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ex compound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8초

산화된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의 손상에 대한 마늘 대사산물인 allylmercaptan의 보호 효과 (Protection Effects of Allylmercaptan, Metabolite of Garlic on Endothelial Cell Injury Induced by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595-1602
    • /
    • 2010
  •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는 동맥경화의 유발과 진행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주요 대사산물인 allylmercaptan의 산화 low density lipoprotein에 의해 손상된 내피세포의 보호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Allylmercaptan의 항산화 활성은 thiobarbituric acid substance (TBARS)로 측정하였다. Allylmercaptan은 0.1, 1 및 10 mM의 농도에서 $Cu^{2+}$에 의해 유도된 LDL의 산화를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폐동맥 내피세포를 $37^{\circ}C$, 5% $CO_2$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미리 배양시킨 후 세측한 다음 다시 24시간 동안 0.1 mg/ml oxidized LDL (ox-LDL)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이 때 ox-LDL이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방출과 glutathione (GSH)를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세포막 손상의 지표로 LDH와 GSH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 결과 allylmercaptan을 일정 농도 별로 endothelial cell에 첨가하여 배양했을 때 LDH의 방출과 GSH의 감소를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Peroxide를 형광분석법으로 24 well plate에서 직접 측정한 결과 allylmercaptan이 폐동맥 내피세포 내에서 ox-LDL 유도 peroxide의 방출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allylmercaptan은 과산화수소의 소거능도 있었다. 본 실험결과 allylmercaptan은 ox-LDL 유도 폐동맥 내피세포를 보호할 수 있었으므로 allylmercaptan은 동맥경화의 예방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포장 조건에 따른 저장 중 커피의 향미 특성의 변화와 보존 기간 (Changes in Flavor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Roasted Coffee in Different Packaging Conditions during Storage)

  • 문준웅;조재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41-447
    • /
    • 1999
  • 본 연구는 볶은 커피의 장기 저장 중 포장 조건별로 향미 성분의 변화를 GC로 정량하고, 전문 패널에 의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휘발성 성분과 향미 변화의 상관 관계를 고찰하고 최적 포장 모델과 보존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커피의 향기 성분으로 47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으며 관능 변화에 밀접하게 영향을 주는 것은 light volatile compound이었으며, 특별히 2,3-butanedione의 유보율(% retention)은 커피 향기의 관능 지수와 직선적 관계를 나타내고 높은 상관 관계를 보여주어 커피 향기 성분의 지표 물질로 좋은 역할을 보여주었다. 커피의 최적 포장 모델과 보존 기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6가지 포장 모델을 1년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분석과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볶은 통 커피/발브 포장, 볶은 분쇄 커피/진공 포장, 볶은 분쇄 커피/질소 포장, 볶은 분쇄 커피/탈 산소제 포장의 탈기 포장은 매우 좋은 품질 수준(fresh quality)이 $2{\sim}4$주, 좋은 품질 수준(satisfying quality)이 $12{\sim}24$, 최소 품질 수준(minimally acceptable quality)이 52주 였으며, 볶은 통 커피/함기 포장과 볶은 분쇄 커피/함기 포장은 매우 좋은 품질 수준이 $0.5{\sim}1.0$주, 좋은 품질 수준이 $2{\sim}3$, 최수 품질 수준이 12주이었다. 볶은 통 커피의 포장 방법으로는 one-way valve 포장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분쇄 커피의 포장 방법으로는 진공 포장과 질소 포장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부추의 증숙처리가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am blanching pretreatment on quality of spray-dried powders prepared from pressed juice of garlic chives)

  • 정헌식;김한수;김동섭;이영근;성종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85-391
    • /
    • 2015
  • 부추를 활용한 가용성 분말 제조에 적합한 공정 개발의 일환으로, 부추원료의 증숙처리 유무와 착즙액의 분무건조 부형제 종류에 따른 분말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생부추를 세척, 탈수, 절단 후 증숙처리($100^{\circ}C$, 3분)하거나 무처리한 다음 착즙하여 액을 얻고 여기에 부형제로 dextrin(DE=10)이나 ${\beta}$-cyclodextrin를 5% 첨가하고 분무건조하여 분말을 각각 제조하였다. 부추의 증숙처리는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L^*$값은 높게 하였지만 $-a^*$값, $b^*$값, $C^*$값, $h^o$값은 낮게 하는 효과를 보였다. 분말의 수분함량과 수용성지수는 증숙처리와 부형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입자크기는 증숙처리와 dextrin 첨가구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말의 클로로필, 총페놀, 비타민 C 함량은 증숙처리구보다 무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부형제 종류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PPH 유리기 소거능은 증숙처리에 의해 낮아지며 무처리구에서는 ${\beta}$-cyclodextrin 첨가구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증숙처리구의 관능적 색, 냄새, 종합 기호도는 무증숙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부형제의 영향은 크게 보이지 않았다. 이로써 부추 착즙액의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은 착즙 전 증숙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부추 고유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유지에는 무처리가, 관능적 기호도를 고려할 경우에는 증숙처리가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말초신경 자극시 자극의 강도, 빈도 및 기간의 변화가 동통반응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Pain Reaction and Electrical Stimulation of Peripheral Nerve with Special Reference of Stimulatory Parameters)

