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2초

연맥-헤어리베치 혼파에 의한 사료가치 및 생산성 향상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by Mixed Sowing of Oat-Hairy Vetch)

  • 김종근;정의수;윤세형;서성;서종호;박근제;김충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36
    • /
    • 2002
  • 본 연구는 동계 사료작물의 사료가치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겨울철에 일년생 두과작물 헤어리베치와 연맥을 3년간('99∼'01) 혼파 재배하였는데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맥과 헤어리베치의 혼파재배시 연맥과 헤어리베치의 출수기 및 개화기 등 생육은 큰 차이가 없었다. 사료가치를 보면 건물함량이 가을수확에서 15∼16%, 봄 수확에서 19∼20% 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헤어리베치 단파시 30.1%로 가장 높았는데 연맥과 헤어리베치를 혼파했을 때는 연맥 단파보다 조단백질 함량이 높아졌다. ADF, NDF, 건물소화율 및 TDN 함량 등도 연맥단파보다 연맥+헤어리베치 혼파시 더욱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 수량은 연맥 단파구에서 3.7∼4.4톤/ha를 얻을 수 있으나 가을에 연맥과 헤어리베치를 혼파할 경우는 가을에 일차적으로 수확하여 사초로 이용하고 이듬해 봄에 재생한 헤어리베치를 또한 사료로 이용할 수가 있어 전체 약 9.5톤/ha 이상의 사초 건물수량을 얻을 수 있었고 이 때 조단백질 수량 및 TDN 수량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가을에 연맥을 단파하는 것보다 연맥의 파종시 헤어리베치를 혼파하여 파종하는 것이 사초수량 뿐만 아니라 사료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였다.

Use of N-alkanes to Estimate Intake and Digestibility by Beef Steers

  • Premaratne, S.;Fontenot, J.P.;Shanklin, R.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564-1568
    • /
    • 2005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 of n-alkanes to estimate DM intake and digestibility by beef cattle. Six steers were blocked (3 blocks, 2 animals/block) according to the body weight (279${\pm}$19 kg) and randomly allotted within blocks to two diets (3 steers/diet). A second trial was conducted with the same animals (321${\pm}$18 kg) after 36 days (d), using a switch back design. The diets consisted of two types of chopped sun-cured hay, alfalfa (Medicago sativa L) hay, or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and alfalfa mixture, which were fed in equal amounts to steers. Animals were dosed with $C_{32}$ and $C_{36}$ alkanes, employing an intra-ruminal controlled-release device at the beginning of each trial. Hay intake per animal was measured from d 6 to 12 and sub samples were taken for chemical analysis. Rectal samples of feces were taken from each animal once/daily from d 8 to 14, freeze dried, and ground prior to alkane analysis. Alkanes were extracted from ground hay and feces. Feed intake was calculated from the dose rate of $C_{32}$ alkane and, the herbage and fecal concentrations of adjacent odd ($C_{33}$ or $C_{31}$) and even ($C_{32}$) chain length alkanes. Crude Protein, NDF, ADF, ash concentrations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ere 17.7, 42.2, 28.4, 7.9 and 71.7 for alfalfa, and 12.4, 56.5, 30.4, 6.9 and 69.1% for fescue/alfalfa mixture, respectively. For both diets, intake estimated from $C_{33}$:$C_{32}$ ratio was not different from the measured intake, but intake estimated from $C_{31}$:$C_{32}$ ratio was lower (p<0.05), than the measured intake for both diets. The average estimated forage intake from $C_{33}$:$C_{32}$ ratio was 4.86 and 0.69% below than the measured intake for alfalfa and, fescue/alfalfa mixed diets, respectively. The respective estimates with $C_{31}$:$C_{32}$ ratio were 9.59 and 11.33% below than the measured intake. According to these results, alkane $C_{33}$:$C_{32}$ ratio is better than alkane $C_{31}$:$C_{32}$ ratio for the estimation of intake by beef steers.

주요 조사료원과 쑥, 녹차의 반추위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Ruminal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on Major Roughage, Wormwood and Green Tea)

