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5초

과실류의 생산 및 가공현황과 신가공기술 (The Status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Fruits and New Processing Technology)

  • 윤광섭;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21-529
    • /
    • 1999
  • 새로운 가공품의 개발방향을 제시하고 또한 국내산 과일가공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하여 과일류의 생산현황과 가공량, 가공품목 및 신 가공기술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소득증가로 전체소비량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산 과일류의 가공량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어 새로운 가공기술과 다양한 가공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외국산 과일류가 대량수입 되면서 국내산 과일류의 가격경쟁력은 점차 떨어지고 있다. 과일의 재배면적이나 생산량뿐만 아니라 가공율도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가공품목 또한 몇 가지로 제한되어 있어 생산업체가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농산물의 신가공기술로 적용할 수 있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PEF), 초고압(high hydrostatic pressure), 통전가열(ohmic heating), 막분리(membrane seperation),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비열 처리 기술 즉, 최소 가공기술(minimal processing technology)들을 농산물 가공에 이용함으로서 다양한 농산가공품의 개발은 물론 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학교급식에서의 절임배추 이용 실태 및 구매 촉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Salted Cabbage and the Purchasing Promotion in School Foodservice)

  • 차성미;한귀정;이새롬;박영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8-206
    • /
    • 2010
  • In recent years consumers have become used to products geared toward a more convenient lifestyle, thus, the demand for salted-cabbage, for use in preparing Kimchi is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urchasing factors, the satisfaction and demands of salted-cabbage, and to ascertain a marketing strategy for expanding the use of salted cabbage in food-service departments of school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31 buying agents who manage food materials for schools, an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V.14.0 program. 46.9% of the participating respondents were from elementary schools, 27.7% from middle schools, and 25.4% were from high schools.. Most of the subjects (67.9%) recognized the salted cabbage retailed for foodservice, but 62.3% of these had not purchased them, due to both their lack of trust in the sanitation and raw material handling of the food product, and the high price. Respondents considered different factors when deciding whether or not to purchase: the origin (local or imported) of the cabbage, hygiene, and taste, as well a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abbage weight, package weight, and package materials. The score of post-behavior intentions as well as overall satisfaction was rather high. Also, they perceived the need of strategic promotion for enlarging the market portion of salted-cabbage. These results will done the guidelines for diversifying the salted-cabbage market and for creating an added valu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rural areas.

환경농법에 의한 사과생산 실태 및 경영개선 (Current Situation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ion of Apples)

  • 박흥섭;오광인;박준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6
    • /
    • 1999
  • In this study, questionnaire were made to environment-friendly producers of apples regarding farm management methods in low-input production method. utilizing organic materials, production and marketing of apples with lower agricultural chemical residues. Besides, five apples farms were visited to find out their management situation by employing the low-input production method in order to protect the environment as well as consumer's health. Those five low-input apple farms were scattered in Kyungbuk, Chungnam, and Chonnam Provinces, There were not many low-input apple farms across the nation from the beginning and, as a result, increasing the sample size was basically very difficult. Most of these farms were using 140hrs of labor per 10a, of which 30hrs in pre-season management, 25hrs in plowing and weed control, 15hrs in disease and pest control, 20hrs in harvest and marketing and 50hrs in miscellaneous activities. Relatively, pest control takes much time in that they would spray pesticides 7-10 times a season to control the apple disease, 9 times on the average. The average gross revenue of low-input apple farms was about \2,000,000/10a, and their average yield was 2,000kg/10a, which are 25% and 13% lower, respectively, than the ordinary apple production case. This means the low-input farmers are inefficient in marketing their products. On the other hand, their production costs were 20.4% higher than the ordinary apple farms on the average. Since the imported foreign fruits including apples must use various agricultural chemicals on their way to the export markets, the domestic low-input apples have competitive edge over them in therms of food safety. In order to improve the low-input apple industry, active cooperation is needed among the producers, government and researchers more than ever. Among other things, production cost re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with lower chemical residues are part of the urgent matters to be done.

