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orted chees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Evaluation of Natural Food Preservatives in Domestic and Imported Cheese

  • Park, Sun-Young;Han, Noori;Kim, Sun-Young;Yoo, Mi-Young;Paik, Hyun-Dong;Lim, Sang-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31-537
    • /
    • 2016
  • In milk and milk products, a number of organic acids naturally occur. W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some naturally occurred food preservatives (sorbic acid, benzoic acid, propionic acid, nitrite, and nitrate) contained in domestic and imported cheeses to establish the standard for the allowable range of food preservatives content in cheese. 8 kinds of domestic precheeses (n=104), 16 kinds of domestic cured cheeses (n=204) and 40 kinds of imported cheeses (n=74) were collected. Each domestic cheese was aged for a suitable number of months and stored for 2 mon at 5℃ and 10℃. No preservatives were detected in domestic soft and fresh cheeses, except cream cheese. In case of semi-hard cheeses, 2-5 mg/kg of benzoic acid was detected after 1-2 mon of aging. In imported cheeses, only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were detected. The average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contents in semi-hard cheese were 8.73 mg/kg and 18.78 mg/kg, respectively. Specifically, 1.16 mg/kg and 6.80 mg/kg of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respectively, were contained in soft cheese, 3.27 mg/kg and 2.84 mg/kg, respectively, in fresh cheese, 1.87 mg/kg and not detected, respectively, in hard cheese, and 2.07 mg/kg and 182.26 mg/kg, respectively, in blended processed cheese.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비살균 치즈와 살균 치즈의 위생상태 비교: 예비연구 (Comparison of the Sanitary Conditions of Raw Milk Cheese and Pasteurized Milk Cheese Sold in the Market: A Preliminary Study)

  • 임현우;김세형;천정환;배동렬;송광영;정동관;서건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33-3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수입되어 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살균 원유로 만든 다양한 치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살균 수입치즈 4종류, 살균 수입치즈 4종류 그리고 살균 국산치즈 4종류를 샘플로 하였으며, 일반세균수, Coliform, E. coli, Salmonella spp.와 Listeria monocytogenes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검사된 12종류의 다양한 치즈에서는 Coliform, E. coli, Salmonella spp.와 Listeria monocytogenes는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살균 수입치즈와 살균 수입치즈 그리고 한국에서 생산된 살균치즈의 위생상태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된 12종류의 치즈의 일반세균수 평균은 4.0 log CFU/g 이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한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치즈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한국에서 생산되고 판매되는 비살균 치즈에 대한 미생물학적 조사를 진행하여 안전성을 확보뿐만 아니라, 새롭고 품질이 우수한 제품들이 생산을 위한 장기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탈지분유로 제조(製造)한 치즈의 미세구조(微細構造) (Microstructure of Cheese Made from Skim Milk Powder)

  • 이부웅;안효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9-284
    • /
    • 1984
  • 분유와 분유로 제조된 cheese의 미세구조(微細構造)가 전자 현미경(顯微鏡)에 의해서 관찰되었다. 동결건조 분유는 사과모양을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분유로 제조된 cheese는 전형적인 용융 cheese와 비교하여 표면의 구조가 비교적 편편하고 백색의 균일한 침적물을 나타내었다. 도입 분유 역시 동결건조 분유와 거의 유사한 모앙을 나타내었고, 도입분유로 제조된 cheese는 균일한 분산을 나타내나 표면이 약간 거칠고 caseins matrix와 침적물 사이에 공간이 있다. 시판 분유는 건조중 변성된 것으로 불규칙한 변성 응고물의 모양을 나타내었다. 시판분유로 제조된 cheese의 모양은 불규칙하고 작은 침적물과 세공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분유의 열변성도는 cheese의 세공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변성된 단백질은 변성되지 않은 단백질보다 polyphosphate에 의한 단백질 분산성이 덜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분유로 제조한 cheese의 내부구조에서 지방구막과 casein micelle이 전형적인 용융 cheese에 비해 아주 근접해있고 casein micelle이 아주 치밀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분유의 용융 기작도 전형 적인 cheese의 용융과는 다른 것으로 보인다.

