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 position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31초

임플란트에 둘러싸인 채 압하된 치아의 자연회복: 증례보고 (Spontaneous Recovery of an Intruded Tooth Bounded by Implants: a Clinical Report)

  • 차민상;이양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399-406
    • /
    • 2013
  • 자연치아와 연결한 임플란트 수복물에서 종종 자연치아의 압하가 보고되곤 하지만 임플란트에 둘러싸인 자연치아의 압하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56세의 여성을 하악 우측 제1소구치는 임플란트로, 제 2소구치 치근은 포스트 수복 후 지르코니아로 각각 수복했다.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는 이미 임플란트로 수복되어 있었다. 기능 4개월 후 제 2소구치의 압하로 인한 대합치와의 간격이 분명히 관찰되었으나 불편감을 비롯한 이상증상은 없었다. 예후에 대한 자세한 설명 후 별다른 조치 없이 경과 관찰을 시작하였다. 3개월 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상에서 원위치로의 치아 회복 시작이 관찰되었으며 다시 11개월이 경과한 후 치아의 추가 정출로 교합의 완전한 회복이 이루어졌다. 압하를 인지한지 2년 3개월째 관찰 중이다. 임플란트에 둘러싸인 자연치가 압하되고 저절로 회복되는 과정의 관찰을 통해 압하가 생기는 원인과 저절로 회복된 기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디지털 기법을 활용한 상악 전치부의 진단 및 수복 증례 (Digital technique in diagnosis and restoration of maxillary anterior implant: a case report)

  • 방혜민;장우형;박찬;윤귀덕;임현필;박상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4호
    • /
    • pp.249-256
    • /
    • 2022
  • 성공적인 상악전치부의 임플란트 식립은 많은 고려를 필요로 한다. 환자를 만족시키며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보철수복을 위해서는, 치료에 앞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구내스캔, 콘빔시티, 그리고 안면스캔을 중첩함으로 시도해 볼 수 있다. 구내스캔을 통해 얻어지는 환자의 교합양상과 콘빔시티에서 얻어지는 환자의 치조골의 양상 및 질, 그리고 안면스캔에서 얻어지는 환자의 특성과 구외평가를 어우르는 진단은 보다 성공적인 보철수복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정보의 중첩을 통해, 보철적으로 이상적인 치관의 위치를 우선순위에 두지만, 환자의 생물학적 한계를 포용하는 "탑다운"형식의 임플란트 진단은, 이를 고려한 서지컬 가이드를 3D 프린팅하고, 수술에 사용함으로써 구현되었다. 환자의 치조골 소실로 인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의 한계점은, 치아의 선각과 착시효과를 이용한 보철수복을 통하여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이후, 임시수복물을 사용하고 환자가 가장 편하다고 느끼는 보철물을 장착한 뒤 디지털 교합장비(Arcus Digma II)를 이용하여 전방유도와 하악의 운동을 측정하여 이를 최종보철물에 적용하였다.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6전치 후방 견인시 힘의 적용점 변화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에 관한 유한 요소법적 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initial tooth displacement according to force application point during maxillary six anterior teeth retraction using skeletal anchorage)

  • 김찬년;성재현;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39-35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활주법을 이용한 전치부 후방 견인시 micro-implant의 다양한 수직적 위치와 전치부에서 힘의 적용점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을 관찰하여 공간 폐쇄시 전치부의 설측 경사와 정출력을 방지할 수 있는 micro-implant의 위치와 전치부 힘의 적용점의 위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한 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제1소구치가 발거된 상악 치열궁 형태를 제작하고 $.022"{\times}.028"$ 슬롯 브라켓을 모형화하여 치아에 부착시켰다. $.019"{\times}.025"$ stainless steel 선재를 3차원 beam모형으로 제작하고 상악 측절치와 견치 브라켓 사이의 선재 상에 $.032"{\times}.032"$ 크기의 stainless steel hook을 수직으로 8mm의 높이로 형성하였으며, 선재로부터 2mm높이에서 1mm간격으로 8mm까지 힘 적용점을 설정하였다. 지름 1.2mm,길이 6mm의 micro-implant를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의 치조골에 선재로부터 4mm에서 10mm까지 2mm간격으로 4개를 위치시켰다 각각의 micro-implant와 전치부 hook에 150gm의 힘을 적용시켜 다양한 힘 적용점에 따른 치아의 초기 변위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Micro-implant 높이가 4m일 경우 5mm이하의 전치부 hook 높이에서는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전치부 hook 높이가 6m이상 되었을 때 전치부 순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 2. Micro-implant높이가 6mm일 경우 5mm이하의 전치부 hook높이에서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전치부 hook 높이가 6mm 이상 되었을 때 전치부 순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 이것은 4mm micro-implant에서의 실험결과와 유사한 이동 양상을 나타내었지만, micro-implant높이가 6mm일 때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좀더 감소하였다. 3. Micro-implant높이가 8m일 경우 전치부 hook높이가 2mm일 때 전치의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3mm이상의 전치부 hook 높이에서 순측 경사 이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4. Micro-implant높이가 10mm일 경우 전치부 hook 높이가 2mm 이상에서 전치의 순측 경사 이동이 비례적ㅇ로 증가하였다. 5. 전치부 hook 높이가 증가할수록 전치의 순측 경사 이동이 증가되지만 선재의 뒤틀림에 의한 변형이 증가되므로 견치와 소구치 부위에서 정출력이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치아 이동 양상이 일어났다. 6. Micro-implant를 이용한 상악 5전치 후방 견인시 구치부의 이동은 선재와 브라켓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원심경사 이동이 발생하였다.