  • PDF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Raw Chicken Meat in the Republic of Korea

  • Koh, Youngho;Bae, Yunyoung;Lee, Yu-Si;Kang, Dong-Hyun;Kim, Soon 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0호
    • /
    • pp.1307-1314
    • /
    • 2022
  • In this study,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raw chicken meats available in Korean markets. The data collected, such as food source of isolation, sampling information, serotype, virulence, and genetic profile including sequence type, were registered in the database for furthe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rains isolated from the traceback investigation samples. To characterize serotype, virulence and gene sequences, we examined 113 domestically distributed chicken meat samples for contamination with Salmonella spp. Phyl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on 24 strains (21.2%) of Salmonella isolated from 113 commercially available chicken meats and by-products, using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and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Serotyping of the isolated Salmonella spp. revealed S. Enteritidis in 11 strains (45.8%), S. Virchow in 6 strains (25%), S. Montevideo in 2 strains (8.3%), S. Bsilla in 2 strains (8.3%), S. Bareilly in 1 strain (4.2%), S. Dessau in 1 strain (4.2%), and S. Albany in 1 strain (4.2%). The genetic correlation indicated that 24 isolated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18 clusters with a genetic similarity of 64.4-100% between them. Eleven isolated S. Enteritidis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9 genotypes with a sequence identity of 74.4%, whereas the most distantly related S. Virchow was divided into five genotypes with 85.9% identity. Here, the MLS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jor Sequence Type (ST) of the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domestic chicken sold in Chungcheong Province belongs to the ST 11 and 16, which differs from the genotype of Salmonella isolated from imported chicken. The differential sequence characteristics can be a genetic marker for identifying causative bacteria for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of food poisoning.

훈증제 에틸포메이트를 이용한 몇 가지 시설하우스 해충에 대한 새로운 방제 전략 (A New Disinfestation Approach Against Some Greenhouse Pests Using Ethyl Formate Fumigation)

  • 권태형;정인홍;이병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41-345
    • /
    • 2019
  • 에틸포메이트는 살충 효과가 빠르고 환경에 무해하며 특히 인축독성이 낮아 검역용 훈증제로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에틸포메이트를 이용하여 훈증 챔버 (0.275 ㎥) 내에서 4종의 농업 해충 (오이총채벌레, 담배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과 4종의 작물 (참외, 오이, 토마토, 고추) 유묘기를 대상으로 12시간 훈증 처리하여 약효와 약해를 평가하였다. 에틸포메이트 1.5 g/㎥의 약량으로 12시간 훈증 했을 때 담배가루이와 복숭아혹진딧물은 93.3% 이상의 높은 살충력를 나타내었으나, 점박이응애는 2.0 g/㎥ 약량에서도 20% 미만의 낮은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에틸포메이트의 CT값(농도×시간)이 훈증 처리 온도 20 ± 1.5℃에서 8.9 g·h/㎥ 이상일 때 점박이응애를 제외한 나머지 3종의 해충에 대해서 90% 이상의 살충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에틸포메이트 1.5 g/㎥의 약량으로 상기 4작물을 12시간 훈증했을 때 약해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에틸포메이트 훈증기술은 시설 내 해충방제를 위한 새로운 방식이 될 수 있으며 관행적인 살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해충의 충태별, 작물의 생육 시기별 에틸포메이트 약효 및 약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프로그램 현황과 개선 (Present Status on the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Program of South Korea and Its Improvement)

  • 이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9-226
    • /
    • 2019
  • 이 연구는 식품 중 잔류농약에 대한 국내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현황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더 나아가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 제안되었다. 이 연구로 부터 국내 잔류농약 모니터링 프로그램 현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었다. 국내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총괄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시점(유통 또는 생산단계에서 시료수집)에 따라 모니터링 책임 기관이 다른데, 유통단계의 식품에 대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지방자치단체가, 생산단계에서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NAQS)과 지방자치단체가 모니터링을 실시한다(부분적으로 판매와 유통단계에서도 실시). 국내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목적에 따라 구분하면 위해평가 모니터링(monitoring for risk assessment)으로 MFDS의 "잔류실태조사"와 NAQS의 "국가잔류조사"가 있고,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주로 규제 모니터링(monitoring for regulation)을 실시하고 있었다. 수입식품의 경우 통관단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책임)와 유통단계 모두에서 모니터링이 실시되어야 한다. 유통단계 수입식품 모니터링은 MFDS,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지방자치단체가 담당하고 있는 데 아직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국가수준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잔류농약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앞에서 기술한 내용과 더 상세한 내용을 토대로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해 i)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목적에 대한 명확성 제고, ii) 수입식품에 대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강화 iii) 일반국민에게 모니터링 결과의 공개(연간보고서와 데이터베이스 발간)를 제안하였다.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고 시행하기 시작한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잔류농약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철저한 검토와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자원으로 제조한 발효 유기질비료가 배추의 생육 및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and Nitrogen Use Efficiency to Chinese Cabbage under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Treatment with Domestic Resource)

