattering of Rice Plant)

  • 신진철;권용웅;정창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9-234
    • /
    • 1982
  • 이앙기에 따른 등숙기상조건의 차이가 수도의 탈립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탈립성이 큰 태백벼와 비탈립성인 진흥을 재료로 40일 묘를 5월 11일부터 15일 간격으로 4회 이앙하고 출수 후 40일 및 55일의 시기에 각각 벼알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작기 및 수확시기의 영향, 그리고 기상요인들과 탈립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벼알의 인장강도는 각 처리를 통틀어 진흥의 경우 214-251g의 변이폭을 보였고 이 범위의 인장강도는 벼의 포장손실에 무관하나 태백벼의 경우 인장강도는 127.5-204g의 변이폭을 보였고 이앙기 및 수확시기가 탈립성 및 벼의 포장손실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컸다. 2. 벼알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태백벼의 경우 수확시기, 이앙기 및 이앙기와 수확시기와의 상호작용이 모두 컸으며, 특히 이앙기가 6월 25일 경우 현저히 탈립성이 커졌다. 진흥의 경우에는 이앙기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고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즉 벼알이 건조될수록 인장강도가 다소간 커지는 경향이었다. 3. 기상요인들의 탈립성에 미치는 영향은 일평균, 최저, 최고기온 및 일기온교차가 컸고, 특히 수확전 30일간의 이들의 영향이 컸으며, 태백벼의 경우 일사량과 대기온도가 영향하지 않았지만 진흥의 경우에는 수확전 10일간의 일사량과 수확전 30일간의 대기온도가 영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