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cultured petiol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딸기 재배품종의 잎절편 배양으로부터 고빈도 식물체 재생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Explant Cultures of Domestic Cultivated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 조미애;최규명;고석민;민성란;정화지;유장렬;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175-179
    • /
    • 2005
  • 딸기 기내배양으로부터 고빈도 식물체재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여봉딸기의 잎과 엽병절편을 0.5 mg/L IBA와 3.2 mg/L kinetin, BAP, zeatin을 각각 조합 첨가한 MS배지에서, 그리고 1주, 2주, 4주동안 암 전처리한 잎 절편을 0.5 mg/L IBA와 3.2 mg/L zeatin이 첨가된 배지에서 6주동안 16시간 광주기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신초 발생은 잎을 adaxial상태로 치상하였을때 절단부위로부터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한 녹색 캘러스로부터 유도되었고 (57.0%), 엽병의 경우 절단부위로부터 직접 발생되었다(6.3%). 캘러스와 신초발생율은 잎 절편 크기가 클수록 ($1.0{\sim}1.5\;cm^2$) 높았으며, 암 전처리는 그 발생율을 점차 증가시켜 4주동안 암 전처리한 후 16시간 광조건으로 옮겼을 때 가장 높은 발생율 (87.0%)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shoot발생율 (87%)은 암 전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 (27%) 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것이다. 신초를 분리하여 1/2 MS기본배지에 옮겨20동안 배양하였을 때 뿌리가 발생되었으며, 이때 소식물체를 토양에 옮겨 순화시켰다.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Petiole and Internode Explants of Codonopsis lanceolata Benth.

  • Ghimire, Bimal Kumar;Shin, Chul-Min;Li, Cheng Hao;Kim, Na-Young;Chung, III-Min;Lim, Jung-Dae;Kim, Jae-Kwang;Kim, Myong-Jo;Cho, Dong-Ha;Yu, Chang-Yeo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3-81
    • /
    • 2007
  • An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leaf, petiole, and internode explants. Highly embryogenic callus was obtained following cultivation on MS basal nutrient supplemented with 2 $mg/{\ell}$ 2,4-D. Globular, heart, torpedo and cotyledon shaped somatic embryo were produced from the surface of embryogenic callus. Direct shoot regeneration without intermediate callus formation has been achieved on MS medium supplemented NAA and BAP. The percentage of response vari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auxin and cytokinin treat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The best shoot regeneration response (54.28%) and number of shoot per explant (12.67) were achieved o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ell}$ NAA and 1 $mg/{\ell}$ BAP. The regenerated shoot transformed into young plant when cultured into elongation and root induction medium. More than 90% of in vitro propagated plants could survive when transferred to the greenhouse for acclimation. This optimized regeneration system can be used for rapid shoot proliferation and genetic transformation.

갯방풍의 기내부정아 형성에 미치는 식물생정조절물질의 영향 (Influence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

  • 추병길;지윤의;문병철;최고야;이혜원;이아영;김호경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13-116
    • /
    • 2008
  • Petiole explant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was in vitro cultured MS plant medium(DUCHEFA co.)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and examined to find out their optimum combination and concentration for plantlet regeneration. We investigated optimal condition for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through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on MS plant medium with various kinds of plant growth regulators. Embryogenic calli and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were greatly influenced by plant growth regulators. Embryogenic calli induction showed a good response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NAA and BA than others. Especially, combination of 1.0 mg/L NAA and 0.5 mg/L BA on MS medium led to the greatest frequency in adventitious shoot. The results suggest that plant regulator selection be important factor to achieve an efficient regeneration.