  • 이신자;이수경;노진구;김도형;임정화;문여황;이성실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139-152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조사료(rice straw, timothy and alfalfa) 및 쑥과 녹차의 반추위 소화율과 물리적 구조를 비교하기 위해 in vitro 와 in situ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사료별 3, 6, 9, 12, 18, 24, 36, 48 및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in vitro 실험에서는 가스 발생량, 미생물 성장량, pH를 측정하였다. 가스발생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할 수록 모든 시간대에서 증가하였고(p<0.05), 녹차에서의 가스발생량이 가장 낮았다. 미생물 성장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고(p<0.05), 쑥과 녹차의 미생물 성장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반추위내 pH는 배양시간 경과할 수록 감소하였고, 티모시의 pH가 다른 사료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볏짚의 pH가 다른 사료에 비해 높았다(p<0.05). In situ 실험에서 모든 시간대 녹차의 건물소화율(DM; Dry Matter) 및 조단백 소화율(CP; Crude Protein)은 가장 높았다(p<0.05). 또한 반추위내 통과 속도 4% 쑥에서 건물소화율이 가장 높았고, 알팔파는 조단백 소화율이 가장 높았다(p<0.05). 녹차와 쑥의 표면과 기공을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한 결과, 쑥 표면에는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아 반추위 내 영양소 소화율이 낮은 것으로 사료되고, 녹차는 기공에 미생물이 관찰 되었다. In vitro 및 in situ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반추동물의 사료원료로 잠재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을철에 숙기가 다른 연맥과 유채 품종의 혼파가 사초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ture of Different Maturity Groups on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Oat and Rape in the Fall)

  • 이성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5-360
    • /
    • 1998
  • 본 연구는 가을철에 숙기가 다른 연맥과 유채품종의 혼파가 사초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1998년 우석대학교 초지시험포에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맥은 Foothill 조합군이 Swan 군보다 초장이 약간 길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유채의 초장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Foothill 조합은 Ember나 Akela가, Swan 조합은 Ramon이 길었다. 2. 연맥에서 Swan의 건물수량이 Foothill 보다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채는 Foothill과 Swan과 조합한 처리구에서 모두 Akela의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 조단백질 함량과 조단백질 생산량은 연맥 Foothill 조합이 Swan 조합보다 높았으며, 연맥 Foothill과 Swan 조합과는 모두 유채 Akela 조합이 Ramon이나 Ember 조합보다 높았다. 4 연맥 Swan의 ADF와 NDF 함량은 Foothill 보다 약간 높았으며, 유채는 Foothill에서는 ADF는 Ramon과 NDF는 Akela와 조합이, Swan은 Ember와의 조합이 높아 사료가치는 감소하였다. 5. IVDMD 함량은 연맥 Foothill 조합이 84.5%로 Swan 조합보다 약간 높았으며, 연맥 Foothill과는 유채 Ember가, 연맥 Swan과는 유채 Akela 조합이 높았다. 또한 가소화 건물생산량은 연맥 Foothill 조합이 ha당 3,578kg로 Swan 조합보다 약간 높았으며, 또한 Foothill과 Swan 조합에 서 각각 유채 Akela 조합이 약간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가을철 단경기에 연맥은 Foothill과 유채는 Akela를 같이 혼파하여 재배 이용하면 다른 품종에 비하여 사료가치도 약간 높으며 건물수량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연맥의 사초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파종량 및 파종기의 영향 (Seeding Rate and Planting Date Effects on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Spring Oats)

  • 김수곤;김종덕;박형수;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3-240
    • /
    • 1999
  • 가을철 봄 연맥의 생산을 위해 파종량과 파종기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시험은 파종량 및 파종시기가 사초용 연맥 (Avena sativa L.)의 사초특성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7년 8월 15일부터 10월 24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 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파종량은 ha당 150, 200 및 250kg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월/일) 인 8/15, 8/22, 8/29, 9/5를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 함량(DM%)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9월 5일 파종기(24.8%)를 제외한 다른 파종기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8월15일 파종시는 23.0%, 22일은 21.5%, 29일은 20.5%가 됐다. 연맥의 건물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조단백질(CP) 함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15.6%에서 27.9%로 유의적으로(P<0.01) 증가됐다. 연맥의 조단백질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ADF 및 NDF 함량은 파종시기가 빠른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P<0.01), 파종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파종량이 많고 파종시기가 늦은 것이 높게 나타났다(P<0.01). Ha당 평균건물 수량은 2,647kg에서 615kg으로 나타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계속 감소하였으며(P<0.01), 파종량간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연맥의 평균 건물수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 평균 조단백질 수량은 ha당 171kg에서 410kg으로 나타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파종량에 있어서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따라서 연맥의 평균 조단백질 수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In vitro 가소화 건물(IVDDM)수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감소하였으며(P<0.01), 파종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 사초용 연맥의 수량 증수 및 사료가치의 향상을 위해 파종량은 ha당 200kg, 파종시기는 8월29일 이전이라고 생각된다.