  • 김유진;김소희;이상민;이초롱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3호
    • /
    • pp.83-91
    • /
    • 2023
  • 본 연구는 수입산 아주까리박을 주원료로 하는 혼합유기질비료(혼합유박)을 대체하기 위해 국내 유기자원을 원료로 제조한 발효비료의 처리효과를 확인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발효비료는 주정박(30%), 깻묵(30%), 미강(20%), 어분(20%)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발효조건을 달리하여 기존 발효방식(비가림 하우스에 21일간 발효)으로 제조한 발효비료A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A. OFA)와 발효기간을 단축(40℃에서 5일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비료B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B, OFB) 2종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의 처리구는 무처리(Control, NF), 혼합유박(Mixed organic fertilizer, MOF), 발효비료 처리구(OFA, OFB)로 설정하였으며, 노지 배추 표준시비량의 질소 기준(320 kg/ha)으로 자재를 처리하였다. 재배시험 결과 OFA, OFB와 MOF간의 배추의 생육과 수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배추의 질소이용효율은 발효비료 처리구(OFB : 81.4%, OFA : 79.1%)가 MOF (65.3%)보다 증가하였고, 발효비료를 처리한 토양의 Urease 활성도가 240~241 ㎍/g/dm/2h로 MOF (203 ㎍/g/dm/2h)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국내 유기자원으로 제조한 발효비료 2종은 혼합유박과 유사한 생육과 수량을 보였으며, 발효과정으로 작물의 양분흡수가 용이해져 질소이용효율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제조한 발효비료가 양분공급자재로 혼합유박을 대체 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발효기간을 기존대비 16일 단축시켜 제조한 OFB도 기존 발효비료(OFA)와 효과가 유사하여 현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지에서의 환경친화형 조사료변산과 이용 (Sustainable Livestock Production in Hill and Woodland)

  • 김태환;성경일;김병완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2년도 창립 30주년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131-156
    • /
    • 2002
  • Although economically viable, the livestock industry is currently facing a number of challeng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highly complex social issues, many of which are related to its size and geographically concentrated nature. Increased emphasis on environmental quality has also placed new demands on livestock producers to ensure that their production practices are in harmony with natural environment. In terms of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s, ruminants have served and will continue to serve a valuable role. They are particularly useful in converting vast renewable resources from rangeland, pasture, and crop residues or other by-product into food edible for human. With ruminants, land that is too poor or too erodable to cultivate becomes productive. Also, nutrients in by-products are utilized and do not become a waste-disposal problem. In Korea, however, native and dairy cattle production is not consistent with the advantageous roles of ruminant livestock in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 because imported feed grains become the main basis for cattle raising. At present the ruminant livestock producers are heavily concentrated in and around the urban areas. About 75% of all the nation's cattle herds are kept on the outskirts of urban areas. As a result, the amount of pasture and forage land available per head of cattle is generally small. Furthermore, animals are raised in a cattle shed with high density. This situation is rather unfavorable for the nation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oints of view As nation income increased, the demand for livestock products grew at an unforeseeable pace. But the pasture area involving in current utilization is tended to decrease during recent years. Based on the above figures more than 250,000 ha of pasture ought to be available for the present herd of cattle. It is obvious that these needs can scarcely be met with arable lands. Lands area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grassland have to be found in the hills and mountains which have not yet been used for crop framing or livestock. The development of extensive grasslands in the hill and woodland areas is now a declared aim.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sent work is the lack of knowledge of 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in hill pasture and woodland in spite of indispensable necessity for livestock production in Korea. The importance of pastoral system in hill region and woodland is particularly emphasized in a standpoint of sustainable livestock production. Main chapter comprises the principle and techniques applicable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hill pasture and woodland. We finally discussed the problems to solve and future works for a successful livestock production in hill and mountainous area in Korea.

