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eterminate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3초

위치적 십진기수법을 본질로 하여 조직한 소수 개념 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Teaching Plan about a Essential Concept of Decimal Fraction Based on Decimal Positional Notation)

  • 강흥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9-219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소수 개념의 본질에 대한 고찰에 근거하여, 초등 수학에서 소수 개념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였다. 브루소는 역사적 발생과정에 대한 고찰에서 출발하여 소수 개념의 본질을 '자연수의 순서쌍의 동치류'로 규정하고 그것을 지도하기 위한 교수학적 상황을 구성하였다. 브루소와는 달리, 이 논문에서는 소수 개념의 본질을 '십진소수' 즉 '밑수 10에 대한 다항식'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측정활동에 입각하여 그러한 본질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지도 방안을 구체적인 학습 지도안 형태로 구안하였다. 이 학습 지도안이 기초하고 있는 측정활동의 유형은 '보다 정확한 측정치를 얻기 위한 단위의 십진 세분할을 통한 순차적인 측정 활동'이다. 이 실험적 학습 지도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학생들은 그들 스스로 단위를 십진법에 따라 세분할함으로써 하위 단위를 생성하는 조작을 경험한다. 둘째, 십진분수 전개를 먼저 다루고 이로부터 귀납적으로 위치적 기수법에 따른 완성된 소수 표현을 다룬다. 셋째, 위치적 십진기수법을 따라 형식적으로 표기하기 이전에 임의 단위의 명수체계(해-달-별, 혹은 m-dm-cm-mm)에 의해서 읽는 활동을 제공하였다. 이 논문에서 개발된 학습 지도안은 교수실험을 통하여 검증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후속연구가 요청된다.

  • PDF

맥후작(麥後作)에 있어서 신육형(伸育型)이 다른 대두(大豆)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lanting Densities of Two Growth Type of Soybean Cultivars on the Vegetative Growth and Yield after Barley)

  • 이충렬;최창렬;송인만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51-156
    • /
    • 1986
  • 본(本) 실험(實驗)은 신육형(伸育型)이 다른 황금(黃金)콩과 수원(水原)125호(號)를 공시(供試)하여 맥후작(麥後作)에 있어서 알맞은 재식밀도(栽植密度)를 구명(究明)하고자 실시(實施)하였는데 그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開花期)와 성숙기(成熟期)는 본(本) 실험(實驗)의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주경절수(主莖節數)는 신육형간(伸育型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나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으며 밀식(密植)할수록 개체당(個體當) 분지수(分枝數)와 분지장(分枝長)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였다. 3. 개체당(個體當) 협수((莢數), 입수(粒數) 및 자실중(子實重)은 밀식(密植)할수록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여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으로는 밀식(密植)할수록 오히려 증가(增加)하였다. 4. 10a 당(當) 수량(收量)은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 높은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는데 유한신육형(有限伸育型)인 황금(黃金)콩은 $60{\times}7.5cm$, 무한신육형(無限伸育型)인 수원(水原) 125호(號)는 $60{\times}5.0cm$에서 가장 많았다.

  • PDF

콘크리트 장기변형의 구속계수와 선압축력의 손실률 (Restraint Coefficient of Long-Term Deformation and loss Rate of Pre-Compression for Concrete)

  • 연정흠;주낙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21-529
    • /
    • 2002
  •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장기변형의 일부가 구속되는 합성단면에 대해 콘크리트에 발생되는 잔류응력과 이로 인한 콘크리트 단면에 선압축력의 손실을 계산하기 위해 콘크리트 장기변형의 구속계수가 유도되었으며, 선압축력의 손실률을 계산하기 위한 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속계수는 재령수정 유효탄성계수가 적용된 환산단면특성으로부터 계산되며, 복잡한 형태의 합성단면에 대해서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 기존 설계기준에서 콘크리트의 장기변형과 관련된 조항을 검토하기 위해서 도로설계편람의 일반 합성단면에 대해 이 구속계수와 선압축력의 손실 계산식이 적용되었다. 부정정력과 신축이음량의 계산에 적용되는 건조수축변형률 $150 ~ 200$\times$10^{-6}$ 은 장기변형의 구속정도가 적은 경우에 과소 계산될 수 있으며, 잔류응력의 계산에 는 적용되는 $180$\times$10^{-6}$ 은 비정상적으로 작은 값이다. 이 논문에서 적용된 PSC 합성단면에 대한 도로교 설계기준의 손실률 16.3%는 ACI 209에 대해서는 안전측으로 계산되었으나 Eurocode 2에 대해서는 안전을 보장할 수 없었다. 강합성 단면의 콘크리트 바닥판에 일반 보강철근의 긴장에 의해 선압축력이 도입되면 철근비의 증가로 긴장에 의한 경우보다 상당히 큰 손실이 발생되었으며, 강재거더의 구속에 의해 긴장된 보강재 선인장력의 손실은 감소한 반면에, 콘크리트 선압축력의 손실은 증가하였다.