  • PDF

기능성 향상 치즈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Functionality in Cheese)

  • 안성일;최경훈;곽해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65-73
    • /
    • 2011
  • Cheese is a nutritious food with various balanced nutrients, such as proteins, peptides, amino acids, fats, fatty acids, vitamins and minerals. Domestic cheese varieties and quality need to be improved to prevent imported cheese. To develop those cheeses, search for previous works and research for new products are needed. In cheese ripening of hard cheese, such as Cheddar or Parmesan cheese, is ripened for 2 to 24 months at 2 to 16$^{\circ}C$ to develop desired cheese flavor and body characteristics. Long time with low temperature to ripen the cheese requires high expenses. So accelerated cheese ripening is a good potential for saving in industry. Methods for acceleration of cheese ripening are temperature control, addition of bacteria or enzymes. To develop the functionality of cheese, addition of microencapsulated various probiotics and nutrients, such as iron, removal of cholesterol by crosslinked ${\beta}$-cyclodextrin, lowering blood cholesterol and serum glucose by nanopowdered functional materials et al. are necessary. Therefore, this review focused on the functionality of cheese, such as the acceleration of cheese ripening, microencapsulated probiotics and iron, and cholesterol removal.

  • PDF

한국의 치즈산업사 (History of cheese industry in Korea)

  • 금종수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2권3호
    • /
    • pp.272-286
    • /
    • 2019
  • 전해오는 전설에 의하면 인류 최초의 치즈는 양의 위를 가지고 만든 주머니에 우유를 담아 사막을 횡단하던 아라비아 상인에 의해 발견된 것으로 전해오고 있다. 기원전 9,500년경부터 메소포타미아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 살던 농부들은 인류의 문명만큼이나 오래된 치즈라는 유산을 남기게 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치즈는 1964년 임실성당 주임신부로 부임한 지정환 신부에 의해서 1968년 제조에 성공한 까망베르 치즈이다. 이후 지정환 신부는 1970년 모짜렐라 치즈, 1972년 체다치즈를 생산, 유통 시킴으로서 한국 치즈산업 발전의 토대를 만들었다. 이후 1980년대 후반 슬라이스 형태의 가공치즈가 출시 됨에 따라 다양한 가공치즈 제품들이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에는 웰빙 트렌드에 힘입어 유기농 치즈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첨가한 기능성 가공치즈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국산 자연치즈(숙성치즈)는 2004년 까망베르와 브리 치즈가 출시됨으로서 본격적인 숙성치즈 시대를 열게 되었다. 최근의 치즈 소비 트렌드는 진품치즈, 강렬한 풍미, 세련된 스낵치즈 및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조한 치즈를 선호하며 음식점에서 인기 있는 치즈는 모짜렐라, 파르메산, 체다, 프로볼로네 및 페타 치즈 등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수입치즈의 영향으로 자연치즈 생산량은 감소, 가공치즈 생산량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전체적인 소비량 역시 매년 증가 추세이다.

목장형 유가공업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고찰 (Microbiological Safety Concerns with Dairy Products from Farmstead Plants)

  • 이지연;윤요한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15-220
    • /
    • 2017
  • The consumption of natural cheese in Korea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1997. However, most of the cheeses consumed in Korea are imported. Thus, surplus milk has accumulated in Korea. To solve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established a policy to create a farmstead dairy industry. Although the law governing the industry was established in 2016, food safety guidelines have not been prepared. Milk and cheese are prone to contamination with mycotoxins such as aflatoxin M1 and ochratoxin A, antibiotic residues such as penicillin and tetracycline, and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and Staphylococcus aureus. L. monocytogenes infections have a very high mortality rate; hence,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reventing contamination of milk and cheese with this organism. To ensur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armstead dairy products, the HACCP model has been used. However, this model is not suitable for current processing environments of farmstead dairy products because of the small size of the operations. In addition, scientific data o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armstead dairy product are limited and are urgently needed.

전자코를 이용한 다양한 유형의 치즈 제품 풍미성분 분석 (Analysis of Flavor Pattern from Different Categories of Cheeses using Electronic Nose)

  • 홍은정;김기화;박인선;박승용;김상기;양해동;노봉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69-677
    • /
    • 2012
  • 본 연구는 전자코를 이용하여 한국에서 시판되는 피자용 모짜렐라 치즈 슈레드 제품과 슈레드 제품 혼합용 원료 치즈에 해당하는 모짜렐라 치즈 블록, 체다 치즈, 흰 곰팡이 숙성 치즈 등 3종류의 국내산 및 수입산 치즈를 대상으로 단기간 저장 및 가열처리에 의한 풍미패턴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국내 임실치즈농협에서 새로 개발한 임실 치즈 제품이 국내산 및 수입산 치즈의 향미패턴과의 차이 유무에 대해 접근하여 보고자 하였다. 치즈 종류뿐만 아니라 조리온도 및 저장유무에 따른 향기패턴을 판별함수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후 비교 분석한 결과, 피자용 모짜렐라 슈레드 제품의 경우 저장유무보다는 조리온도에 따라 풍미패턴의 차이가 더 구분되었으며 피자용 모짜렐라 슈레드 제품에 혼합용으로 사용되는 치즈의 종류 및 원산지에 따라서 풍미패턴이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로 개발된 국내산 임실 치즈는 기타 국내산 치즈와 외국산 치즈와 비교하였을 때 이들의 중간 향에 해당하면서도 독특한 향미를 지니는 것으로 판별되었다.