  • PDF

사초용유채 (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VII. 사초용 유채품종 Velox의 생산성 및 생육기간중의 영양가치의 변화 (Studies on Productivity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ape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VII. Productivity of forage rape cv. Velox and its variation of nutrient quality during the growth period)

  • 안계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9-186
    • /
    • 1989
  • 사초용유채의 품종선별선급실험과 유채용유채와 사초용유채품종들 간에 있어서 생산성과 영양가치를 비교한 실험에서 사초용유채 도인품종중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품종으로 Velox가 사초생산성 및 영양가치면에서 가장 유망하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Velox를 공시하여 고립적배와 실행群落培 사이에 생산성과 영양가치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생육과정중의 영양가치의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당 생산성에 있어서 생체중과 건물중의 개체간 변이가 매우 컸으나 고립적배가 군락적배보다 1%수준의 유의차로 우수하였다. 孤립적배에 있어서 생체중과 건물중의 구성은 분지에 크게 의존되었으며 군락적배에 있어서는 분치와 주경이 비슷한 영향을 주었다. 건물율은 고리적배와 군락적배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부위별로는 주경이 가장 높았다. 2. 粗蛋白質含量은 生育期間이 經過됨에 따라 점차 저하되었으며, 播種後 90일부터 120일까지에는 孤立적배가 群落적배보다 높은 반면 180일以後 개화기까지는 군락적배가 고립적배보다 높았다. NDF, ADF, cellulose 및 lignin등의 鐵維含量은 生育초기에는 낮은 水준이었으며 생育期間이 經過됨에 따라 점차 높아지면서 생育後期에는 孤立적배가 군락적배보다 높게 變化되었다. 3. In vitro 乾物소화率은 줄기나 잎 모두 生育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 저하되었으며, 줄기는 군락적배가 고립적배보다 높았으나 잎은 고립적배와 군락적배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밤 가공 부산물의 반추가축용 사료 가치 평가: in vitro 반추위 배양 (Evaluation of nutritive value of chestnut hull for ruminant animals us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 정신용;조현선;박기수;강길남;조남철;서성원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3호
    • /
    • pp.335-340
    • /
    • 2012
  • 밤의 가공과정에서 임업 부산물로 생산되는 율피(밤껍질)는 밤 생산량의 50%를 차지하며, 사료비 저감을 위한 반추동물의 사료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밤의 가공 부산물인 1, 2차 율피의 반추동물용 사료로서의 영양적 가치와 반추위 발효 특성을 분석하기 하기 위해 1, 2차 율피의 영양소를 분석하고, 48시간 동안 in vitro 반추위 발효 실험을 실시하여 율피의 첨가 수준에 따른 in vitro 반추위 건물 소화율 및 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In vitro 실험의 기본 사료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유산양 TMR을 이용했으며, 기본 사료와 1차 율피 및 2차 율피의 비율을 달리하여 13개의 처리구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2차 율피 100%, 1차 율피 100%, 2차 율피와 1차 율피의 1:1 혼합구, TMR 100% 및 TMR을 2차 율피, 1차 율피 또는 1, 2차 율피 혼합으로 각각 5%, 10%, 15% 대체한 처리구이다. 율피의 일반 성분분석에서 1차 율피는 2차 율피에 비해 섬유소(NDF, ADF, 리그닌)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고 이에 따라 비섬유소탄수 화물의 함량은 낮으나, 그 외의 영양소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n vitro 반추위 건물 소화율은 유의적으로(p<0.05) 2차 율피(71.97%)가 가장 높았고, 1차 율피(42.80%)가 가장 낮았다. 2차 율피의 첨가 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건물소화율은 변화가 없었으며, 1차 율피의 첨가에 따라서는 소화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스 발생량은 2차 율피 처리구에서 48시간 가스 발생량 및 발생 속도가 가장 높았고, 1차 율피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TMR을 율피로 15%까지 대체하였을 때 가스 발생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pH 또한 유의적으로(p<0.05) 2차 율피(6.33)에서 가장 낮았고, 1차 율피(6.50)에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2차 율피는 반추동물의 사료 자원으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으며, 1차 율피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료가치가 떨어지나 조사료를 일부 대체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율피의 사료 가치를 보다 올바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물을 이용한 in vivo 대사, 소화, 성장 및 기호성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Variety and phosphate fertilizer dose effect on nutrient composition, in vitro digestibility and feeding value of cowpea haulm