  • 백광세;임중우;김인교;이승일;강두희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9권2호
    • /
    • pp.227-232
    • /
    • 1985
  • Previously, we had reported that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peripheral nerve with stimlatory parameters of 20 V strength and 2 Hz frequency for 60 min resulted in reducing the pain reaction.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if the pain reaction was affected by the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with different stimulatory parameters in the decerebrated cat. The flexion reflex was used as an index of the pain reaction. The reflex was elicited by stimulating the sural nerve (stimulus strength of 20 $V\;\times\;0.5$msec) and recorded as a compound action potential from the motor nerve innervated to the posterior biceps femoris muscle. The common perneal nerve was selected as a peripheral nerve on which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various intensities and frequencies was appli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with 100 mV strength, regardless of frequencies, did not affect the pain reaction induced by the sural nerve stimulation. 2) When the stimulus of 1V intensity and slow frequency (2 Hz) was applied to the peripheral nerve for 30 min or 60 min, the pain rea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ing to the control. However, this reduced pain reaction by the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was not reversed by the injection of naloxone (0.02 mg/kg) 3) High frequency stimulus (60 Hz) of 1V intensity for 30 or 60 min did not show any effects of affecting the pain re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imulus of relatively high intensity (at least 1V) and low frequency (2 Hz) is needed to elicite the analgesic effect by the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By the 1V stimulus, $A\delta$ nerve fiber is activated. Therefore, an $A\delta$ or smaller nerve fibers must be activated for showing analgesia by the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However, the mechanism of analgesia by the $A\delta$ nerve activation alone was not related to the endogeneous morphine system since the reduced pain reaction by the $A\delta$ fiber activation alone was not reversed by the treatment of naloxone.

  • PDF

증숙 횟수에 따른 고려인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nax ginseng C. A. Meyer during Repeated Steaming Process)

  • 홍희도;김영찬;노정해;김경탁;이영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222-229
    • /
    • 2007
  • 국내 인삼은 대부분이 수삼 또는 백삼, 홍삼 등의 1차 가공제품으로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서는 인삼의 효능 및 성분 강화를 위하여 발효, 가압처리, 고온처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5년근 수삼을 이용하여 9회의 증숙과 열풍건조를 반복 수행하면서 중량, 색도, 갈변도, 수분, 당류, 산성다당체, 총 페놀화합물, 조사포닌 및 주요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분의 경우 초기 73.4%에서 3회 처리 시 21.2%까지 감소하고 이후 9회 처리 시 13.7%까지 감소하였다. 최종 중량수율은 약 21.0%, 건물기준 최종수율은 79.0%이었다. 색의 경우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갈변도는 3회 증숙처리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총당은 초기 55.4%에서 9회 처리 시 38.6%로 감소한 반면 산성다당체 함량은 4.4%에서 6.8온까지 증가하였다. 총페놀함량은 초기 0.4%에서 3회 처리 시 0.9%로 9회 처리 시에는 3.6%까지 증가하였다. 물포화부탄올 추출물 즉 조사포닌 함량은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주요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ginseno-side $Rb_1$, $Rb_2$, $Rg_1$, Re 등의 함량은 감소하고 $Rg_2$, $Rh_1$, $Rg_3$ 등의 홍삼 특이성분 함량은 5번 증숙처리 이후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대추 메탄올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효능 (Antioxidative Capac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Methanol Extract from Zizyphus jujuba)