  • PDF

혼합발효 유기질비료의 제조과정 중 비료 특성 변화 및 상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Change in Fertilizer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ing Process of Organic Fertilizer and Effect on Lettuce Growth)

  • 안난희;이상민;오은미;이초롱;공민재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3호
    • /
    • pp.27-36
    • /
    • 2020
  • 본 연구는 수입유박 대체 자재 개발을 위해 국내 유기자원을 배합하여 발효하는 과정에서 무기성분과 미생물수의 변화를 조사하여 혼합발효 유기질비료의 특성을 구명하고, 제조된 혼합발효 유기질비료의 기존 혼합유박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상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국내 부산물 자원 미강, 주정박, 참깨박, 어분, 버섯폐배지 등 5종을 혼합비율별로 혼합하고 수분함량 30%, 밀봉조건에서 90일간 발효과정 중의 성분을 분석하여 기존 혼합유박 성분함량 기준에 적합한 혼합발효 유기질비료를 제조하였다. 발효 90일 동안 비료의 pH 변화는 적으며, 수분함량은 발효 60일까지는 34~35%로 유지되다가 90일차에 30~31%로 감소하였다. 총질소 함량은 발효기간 동안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으나 총탄소 함량은 발효 21일차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제조된 혼합발효 유기질비료의 비료성분 (질소, 인산, 칼륨) 함량이 8.7% 이상으로 유기질비료에 함유된 주성분의 최소량 기준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유기질비료 발효과정 중 세균과 방선균의 밀도는 각각 60일, 30일차까지 증가하다 이후 변화가 적었으며 사상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제조된 혼합발효 유기질비료를 시용하여 온실에서 상추를 재배한 시험 결과, 표준 질소시비량 기준 100% 시용시 혼합유박 대비 생육 및 수량이 대등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지역 내 발생되는 부산물자원으로 제조된 혼합발효 유기질비료는 수입유박을 대체하여 양분관리 자재로 농가 활용이 가능하며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각국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바나나 중 농약 잔류 실태 조사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in banana from international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data)

  • 김서홍;김정아;임무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9-22
    • /
    • 2020
  • 이 연구는 농산물의 원산지에 따른 검출 농약을 조사하여 대한민국의 수입 바나나 중 잔류농약 안전 관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국, 일본, EU, 영국 및 대한민국의 2007에서 2018년까지 바나나 중 잔류농약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검출 농약, 검사 건수, 농약 검출 건수 및 검출량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바나나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검출된 농약은 총 109종이었으며, 전체 검사 건수는 206,894건이었다. 이 중 9,483건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농약 검출률은 4.58%였다. 검출된 농약은 chlorpyrifos, imazalil, methyl-bromide, azoxystrobin, carbendazim, pretilachlor 및 thiabendazole 등 이었으며, 이 농약들의 검출률은 10.62-24.62% 범위였다. Chlorpyrifos가 검출 건수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다음으로 imazalil, azoxystrobin, thiabendazole, bifenthrin 및 carbendazim 순이었다. EU, 일본, 미국, 영국 및 대한민국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각각 85, 57, 23, 18 및 8종 농약이 검출되었다. Azoxystrobin, bifenthrin 및 chlorpyrifos는 모든 국가의 모니터링에서 검출되었다. 코스타리카 및 에콰도르산 바나나에서 각각 14 및 12종 농약이 검출되었다. Imazalil 및 thiabendazole은 각각 16 및 11개 원산지에서 검출되었다. Myclobutanil 및 iprodione은 각각 4 및 2개국산에서 검출되었다. Azoxystrobin 및 bifenthrin은 코스타리카산 바나나에서 각각 11.8 및 9.8% 검출 건수를 보였고, azoxystrobin의 검출률은 콜롬비아산에서 19%였다. 벨리즈산, 콜롬비아산 및 코스타리카산 바나나 중 chlorpyrifos는 각각 22.7, 13.3 및 10.8%의 검출률을 보였고, 콜롬비아산 및 코스타리카산 바나나 중 myclobutanil의 검출률은 각각 17.9 및 10.4%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