  • PDF

Callus induction and high-efficiency plant regeneration via somatic embryogenesis in Papaver nudicaule L., an ornamental medicinal plant

  • Yang, Jing Li;Zhao, Bo;Seong, Eun-Soo;Kim, Myong-Jo;Kang, Won-Hee;Kim, Na-Young;Yu, Chang-Yeon;Li, Cheng Hao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4호
    • /
    • pp.261-267
    • /
    • 2010
  • We describe culture conditions for a high-efficiency in vitro regeneration system of Papaver nudicaule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and secondary somatic embryogenesis. The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rate was highest when petiole explants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containing 1.0 mg $1^{-1}$ ${\alpha}$-naphthaleneacetic acid (NAA) and 0.1 mg $1^{-1}$ 6-benzyladenine (BA) (36.7%). When transferred to plant growth regulator (PGR)-free medium, 430 somatic embryos formed asynchronously from 90 mg of embryogenic callus in each 100-ml flask. Early-stage somatic embryos were transferred to MS medium containing 1.0 mg $1^{-1}$ BA and 1.0 mg $1^{-1}$ NAA to germinate at high frequency (97.6%). One-third-strength MS medium with 1.0% sucrose and 1.0 mg $1^{-1}$ $GA_3$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plantlet conversion from somatic embryos (91.2%). Over 90% of regenerated plantlets were successfully acclimated in the greenhouse. Secondary somatic embryos were frequently induced directly when the excised hypocotyls of the primary somatic embryos were cultured on MS medium without PGRs. Sucrose concent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duction of secondary embryos. The highest induction rate (89.5) and number of secondary somatic embryos per explant (9.3) were obtained by 1% sucrose. Most secondary embryos (87.2-94.3%) developed into the cotyledonary stage on induction medium. All cotyledonary secondary embryos were converted into plantlets both in liquid and on semisolid 1/3-strength MS medium with 1.0% sucrose.

조직배양에 의한 반하〔Pinellia ternata(Thunb.) Briet〕의 대량번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ss Propagation of Pinellia ternata (Thunb.) Breit in Vitro)

  • 최정식;나의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0-42
    • /
    • 1986
  • 반하〔Pinellia ternata(Thunb.) Briet〕의 조직을 기내배양하여 callus 유기, 기관분화 및 자구를 증식시키는데 적합한 배지와 배양부위를 선정코저 Mur-ushige & Skoog 배지에 2,4-D와 kinetin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검토하였고 또한 배양온도 및 배지의 pH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allus 유기는 배양 5~7일 후에 엽조직 및생장점조직의 절단면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2,4-D 2.0mg/$\ell$+kinetin 0.2mg/$\ell$을 첨가한 구에서 callus의 형성 및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2. 자구의 형성은 엽조직 및 생장점조직을 2,4 -D 2.0mg/$\ell$+kinetin 0.2mg/$\ell$ 또는 2.4-D 2.0g/$\ell$+kinetin 2.0mg/$\ell$을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하였고 근 및 괴경조직에서는 자구가 전혀 ?성되지 않았다. 3. 엽의 부위별 자구형성능력은 Petiole이 자구형성수, 크기, 엽면적 및 생체중에 있어서 marginal meristem, minor vein area 및 intercostal area 보다 양호하였다. 4. 경의 부위별 자구형성능력은 상부위 조직일수록 자구의 형성수 크기, 엽면적 및 생체중이 양호하였으나 하부위일수록 불량하였다. 5. 배양온도는 $25^{\circ}C$에서 callus 유기, 크기 및 생체중이 가장 양호하였다. 6. 배지의 pH는 4.5~7.5에서 모두 callus가 유기되었으나 그중 pH 6.0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7. 재생되는 식물체 일부가 광엽화되는 경향이었으며 소수의 albino 식물체와 변이체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야콘 (Polymnia sonchifolia Poeppig & Endlicher) 잎의 절편체로부터 캘러스 및 기내 소관아 형성 (Callus and Micro-Crown Bud Formation in Vitro from Leaf Explant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ig & Endlicher))