  • 김효경;주광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50-754
    • /
    • 2005
  • 대추의 페놀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특초(大棗: 대조), 상초(中棗: 중조), 약초(小棗: 소조) 세 종류의 대추를 메탄올에 추출한 용액과 물에 침 지한 후 메탄올로 추출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총 페놀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산패유도기간을 측정하였다. 대추의 총 페놀화합 물 함량은 메탄올에 추출한 약초, 상초, 특초가 각각 $326.46\;mg\%,\;223.13\;mg\%,\;158.06\;mg\%$이었고 물에 침 지한 후 메탄올에 추출한 약초,상초,특초의 함량은 각각 $113.23\;mg\%,\;81.46\;mg\%,\;72.78\;mg\%$이었다. 전자공여능은 BHT $0.02\%$ 첨가구보다 더 우수한 것은 물에 침 지한 후 메탄올로 추출한 특초의 1.5, 2.0, 2.5, 3.0$\%$ 첨가구와 상초와 약초의 각 1.0, 1.5, 2.0, 2.5, $3.0\%$ 첨가구 등 총 22개의 시료이 었다. 그리고 $\delta-tocopherol\;0.02\%$ 첨가구와 같거나 더 우수한 시료는 물에 침 지한 후 메탄을 추출한 상초 1.5, $2.0\%$와 약초 1.0, $1.5\%$등 총 8개의 시료이었다 산패유도기간은 대추 시료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패유도기간도 증가하였으며 BHT $0.02\%$ 첨가구보다 산패유도기간이 더 우수하거나 비슷한 시료는 물에 침지한 후 메탄올에 추출한 상초 1.5, 2.0$\%$와 약초 1.0, 1.5, $2.0\%$를 첨가한 것과 메탄을 추출물인 특초 $2.0\%$와 약초를 $2.0\%$첨가한 것이었다 대추의 항산화 효능은 물에 침 지한 후 메탄올 추출한 약초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약초추출물의 동결건조 시료는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HepG2 세포에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곰취 유래 3,5-Dicaffeoylquinic Acid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3,5-Dicaffeoylquinic Acid Isolated from Ligularia fischeri against Oxidative Damage in HepG2 Cells)

  • 박선영;김거유;주진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86-1292
    • /
    • 2017
  • 본 연구는 곰취에서 분리한 3,5-dicaffeoylquinic acid(3,5-DCQA)의 간세포에 대한 보호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소 유전자 발현량 및 간 기능 지표 효소(LDH, GGT, GOT)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HepG2 세포에 3,5-DCQA를 10, 20 및 $30{\mu}g/mL$ 농도별로 처리한 후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주요 항산화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hydrogen peroxide 처리에 의해 감소한 SOD-1, SOD-2, CAT 및 GPx의 mRNA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epG2 세포에서 hydrogen peroxide 처리에 의해 증가한 주요 간기능 지표 효소인 LDH, GGT 및 GOT 활성이 3,5-DCQA(10, 20, $30{\mu}g/mL$)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곰취에서 분리한 페놀화합물인 3,5-DCQA는 HepG2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관련 기능성 식품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한 3,5-DCQA의 추가적인 기능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구취발생에 관여하는 구강내부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aoral factor related to oral malodor)

  • 정미애;이은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9-131
    • /
    • 2008
  • This study was peformed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using factors and the production of each gas 01 oral malodor, to contribute the oral malodor control at dental clinic as well as to establish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malodor control project for public oral health program 127 patients from 20 to 40 years old who had been visited for preventive dental cares were participated for the study. Such items as caries status, periodontal status, salivary flow, viscosity, pH. Snyder test, plaque deposit and tongue plaque were checked through the oral examin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contributing factors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and Ammonia gas components were checked with Oral-Chroma and Attain, the oral malodor check units. Not only the corelation coefficiencies but also the multi-way variance analysis were calculated between each causing factor and each component of oral malodor gases to estimate the contributing factors of the oral malodor. 1.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aries status and each component pf the oral malodor such as sulfur compound or Ammonia, both in laboratory test and VAS test (pF0.05). It reveale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Hydrogen sulfide and FT(rM-0.1904. pE0.05) as well as the VAS and FT (rM-0.210. pE0.05). S0, it was estimated that the less oral malador was recognized when caries state changed to filled state in Hydrogen sulfide laboratory test or VAS test 2. High relationship was showed between salivary flow and Hydrogen sulfide (rM-0.183, pM0.039), Methyl mercaptan(rM-0.234, p-0.008). Dimethyl sulfide(rM-0.234, pM0.008) and Ammonia(-0.361. pM0.001) gas(pE0.05). 3. There was a high relationship between M-PHP(Modified-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and tong plaque all kinds of sulfide(rM0.249. pM0.005). Ammonia gas component(rM0.232, pM0.009). 4. It was found that considerable relationship was appeared between the periodontal status and Ammonia gas (rM0.274, pM0.002), so, it should be needed to control Ammonia. Such dental Cares as the prevention or early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and the accelerating the salivary flow as well as reducing the amounts and activities of filament or spiral typed oral micro-organism were recommended for adults, not only for dental care program at the dental clinics but also for public health programs, in order to promote the oral health and quality of file for individual and community peoples.