상악 전치부 고정성 보철물 수복 시 임시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시보철물의 유지력 증가 증례보고 (Reinforcing the retention of provisional restoration using provisional implant on maxillary anterior region: clinical case report)

  • 김창대;문홍석;정문규;이재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21-225
    • /
    • 2013
  • 임시 보철물의 적절한 관리는 보철의 성공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상악 전치 결손부 임시 보철물은 장경간의 결손부가 존재하거나, 타원형의 악궁을 가진 환자에서 자주 탈락하게 된다. 이는 상악 전치부가 구치부에 비해서 수평적인 힘에 더 많이 노출되며, 부가적으로 전방 캔틸레버 효과가 임시 보철물의 유지를 저해하고, 상악 전치부 임시 보철물은 하악의 기능 운동시 적절한 전방 유도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임시 보철물의 최대 감합위에서 교합접촉은 지점선의 반대편에 위치하게 되어 그 자체로 임시 보철물의 탈락을 야기한다. 본 증례에서는 임시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상악 전치부 보철물에 대한 전술한 유해 작용을 피할 수 있었고, 발치 후 치유기간 동안 환자에게 편안함과 만족감을 부여하였으므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엘라스토머 임플란트를 사용한 엉덩이 확대 성형술 (Buttock Augmentation with Elastomer Implants)

  • 박봉권;김연환;안희창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82-188
    • /
    • 2011
  • Purpose: The buttocks region has been associated with allure and sex appeal for centuries. Gluteal implants enable buttocks remodeling in a way that is not possible in other methods. One of the reasons that render gluteal implant surgeries unpopular is the fear of complications, the main problems being seroma, wound dehiscence, extrusion, and a visible or palpable implant. The authors present the XYZ technique, which provides anatomical reference points to guide the intramuscular dissection procedure in a feasible and safe way, resulting in a lower complication rate. Methods: The XYZ procedure was done for buttock augmentation on 8 patients from December 2009 to June 2010. Patient's ages ranged from 27 to 44 with a mean age of 36. Seven patients were applied the 250cc sized Elastomer implants with one patient 290cc sized implant. Preoperative marking was done with the patients in the standing position. Bisection of the gluteus maximus muscle was done at the midpoint thickness to create a plane for implant insertion, which is called the sandwich plane. Results: The 8 cases were performed safely without major complications. However one patient had minor wound dehiscence, and was manag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Another patient had a discomfort on the buttocks for a long time.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verage 6 months. All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aesthetic results. Conclusion: In performing the XYZ technique for gluteal augmentation, the surgeon must split the muscle into two equal halves with anatomical reference points to guide the muscle detachment in a symmetrical way at an adequate depth. This method provides a guideline for the surgeon in determining the ideal plane during intramuscular dissection and gives predictable results with low complication rates. Intramuscular gluteoplasty with gluteal implants offers predictable, aesthetically pleasing results without contour irregularities and only a low incidence of major complications.

임플란트 고정체의 매식 경사에 따른 응력분석 (Stress analysis according to the different angulation of the implant fixture)

  • 이태엽;강동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8권4호
    • /
    • pp.321-329
    • /
    • 2002
  • Bending moments results from offset overloading of dental implant, which may cause stress concentrations to exceed the physiological capacity of cortical bone and lead to various kinds of mechanical fail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stributing pattern of stress on the finite element models with the different angulated placement of dental implant in mandibular posterior missing areas. The three kinds of finite element model, were designed according to 3 main configurations: Model 1(parallel typed placement of 2 fixtures), Model 2(15. distal angulated placement of one fixture on second molar area), Model 3(15. mesial angulated placement of one fixture on second molar area). The cemented crowns for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s were made on the two fixtures (4mm 11.5).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by two fixtures were construct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implant and surrounding bone. A 200N vertical static load were applied to the center of central fossa and the point 2mm apart from the center of central fossa on each model. The preprocessing, solving and postprocessing procedures were done by using FEM analysis software NISA/DISPLAY IV Version 10.0((Engineering Mechanics Research Corporation, USA). Von Mises stress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in the supporting bone, fixtures, and abu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 (1) Under the point loading at the central fossa, the direction of angulated fixture affected the stress pattern of implants. (2) Under the offset loading, the position of loading affected more on the stress concentration of implants compare to the angulated direction of implants. The results had a tendency to increase the stress on the supporting bone, fixture and screw under the offset loads when the placement angulation of implant fixture is placed toward mesial or distal direction. In designing of the occlusal scheme for angulated placement, placing the occlusal contacts axially during chewing appears to have advantages in a biomechanical viewpoint.