  • 두홍수;권태호;박철형;류점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1-107
    • /
    • 2000
  • 야콘의 절편체로부터 탈분화 조건을 규명하고, 잎의 절편체로부터 재분화 및 기내관아 형성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절편체를 배양하였다. 야콘의 잎으로부터 캘러스 형성에 MS배지가 $\frac{1}{2}$MS 및 B$_{5}$ 배지보다 효과적이었다. 잎, 엽병 및 측아 절편체로부터의 캘러스 형성률은 2,4-D 1.0, 2.0 mg/L에 kinetin 또는 BA를 0.2, 0.4 mg/L 혼용처리구가 NAA 1.0, 2.0 mg/L에 kinetin 또는 BA를 각각 0.2, 0.4 mg/L 혼용처리구보다 캘러스 형성률이 높았다. 잎으로부터 형성된 캘러스는 BA 1.0 mg/L처리에서 70%의 캘러스 증식율을 보였다. BA 1.0, 2.0 mg/L 처리 시 계대배양이 약 3~4개월 이상 지속되면서 캘러스 증식과 함께 재분율이 63% 이상 되었으나 kinetin 처리구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BA의 첨가에 의해 치상 후 약 3~4개월이 경과하면서 기내 소관아를 형성하기 시작하여 약 5~6개월 후에는 많은 양의 기내관아를 얻을 수 있었는데, BA를 5 mg/L 첨가한 배지에서 82.8%로써 기내소관아 형성률이 가장 높았으며, BA의 함량 증가에 따라 기내소관아 형성률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BA의 함량이 5 mg/L이상 증가함에 따라 잎이 두꺼웠으며 줄기는 절간장이 짧고 분화 후에 생육을 지속하지 못하고 고사하였다. 한편, BA를 2 mg/L첨가하고 sucrose 첨가량을 다르게 하였을 경우, 5% sucrose를 첨가한 배지에서 소관아 형성률이 88.0% 로써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3% 처리의 60.0%에 비하여 약28%증가하였다. 포장에서 수확한 관아의 액아와 기내관아의 액아의 조직학적 관찰 결과 크기에 차이가 있을 뿐 형태는 같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기내 배양환경이 거베라 유묘의 기외이식 후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Culture Conditions on in vivo Growth and Development in Gerbera hybrida)

  • 이현숙;임기병;정재동;김창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1-95
    • /
    • 2001
  • 배양환경을 달리하여 생산한 배양묘 (타가영양묘, 혼합영양묘, 자가영양묘)를 기외 이식한 후에 생존율은 타가영양묘에 비해 혼합영양묘와 자가영양묘가 높았고 특히 자가영양묘는 97.6%로 가장 높았으며 정식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엽병장, 엽수, 엽면적은 자가영양묘가 타가영양묘와 혼합영양묘에 비하여 다소 좋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정식 30일 후 유묘의 총광합성량은 자가영양묘가 154 mg$CO_2$.mgDW$^{-1}$h$^{-1}$로서 혼합영양묘 (148 mg$CO_2$.mgDW$^{-1}$h$^{-1}$)와 타가영양묘 (102 mg$CO_2$.mgDW$^{-1}$h$^{-1}$)보다 높았다. 그리고 개화시기는 자가 영양묘가 타가영양묘와 혼합영양묘에 비해 7~10일 정도가 빨랐고 엽병장, 엽수, 엽면적, 엽록소 함량 등도 양호하였다.

  • PDF

Establishment of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system from leaf explants of Pinellia koreana via bulblets formation