  • PDF

Oxyfluorfen과 Glyphosate 조합처리(組合處理) 모형(模型)의 혼용효과(混用效果)에 대한 해석적연구(解釋的硏究) (Interpretation of Weeding Efficacy by Mixture Use of Herbicide Combination, Oxyfluorfen and Glyphosate)

  • 구자옥;조용우;이계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36-242
    • /
    • 1987
  • 앞의 시험(試驗)에 이어 oxyfluorfen + glyphosate의 여러 혼용농도(混用濃度)를 공시(供試)함으로써 과수원(果樹園)에서의 잡초종(雜草種) 구성변동(構成變動)에 관한 사항과 제초효과(除草效果)에 대한 두 약제(藥劑)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를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본(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Oxyfluorfen은 0~0.94 kg a. i./ ha 범위(範圍)에서 5 수준(水準), glyphosate는 0~0.4575 kg a.i./ha 범위(範圍)에서 4 수준(水準), 총 20 조합(組合)의 혼용농도(混用濃度)에서 시험(試驗)이 수행(遂行)되었다. l. 다년생(多年生)에 대한 방제효과(防除效果)는 oxyfluorfen+paraquat의 경우보다 oxyfluorfen + glyphosate에서 향상(向上)되었다. 2. Oxyfluorfen 저농도(低濃度) 혼용(混用)에서는 일년생(一年生) 화본과(禾本科)(바랭이)의 재생(再生)으로 우점도지수(優占度指數)가 증가하였고, glyphosate 저농도(低濃度)에서는 월년생(越年生) Stellaria와 다년생(多年生) 쑥의 만연으로 변동계수(變動係數)가 커지고 현존량(現存量)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두 약제(藥劑)의 혼용(混用)에서 oxyfluorfen이나 glyphosate 각각의 최대작용력(最大作用力)은 두 약제(藥劑)의 혼용농도(混用濃度)가 oxyfluorfen 0.55 kg a.i./ha와 glyphosate 0.35kg a.i./ha에서 형성되었다. 4. 두 약제(藥劑)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은 전반적인 혼용농도하(混用濃度下)에서 대체로 부정적인 경향이었다. 5. 이상의 결과(結果)로 oxyfluorfen + glyphosate 혼용(混用)은 약량감소(藥量減少)를 가능케 하는 협력효과(協力效果)라기보다 특정잡초방제력상승(特定雜草防除力相乘)이나 제초기간연장(除草期間延長)을 통한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를 기대할 수 있었다.

  • PDF

$Y_{1-X}G_X$, $Y_{1-X}P_X$ 칼라필터를 통한 시감도 최적화 연구 (Research on Optimizing Luminosity Factor Through Color Filter $Y_{1-X}G_X$, $Y_{1-X}P_X$)

  • 김용근;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56
    • /
    • 2009
  • 목적: 시감도가 최적화된 투과필터의 칼라위치를 추정한다. 방법: 시감도 최적화를 위한 칼라를 Y(Yellow), G(green)과 P(Red)를 이용하여 CR-39에 담그기 법으로 $Y_{1-x}G_{x}$, $Y_{1-x}P_{x}$를 제작하였다. 투과광에서 최종 비시감도의 추정방법 모델은 파장에 따른 눈의 시감도와 렌즈의 투과율 세기의 곱($P_f$ ($P_f({\lambda}=T({\lambda}){\cdot}P({\lambda}).)$.)으로 나타낸다. 400~700 nm 영역에서 투과광의 평가는 비시감도 곡선의 면적, Peak, 폭, 최고높이 값으로 평가한다. 결과: $Y_{1-x}G_{x}$에서 x=0.04, x=0.08, x=0.10, x=0.12, x=0.14, x=0.5에서 ${\beta}=S_1/S_0{\cdot}100$ 값은 각각 76.1, 77.9, 80.7, 81.6, 80.2, 18.6을 갖는다. $Y_{1-x}P_{x}$에서 x=1.00, x=0.2, x=0.6, x=0.8에서 ${\beta}=S_1/S_0{\cdot}100$ 값은 각각 74.3, 74.0, 70.5, 33.0을 갖는다. 투과광의 면적과 최고높이를 평가한 결과는 $Y_{1-x}P_{x}$보다 $Y_{1-x}G_{x}$가 더 큰 값을 갖게 되어 비시감도 최적화에 접근하였다. 결론: 비시감도 최적화는 $Y_{1-x}G_{x}$에서 X=0.12~0.14의 값을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