Streptococcus macedonicus LC743으로 제조된 모짜렐라 치즈의 면역증진 및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by Mozzarella Cheese made with Streptococcus macedonicus LC743)

  • 한누리;박선영;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237-245
    • /
    • 2015
  • 본 연구는 원유로부터 면역효능이 우수한 젖산균 Streptococcus macedonicus LC743을 분리하였고, 이 균으로 제조한 모짜렐라 치즈와 상업균주로 제조한 모짜렐라 치즈에 대해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시험하였다. S. macedonicus LC743을 이용한 치즈의 일반성분 결과, 수분 53.16%, 단백질 26.42%, 지방 20.52%였다. S. macedonicus LC743을 이용한 치즈의 질소화합물 중 수용성 질소는 0.384%, 비단백태질소 0.051%, 아미노태질소는 0.060 Nmg/g으로서 상업균주를 이용한 치즈에 비해 수용성 질소 및 아미노태질소의 함량은 적은 반면, 비단백태 질소 함량은 높았다. 각 치즈에 존재하는 유기산 분석 결과 상업균주로 제조한 치즈가 809.80 mg/mL로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S. macedonicus LC743으로 제조한 치즈는 668.09 mg/m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S. macedonicus LC743을 이용한 치즈의 총 아미노산은 Ctysteine을 제외하고는 모든 아미노산에서 상업균주를 이용한 치즈에 비해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S. macedonicus LC743 균주로 제조된 모짜렐라 치즈는 상업용 스타터로 제조된 모짜렐라 치즈, 시중 제품 및 외국제품에 비해 면역분비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S. macedonicus LC743 균주를 상업균주와 혼합하여도 면역활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동유럽 국가산 수입 유가공품의 방사능 잔류조사 (Monitoring of the Radioactive Contaminants in Dairy Products Imported from the East European Countries)

  • 이명헌;조미란;김연희;손성완;김상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99-403
    • /
    • 2003
  • The present studies were conducted to monitor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dairy products imported from 16 countries located in the East Europe which were affected by the Chernobyl nuclear accident. The 556 samples such as butter, cheese, ice cream, whey protein and hydrolysed milk protein products were collected randomly and determined from 1999 to 2002. All sample were below the Koeran and CODEX maximum tolerance level of radioactivity for $^{131}I$, $^{134}Cs$ and $^{137}Cs$.

수입 유가공품 중 트랜스 지방산 함량 분석 (The Analysis for Trans Fatty Acids in Dairy Products Imported to Republic of Korea)

  • 박재우;박지성;정두경;송성옥;운재호;김진만;위성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77-483
    • /
    • 2011
  • 본 연구는 유가공품에 적용할 수 있는 트랜스 지방산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유제품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지방 추출은 Rose-Gottlieb법으로 조제분유 표준인증물질을 분석하고 그 인증값과 비교하였던 바, CODEX 가이드에 부합되는 정확도를 나타냈다. 유제품의 트랜스 지방산 분석을 위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오븐 온도 상승 조건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트랜스 지방산들이 양호한 분해능을 보이면서 분석되는 적합한 온도 조건을 제시하였고, 최적화된 분석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유가공품(13개 유형, 45제품)에 적용하였다. 수입되는 유제품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제품 100 g 당 0.1-5.4 g 범위를 나타내었다. 가장 많이 수입이 되는 치즈류는 0.1-2.4 g/100 g 제품(평균값 1.1 g/100 g, n=35)으로 확인된 반면, 치즈를 제외한 유가공품은 1.7-5.4 g/100 g 제품 수준이었다. 이러한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반추동물의 제1위 미생물에 의해서 생성되어 우유 중에 존재하는 트랜스 지방산 함량수준이며, 원료로 사용되는 우유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이나 부가적으로 첨가되는 식물성 지방에서 유래되는 트랜스 지방산의 함량에 따라 검사대상 유제품에서 함량의 차이는 편차가 있을 것으로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