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orted wheat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시판 중인 우리밀 및 수입밀 밀가루의 품질 및 특성 비교 분석 (Comparison of Quality Analyses of Domestic and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Marketed in Korea)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7-293
    • /
    • 2014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4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were compared to those of 4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marketed in Korea. The contents of moisture, ash, protein, total dietary fiber (TDF), color (L, a, b), whiteness, solvent retention capacity (SRC), water absorption index (WAI), water soluble index (WSI), pasting characteristics by rapid visco analyzer (RVA), and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were analyzed. The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were composed of higher content in ash and protein, compared to the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The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had lower SRC and WSI characteristics than the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The values of lactic acid SRC (LASRC) in the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the protein content increased. The differences in viscosity were observed in the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However, no major significant differences of viscosity were found among the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The result of PCA showed a consistent trend in the imported wheat flour (strong, medium, and weak), while a consistent trend was not shown in the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tandardize the different types of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우리밀가루와 수입밀가루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flour and Imported Wheat flour)

  • 정곤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7
    • /
    • 2001
  •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Korean wheat flour and imported wheat flour with a view to shed light on their difference. In terms of components, Korean wheat flour and imported wheat flour are similar, but the latter turns out to be better than the former when it comes to crude protein, the ratio of water absorption and the power of maintenance. Yet Korean wheat flour turns out to be better than imported wheat flour. In terms of the chromaticity of wheat flour, the latter turns out to be higher than the former when it comes to L value, while the former turns out to be higher than the latter when it comes to a value and b value. In terms of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wheat flour, both are in the shape of an oval with starch particles irregularly attached to gluten. And imported wheat flour is getter than Korean wheat flour in terms of the size of particles.

Comparison of Allergy-Inducible Wheat Protein Contents among Imported and Domestic Wheat Flours in Korea

  • Kim, Ju Hee;Pak, Pyo June;Kim, Jung-Gon;Cheong, Young-Keun;Kang, Chon-Sik;Lee, Nam Taek;Chung, Nam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1호
    • /
    • pp.1-3
    • /
    • 2016
  • Wheat is a staple food in the Korean diet, which is increasingly becoming westernized. Because most domestic wheat consumption relies on imported wheat, we aimed to evaluate the allergy-inducible protein contents of commercial flours from imported and domestic wheat. Analysis of the protein contents by densitometry suggested that domestic wheat flours contain lower levels of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and omega-gliadin (50 and 34% lower, respectively) than imported wheat flours. Therefore, domestic wheat flours are less likely to cause allergic reactions than imported wheat flours are. Based on the findings of our study, were commend increased consumption of domestic wheat flours to those who are sensitive to allergy.

키토산의 첨가가 우리밀빵과 수입밀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on Quality of Korean Wheat Bread and Imported Wheat Bread)

  • 박영희;정곤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41
    • /
    • 1998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qualify of the breads made from Korean and imported wheat flour respectively after adding chitosan, by examining the dough making, the bread making propertie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breads. The low polymerized chitosan (M. W. : 37,000) was added respectively 1, 3 and 5% in the form of 10% lactic acid aqueous solution. The Korean wheat bread had 4% more water, 3% more sugar, 0.5% more salt, 3% more margarine and 1.5% more yeast per 100% to wheat flour added than the imported wheat bread. The bread volume for the two groups stayed the same. The water absorption in the chitosan added group was increased more greatly than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pH was reduced. In case of color among all wheat bread groups the ‘L’ value appeared to be higher in the imported wheat bread groups, and the ‘b’ value appeared to be higher in the chitosan added group.

  • PDF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우리밀 제빵 제품의 항산화 활성과 단백질 소화도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Bakery Products prepared from Korean Wheat with Functional Ingredients)

  • 한인화;박병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53-861
    • /
    • 2014
  • 우리밀과 수입밀로 쿠키, 머핀, 바게트를 제조하여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단백질 소화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쿠키와 머핀 제품에 천년초와 홍화씨를 첨가하여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및 단백질 소화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천년초의 첨가는 우리밀 쿠키 및 머핀의 80% methanol 추출물에서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켰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홍화씨 첨가는 우리밀 쿠키의 80% ethanol과 80% m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기능성 소재의 첨가가 쿠키의 품질 특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우리밀과 수입밀로 만든 쿠키, 머핀, 바게트의 80% ethanol 추출물에서 우리밀로 만든 머핀의 총 페놀 함량이 4.53 mg Q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수입밀로 만든 머핀보다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80% methanol 추출물은 수입밀 바게트가 우리밀 바게트보다 약 1.2배 높게 나타나 용매에 따라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80% ethanol 추출물과 80% m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비교하면 ethanol 추출물이 모든 시료에서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보여, 우리밀에서 더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우리밀과 수입밀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머핀의 80% methanol 추출물은 우리밀이 수입밀보다 2.4배 가량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그 결과, 추출 용매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우리밀 제품이 수입밀 제품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고 추정된다. 단백질 소화도에서 우리밀과 수입밀을 비교해 보면 모든 제품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단백질 소화도와 같은 품질 특성은 우리밀이 수입밀의 품질과 유사하며, 항산화 효과와 총 페놀 함량은 우리밀 제품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 기능성 면에서 우수한 밀 품종이라고 사료된다.