  • Oh, Myung-Jin;Park, Jong-Mi;Lee, Bu-Youn;Choi, Pil-Son;Tae, Kyoung-Hwan;Kim, Suk-Weo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193-196
    • /
    • 2009
  • Pinellia koreana K-H Tae & J-H Kim is a recently discovered Korea endemic medicinal plant species whose natural habitat is rapidly destroyed by industrial development. Described in this paper are culture conditions for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via bulblet formation from leaf explant cultures of P. koreana. Leaf explants formed white nodular structures and off-white calluses at a frequency of 91.2% when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 mg/L BA and 0.5 mg/L NAA. However, the frequency of white nodular structures and off-white calluses formation was slightly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concentration of NAA up to 4 mg/L, where the frequency reached 31.7%. Most petiole explants did not form white nodular structures and off-white calluses except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2 mg/L BA and 2 mg/L NAA. Upon transfer onto MS basal medium, over 90% of nodular structures gave rise to numerous bulblets and developed into plantlets. Plantlets regenerated from bulblets were transplanted to potting soil and grown to maturity at a survival rate of over 95% in a growth chamber. Therefore, the in vitro plant regeneration system of P. koreana obtain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mass propagation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of P. koreana.

서양고추냉이의 기내 전형성능에 관한 특성 (Characterization of In Vitro Totipotency by Armoracia rusticana)

  • BAE, Chang-Hyu;MIN, Kyung-Soo;AHN, Chang-Soon;LIM, Yong Pyo;KAMEYA, Tosiaki;Lee, Hyo-Yeon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9-124
    • /
    • 1997
  • 십자화과 향신료 작물인 서양고추냉이 (Armoracia rusticana (Lam.) Gaerth., May. et Scherbs)의 재분화에 미치는 제 요인을 조사하였다. 서양고추냉이의 callus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IAA 0.5 mg/L, BA 5.0 mg/L, spermine 10 mg/L이 첨가된 MS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BA 2.0 mg/L과 NAA 2.0 mg/L가 첨가된 MS배지에 엽, 엽병, 뿌리의 조직을 치상한 결과 각각의 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가 발생하였으며, 기관발생 경로를 거쳐서 식물체가 재분화 되었으며, 빈도는 낮았지만 생장조절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MS배지에서도 각 조직으로부터 식물체가 분화되었다. 수소이온 농도는 pH 4.0부터 8.0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multiple shoot가 형성되었으며, polyamine류의 첨가는 shoot와 뿌리의 형성을 촉진시켰다. Callus로부터 뿌리 또는 잎이 분화 중인 조직에서 특이적인 단백질이 생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서양고추냉이는 생장점 배양, 체세포배발생, 기관발생과정을 각기 거쳐 식물체가 재생될 수 있는 식물체로 확인되었다. 서양고추냉이의 이러한 특성은 세포, 조직, 기관의 형태형성 연구 및 형질전환 연구에도 좋은 재료로 이용되리라 생각된다.

  • PDF

청나래고사리의 기내 포자체 재생에 미치는 배지 구성물질의 영향 (Medium Composition Affecting In Vitro Regeneration of Matteuccia struthiopteris)

  • 신소림;이철희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93-100
    • /
    • 2009
  • 본 연구는 청나래고사리의 기내 포자체 유묘를 이용한 효율적인 대량생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유묘의 엽신, 엽병, 근경을 곱게 다져 활성탄 0.1%를 첨가한 1/2MS배지에 배양한 결과, 근경의 절편에서만 포자체 유묘가 생산되었다. 곱게 다진 근경 절편은 1/2MS 배지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sucrose 농도를 2%로 조절하고 $NaH_2PO_4$ $50mgL^{-1}$을 첨가할 경우 포자체 재생이 더욱 촉진되었다. Kinetin과 BA를 단용 또는 NAA, IBA와 각각 혼용하여 배양한 결과, kinetin $1{\mu}M$ 단용 처리구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다. BA 첨가구에서는 분열조직의 증식이 왕성하였으나. 분열조직이 포자체로 분화되지 못하는 특징을 보였다. 변형 1/2MS 배지(sucrose 2%, $NaH_2PO_4$ $50mgL^{-1}$, kinetin $1{\mu}M$, pH 5.8, agar 0.8%)에 활성탄 0 또는 0.1%를 첨가하여 고체, 액체 정체, 액체 진탕배양한 결과, 포자체 재생은 액체 진탕배양시 가장 왕성하였으며, 활성탄의 첨가는 포자체 재생을 촉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