선시공 조립식 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계단 접합부의 접합방식에 따른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for the Stair Joints Constructed with Prefabricated Form System)

  • 이은진;진병창;장극관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301-304
    • /
    • 2008
  • 선시공 조립식 거푸집 공법을 사용한 계단의 접합부는 힌지로 처리하여 구조설계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계단참과 경사계단이 만나는 접합부를 힌지로 간주하게 되면 접합부의 모멘트 성능이 전혀 없으므로 계단부분의 휨모멘트가 증가하게 되어 철근 배근량이 늘어난다. 또한 진동 및 피로하중에 의한 접합부 손실이 증가하여 사용성이 저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단 접합부를 핀접합하는 이유는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시공성을 고려하면서 접합부의 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강접에 대한 상세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상세를 구조설계에 전혀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단의 반강접 접합부를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강접합, 반강접합, 핀접합으로 설계된 계단 접합부에 대해 모멘트 성능을 비교하고, 부정정 구조물인 계단 코아부분의 비선형 해석을 통해 항복 이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반강접합 성능을 반영하기 위한 휨강성계수를 도입하였고, 이를 적용한 비선형 해석결과 핀접합보다는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고, 강접합에 비해 연성이 뛰어나 내진 및 진동에 대해 유리한 시스템으로 판단된다.

  • PDF

할선강성을 이용한 직접 비탄성 스트럿-타이 모델 (Direct Inelastic Strut-Tie Model Using Secant Stiffness)

  • 박홍근;김윤곤;엄태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01-21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할선강성을 사용하여 반복계산을 수행하는 새로운 비탄성 스트럿-타이 모델인 직접 비탄성 스트럿-타이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계방법은 기본적으로 선형해석을 사용하므로 해석의 용이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부재의 비탄성 거동을 고려하여 힘의 평형조건과 변위의 적합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해석/설계법의 절차를 정립하였고, 이를 반영한 해석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한 설계 예를 소개하였으며, 기존의 스트럿-타이 모델과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설계방법은 해석 및 설계의 일괄시스템으로서 과대 인장균열과 스트럿의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계자에 의하여 의도된 설계전략을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본 스트럿-타이 모델은 비선형거동을 해석할 수 있으므로,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트럿과 타이요소의 국부변형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성능수준에 대한 성능기초설계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Predictors and Clinical Impact of Positive Resection Margins on Frozen Section in Gastric Cancer Surgery

  • Kim, Se-Yeong;Hwang, Yoon-Sun;Sohn, Tae-Sung;Oh, Seung-Jong;Choi, Min-Gew;Noh, Jae-Hyung;Bae, Jae-Moon;Kim, S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2권2호
    • /
    • pp.113-119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umor and prognosis, depending on the status of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on the frozen section diagnosis in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retrospectively, in 83 margin-positive patients on the frozen section diagnosis, who underwent gastrectomy from July 1995 to September 2006. The control group was selected by matching the age, gender, TNM stage and status of adjuvant chemoradiotherapy, among those who had shown clear resection margins. The characteristics of tumor and patient survival are investigated, and they were analyz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tumor siz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study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37).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location of the tumors (P=0.003).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only the location and Lauren's classification are independent factors, which affected the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Median survival was $41.0{\pm}11.5$ months in the study group and $93.0{\pm}30.3$ months in the control group (P=0.049). In the survival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that TNM stage and the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of the frozen section diagnosis were the critical variables. Conclusions: When the tumor is located at the middle or the upper third, or the Lauren's indeterminate type, they are highly likely to show the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on the frozen section diagnosis, and it can, therefore,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prognosis. It is considered as good to perform more extensive resection as possible, during the initial resection.

송이 감염묘로부터 송이균의 생장과 균환 형성 (Mycelial Growth and Fairy-Ring Form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from Matsutake-Infected Pine Trees)

  • 가강현;허태철;박현;김희수;박원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20
    • /
    • 2010
  • 송이 감염묘법은 송이 인공재배 방법으로써 높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감염묘를 이식하였으며, 2006년에 확인된 생존율은 20%였다. 송이균이 생존한 이들 감염묘를 대상으로 2009년까지 송이균의 생장 특성과 균환 발달을 조사하였다. 송이균의 생장 크기는 $4\;cm{\times}\;cm$부터 $52\;cm\;{\times}\;35\;cm$ 까지 송이 감염묘 개체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균환 크기의 다양성은 송이 감염묘의 생산 지역과 식재 지역 간의 환경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생장은 이식 초기에 곤봉 모양 또는 좁은 'V'자 형태(예각)로 자라던 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좀 더 넓은 'V'자 형태(둔각)로 발전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몇 개의 송이 감염묘의 균환으로부터 2010년 가을에는 송이 자실체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Transbronchial Lung Cryobiopsy for Diagnosing Interstitial Lung Disease: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Experience