  • Ansah, Terry;Algma, Henry Ayindoh;Dei, Herbert Kwabla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6호
    • /
    • pp.19.1-19.7
    • /
    • 2016
  • Background: Cowpea (Vigna unguiculata [L.]) is a legume cultivated throughout most tropical countries and is valued as food and feed for human and livestock respectively. The search for an improved cowpea variety has been on-going with the aim of improving traits such as grain yield, drought and pest resistance. But no information exist on the feeding value of these improved varieties. Phosphate (P) fertilizer application is recommended to augment grain yield in grain legumes but data on the effect of P fertilizer on haulm quality is limited. Results: Two separat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 fertilizer dose on the nutritive value of haulms from different cowpea varieties (V). In experiment 1, effect of three P doses (30, 60 and 90 kg $P_2O_5/ha$) on in vitro gas production (IVGP) characteristics, concentrations of digestible organic matter (DOM), crude protein (CP),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of haulms from five cowpea varieties (Zaayura-SARC 4-75, Songotra-IT97K-499-35, Hewale-IT93K-192-4, IT99K 573-1-1 and Asomdwe-IT94K-410-2) were investigated using the $3(P){\times}5(V)$ factorial treatment arrange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two P doses (30 and 90 kg $P_2O_5/ha$) and two varieties (Zaayura-SARC 4-75 and Hewale-IT93K-192-4) on the voluntary feed intake, live weight, haematolog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Djallonke lambs were also assessed using a $2(P){\times}2(V)$ factorial treatment arrangement. The $V{\times}P$ inter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CP, NDF and ADF with CP concentration increasing with increase in P doses in Zaayura-SARC 4-75 and Asomdwe-IT94K-410-2. Whilst an increase (P < 0.05) in NDF was observed in Songotra-IT97K-499-35and Asomdwe-IT94K-410-2 as P doses increased, the other V only increased from P dose 30 to 60 kg/ha and declined at P dose 90 kg/ha. The ADF decreased (P < 0.05) with increase in P dose for all V with the exception of Songotra-IT97K-499-35. There was a significant V effect on DOM with the highest reported in Zaayura-SARC 4-75 (43.44 %). Daily DM intake, carcass length and blood urea nitrogen of the lamb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V x P inter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V effect on globulin and P effect on live weight at slaughter, dressed weight, chuck, leg, loin, rib and flank and liver and lungs.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nutrient concentrations of cowpea haulms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different P dose and varieties with favorable effects on growth, haematology and carcass composition of lambs. Varieties Zaayura-SARC 4-75 and Hewale-IT93K-192-4 at P dose at 90 kg/ha are recommended to enhanc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of Djallonke lambs.

수수-수수 교잡종 원형곤포 및 트렌치 사일리지 부위별 사료가치 및 품질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Sorghum-Sorghum Hybrid Bale and Trench Silage According to Those Parts)

  • 최기춘;류재혁;정민웅;박형수;김다혜;김천만;김맹중;김종근;김원호;임영철;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1-228
    • /
    • 2012
  • 본 연구는 수수 ${\times}$ 수수 교잡종의 원형 곤포 및 트렌치 사일리지의 부위에 따른 사료가치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천안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자원개발부에서 수행되었다. 수수${\times}$ 수수 교잡종 SS405는 5월 초순에 파종한 다음 출수기에 수확하여 사일리지로 조제하였다.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조단백질, NDF 함량 및 in vitro 건물소화율은 트랜치 사일리지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NDF 및 TDN 함량에서는 원형 곤포사일리지 보다 트랜치 사일리지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사일리지 부위별 조단백질 함량은 외부나 중간부위 보다 내부에서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p<0.05), NDF, ADF 및 TDN 함량 및 in vitro 건물소화율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젖산 함량은 트랜치 사일리지 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초산 함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을 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사일리지 부위별 젖산, 초산 및 낙산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etermination of Nutritive Value of Wild Mustard, Sinapsis arvensis Harvested at Different Maturity Stages Using In situ and In vitro Measurements

  • Kamalak, Adem;Canbolat, Onder;Gurbuz, Yavuz;Ozkan, Cagri Ozgur;Kizilsimsek, Mustaf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9호
    • /
    • pp.1249-1254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turity stage on the nutritive value of wild mustard straw in terms of chemical composition, in situ, in vitro dry matter degradability and calculated ME. The nutritive values of wild mustard, Sinapsis arvensis hays harvested at three stages were evaluated by chemical composition, in vitro gas production and in situ dry matter degradation methods. Gas production or dry matter (DM) degradation were determined at 0, 3, 6, 12, 24, 48, 72 and 96 h and their kinetics were described using the equation p = a+b(1-e$^{-ct}$). Matu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egradability of wild mustard. Neutral detergent fibre (NDF) and acid detergent fibre (ADF) (p<0.001) increased with increasing maturity whereas the crude protein (CP) (p<0.001) decreased. The gas produced after 96 h incubation ranged between 64.7 and 81.5 ml per 0.200 g of dry matter. The gas production (ml) at all incubation times and estimated parameters decreased with increasing maturity of wild mustard. The gas production at all incubation times and estimated parameters (a, b (a+b), metabolizable energy (ME)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OM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NDF and ADF. The DM disappearance after 96 h incubation ranged between 50.8 and 76.1%. The in situ DM disappearance at all incubation times and estimated parameters decreased with increasing maturity of wild mustard. The in situ dry matter disappearance at all incubation times and some estimated parameters (c, a, b and effective dry matter degradability (EDM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NDF and ADF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CP. The nutritive value of wild mustard continually changed as it matured. Wild mustard, harvested at the proper stage of maturity offers considerable potential as a high quality forage for ruminants during the winter feeding period.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if higher quality forage is an objective, wild mustard should be harvested at the early flowering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