국산밀로 제조한 파운드케익의 품질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baked from Korean Wheat Flour)

  • 이경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9-423
    • /
    • 1996
  • 수입밀(Sample A) 한 종류와 3종류의 국산밀(Sample B, C, D)로 파운드케익을 제조하여 품질을 관능검사, 색, 부피 및 경도로 측정하여 국산밀의 파운드케익 가공적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 결과, 수입밀 파운드케익은 국산밀 제품보다 질감, 맛 등이 선호되어 종합적인 선호도가 더 높다. 이는 수입밀 제품이 국산밀 제품보다 더 부드럽고 촉촉하며 결이 곱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색도는 수입밀로 제조한 것이 L값은 81.09, a값은 -0.49, b값은 28.17로 나타났다. 국산 밀로 제조한 것은 이것보다 L값은 낮게, a값은 높게, b값은 여러 단계로 나타나, 대체로 수입밀 제품보다 명도가 낮고 붉은색을 띄는 누르스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부피는 샘플 D가 833cc로 가장 컸고, B가 800cc, A가 755cc, C가 753cc로 D, B, A, C의 순으로 크게 나타나, 2종류의 국산밀 제품이 수입밀 제품보다 더 크게 팽화되었다. 4. 경도는 샘플 C가 22.60 dyne/$ extrm{cm}^2$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D가 16.50, A가 15.75, B가 13.83으로 나타났다.

  • PDF

시판 우리밀과 수입밀 전분의 구조 및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domestic and imported wheat starch)

  • 정경아;박진희;김경훈;이창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21-5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시판중인 우리밀과 수입밀에서 분리한 전분의 구조와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각 전분 사이의 구조적 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우리밀과 수입밀 전분의 아밀로즈 함량은 23.2-23.8%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전분 입자의 형태는 유사한 타원형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호화온도와 종결온도의 차이는 수입밀 전분이 우리밀 전분에 비해 넓게 분포되어 있어 수입밀이 우리밀에 비해 품종 혼합이 많이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보였다. 점도 특성은 국내산 밀가루 DWS-N은 강력분인 빵의 가공 적성에 적합하며, DWS-H, DWS-CJ는 중력분인 다목적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밀과 수입밀의 품질 특성은 글루텐 함량 뿐만 아니라 전분의 특성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밀을 활용한 가공식품 적용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산과 수입 밀가루로 제조한 스폰지 케익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System Prepared with Domestic and Imported Wheat Flour)

  • 오명석;김혜영;이영식;김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13-819
    • /
    • 2007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ponge cakes using 2 kinds of domestic wheat flour(white flour, whole wheat flour) and imported cake flour were investigated. In the proximate analysis, white flour had higher contents of water and protein compared with those of imported flour. Whole wheat flour had the highest contents of protein, lipid and ash. Regarding the batter, imported flour sample showed lower specific gravity and higher viscosity than those of domestic flour sample, implying that there was more air incorporation and higher batter stability. As a result, imported flour batter produced larger cake compared to that of domestic flour batter. But indexes of symmetry and uniform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In textural analysis using rheometer, cakes with imported flour were softer compared with that with domestic flour. In gumminess and brittleness, cakes with domestic white flour showed the highest value while that with the imported flour showed the lowest value. For the color measurements of cake crumb,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 was found among the samples. Regarding the cross-sections of the cake observed using SEM, imported flour produced cake with smaller and more even air cells compared to that with the domestic flour cake. In sensory evaluation, cakes with the domestic white flour showed the highest moistness valu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ringiness, firmness, adhesiveness and ease of swallow among the samples. In conclusion, cakes with domestic white flour and whole wheat flour were as good as that with imported cake flour for the sponge cake preparation.

수확 연도별 우리밀과 수입밀의 품질 변이 비교 (Quality Variation of Domestic Wheat Compared to Imported Wheat Depending on Harvest Year)

  • 곽한섭;김태종;주은영;차장헌;김아진;김미정;김상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46-151
    • /
    • 2017
  • 2011년에서 2013년까지 국산 원맥 443점과 수입 원맥 160점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분 함량은 국산 원맥이 10.90~13.90%, 수입 원맥은 8.0~12.6%로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은 국산 원맥이 9.34~16.1%, 수입 원맥은 9.0~14.6% 범위에 있었다. 회분 함량은 국산 원맥이 1.28~1.89%, 수입 원맥은 1.19~1.74%였으며, 원맥의 단위 밀도는 국산 원맥이 512~859 g/L, 수입 원맥이 789~853 g/L로 수입 원맥의 범위가 더 좁게 나타났다. 국산 원맥의 falling number는 147~822 s로 통상적인 고품질 밀가루의 범위인 300~600 s를 벗어난 300 s 미만의 낮은 품질의 원맥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수입 원맥의 falling number는 모두 300 s 이상이며 최대치는 516 s로 모든 원맥이 고품질 범위에 있었다. 피해립과 이물질 함량에서는 국산 원맥이 수입 원맥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으나, 국산 원맥의 피해립과 이물질 함량은 2011년에서 2013년으로 갈수록 수치가 점차 줄어드는 경향성을 보여주어 지속적인 품질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식빵제조를 위한 국산 및 수입 밀가루의 적성에 대한 연구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s made with Korean and Imported Wheat Flours)

  • 장혁래;박정숙;신솔;신길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84-890
    • /
    • 2008
  • 수입 밀가루와 국산 우리밀가루로 식빵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수입 밀가루가 가장 낮았고, 조회분 함량은 수입 밀가루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pH 측정에서는 수입 밀가루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H.Y 우리밀가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수입 밀가루가 L, a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식빵의 부피와 높이는 G.S 우리밀가루가 가장 낮았으며, 금강 우리 밀가루가 반죽수율과 비체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굽기 손실률은 G.R 우리밀가루가 가장 높았으며 G.S 우리밀가루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직감에서는 경도(hardness)는 수입 밀가루가 가장 낮았고, 점착성(gumminess), 씹힙성(chewiness), 부착성(ad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맛과 향미에 대한 기호도의 경우 수입 밀가루보다 우리밀가루가의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