  • Park, Jin Han;Jang, Ji Hoon;Kim, Hyun Kuk;Jang, Hang-Jea;Lee, Sunggun;Kim, SeongHo;Kim, Ji Yeon;Choi, Hee Eun;Han, Ji-yeon;Kim, Da Som;Kang, Min Kyun;Kang, Eunsu;Kim, Il Hwan;Lee, Jae Ha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5권4호
    • /
    • pp.341-348
    • /
    • 2022
  • Background: An accurate diagnosis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s (ILDs) by multidisciplinary discussion (MDD) based on histopathologic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optimal treatment. Transbronchial lung cryobiopsy (TBLC) has increasingly been used as a diagnostic alternative to surgical lung biops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 methods of TBLC in patients with ILD in Korea. Methods: A total of 27 patients who underwent TBLC were included. TBLC procedure details and clinical MDD diagnosis using TBLC histopathologic information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 the fluoroscopic guidance in the operation room using flexible bronchoscopy and endobronchial balloon blocker. The median procedure duration was less than 30 minutes, and the median number of biopsies per participant was 2. Most of the bleeding after TBLC was not severe, and the rate of pneumothorax was 25.9%. The most common histopathologic pattern was alternative (48.2%), followed by indeterminate (33.3%) and usual interstitial pneumonia (UIP)/probable UIP (18.5%). In the MDD after TBLC, the most common diagnosis was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33.3%), followed by smoking-related ILD (25.9%), nonspecific interstitial pneumonia (18.6%), unclassifiable-ILD (14.8%), and others (7.4%). Conclusion: This first single-center experience showed that TBLC using a flexible bronchoscopy and endobronchial balloon blocker with the fluoroscopic guidance under general anesthesia may be a safe and adequate diagnostic method for ILD patients in Korea. The diagnostic yield of MDD was 85.2%.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yield and confidence of TBLC.

애매한 초음파 결과를 보인 소아 환자에서 충수돌기염을 감별하는데 유용한 초음파 소견: 구조화 판독문에 기초한 분석 (Useful Ultrasound Findings of Pediatric Patients with Equivocal Results of Appendicitis: Analysis Based on a Structured Report Form)

  • 최지영;김혁중;장석기;김현진;연재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182-193
    • /
    • 2021
  • 목적 애매한 초음파 결과를 보인 소아 환자들에서 충수돌기염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초음파 소견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1월부터 2017년 10월 사이에 충수돌기염이 의심되어 초음파를 시행한 소아 환자 중 애매한 결과를 보인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검사는 정해진 구조화 판독문을 사용했으며 충수돌기염의 가능성은 5가지로 분류되었다. 그중 3등급과 4등급을 애매한 결과로 간주하였다. 결과 53명의 환자 중 각각 25명(47.2%)과 28명(52.8%)이 3등급과 4등급으로 분류되었다. 각 초음파 소견 중 충수돌기 벽의 혈류 증가와 충수돌기 주변의 지방 침윤이 충수돌기염을 진단하는 데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의미 있는 소견이었고(p = 0.005, p = 0.045), 진단적 정확도도 높았다(69.8%, 62.3%). 결론 충수돌기 벽의 혈류 증가와 충수돌기 주변의 지방 침윤은 애매한 초음파 결과를 보인 소아 환자들에서 의미 있는 충수돌기염의 예견 인자이다.

Comparison Between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and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for Resectability Assessment in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 Jeongin Yoo;Jeong Min Lee;Hyo-Jin Kang;Jae Seok Bae;Sun Kyung Jeon;Jeong Hee Y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983-995
    • /
    • 2023
  • Objective: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interobserver agreement between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CECT) and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E-MRI) with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for evaluating the resectability in patients with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eCCA).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treatment-naïv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eCCA, who underwent both CECT and CE-MRI with MRCP using extracellular contrast media between January 2015 and December 2020. Among the 214 patients (146 male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68 ± 9 years) included, 121 (56.5%) had perihilar cholangiocarcinoma. R0 resection was achieved in 108 of the 153 (70.6%)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intent surgery. Four fellowship-trained radiologists independently reviewed the findings of both CECT and CE-MRI with MRCP to assess the local tumor extent and distant metastasis for determining resectability. The poole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ECT and CE-MRI with MRCP were compared using clinical, surg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as reference standards. The interobserver agreement of resectability was evaluated using Fleiss kappa (κ).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ECT and CE-MRI with MRCP in the pooled AUC (0.753 vs. 0.767), sensitivity (84.7% [366/432] vs. 90.3% [390/432]), and specificity (52.6% [223/424] vs. 51.4% [218/424]) (P > 0.05 for all). The AUC for determining resectability was higher when CECT and CE-MRI with MRCP were reviewed together than when CECT was reviewed alone in patients with discrepancies between the imaging modalities or with indeterminate resectability (0.798 [0.754-0.841] vs. 0.753 [0.697-0.808], P = 0.014). The interobserver agreement for overall resectability was fair for both CECT (κ = 0.323) and CE-MRI with MRCP (κ = 0.320),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884). Conclusion: CECT and CE-MRI with MRC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interobserver agreement in determining the resectability in patients with eC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