심한 치주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computer aided flapless surgery와 즉시 부하를 통한 전악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 periodontitis using immediate loading after computer aided flapless implant surgery)

  • 강성훈;최연조;류재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1호
    • /
    • pp.46-55
    • /
    • 2018
  • 치조골의 흡수와 치주조직의 염증을 동반한 심한 치주질환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통한 구강 회복은 임상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골 형태에 따른 적절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선정한다면 불필요한 골 이식이나 연조직 수술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최근에는 cone beam CT 촬영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환자의 해부학적 형태와 보철적인 위치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선정할 수 있게 되었고 3D printing 기술을 통해 제작된 surgical guide를 통해 계획된 위치로 정확한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증례는 70세 여성 환자로 심한 치주질환으로 인해 전악 치아의 발치가 필요하였으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 구강회복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에는 보철적인 위치를 고려한 surgical guide를 이용해 flapless 방식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수술 전에 CAD/CAM 방식으로 제작된 임시보철물을 즉시 부하하였다. 이후 맞춤형 지대주와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보철물을 제작하였으며, 만족스러운 심미 및 기능 회복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 pilot study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about factors influencing prognosis of dental implants

  • Ha, Seung-Ryong;Park, Hyun Sung;Kim, Eung-Hee;Kim, Hong-Ki;Yang, Jin-Yong;Heo, Junyoung;Yeo, In-Sung Luk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0권6호
    • /
    • pp.395-400
    • /
    • 2018
  • PURPOSE.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implant prognosis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a systematic search of chart fil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or one year. In this period,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inserted 667 implants in 198 patients after consultation with a prosthodontist. The traditional statistical methods were inappropriate in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data of a small sample size to find a factor affecting the prognosis.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since these methods have analyzing power for a small sample size and are able to find a new factor that has been unknown to have an effect on the result. A decision tree model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identified mesio-distal position of the inserted implant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determining its prognosis. Both of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the decision tree model and support vector machine, yielded the similar results. CONCLUSION. Dental clinicians should be careful in locating implants in the patient's mouths, especially mesio-distally, to minimize the negative complications against implant survival.

Computer-guided implant surgery를 활용한 상악 무치악 환자의 전악 임플란트고정성 보철물 수복 증례 (Full mouth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restoration of an edentulous maxillary patient using computer-guided implant surgery)

  • 이민태;김성용;임선영;이용상;이근우;김성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63-72
    • /
    • 2023
  • 완전 무치악에서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물로 구강회복 치료를 진행할 경우, 해당 악궁의 해부학적 상황과 대합치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최종 보철물의 형태와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이에 따라 다수의 임플란트를 계획된 방향과 각도로 식립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증례는 기존 의치의 불편감으로 내원한 상악 무치악 환자를 computer-guided surgery를 통해 상부 보철물에 기반하여 이상적으로 계획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이를 통해 상악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구강 회복을 진행한 치료로 환자와 술자 모두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치과용 Cone-beam CT를 이용한 상악동 골 이식 후 나타난 골 이식재의 부피 변화평가 (Evaluation of the Volume Changes of Grafted Bone Materials in Sinus Augmentation Procedure Using Dental Cone-beam CT)

  • 온병훈;선화경;지영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23-3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동 골증대술과 동반된 이식된 골의 3차원적인 형태를 평가하고 골이식 재료 및 임플란트의 종류, 수술 방법과 골흡수 정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상악동 골증대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차트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골이식재의 부피 및 부위의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6개월 후 잔존 골 이식재의 비율로 측정된 부피 재생은 이식 재료의 형태 및 수술 방법과 연관성이 있었다. 원광대학교 산본 치과병원에서 15명의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과 동반하여 53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6개월 후 촬영된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Puros^{(R)}$ 와 다른 여러 가지 골이식재를 혼용한 그룹에비해 $Puros^{(R)}$ 이식재를 단독으로 사용한 그룹에서 더 높은 골흡수 정도를 보였다 (P<0.05). 그리고 수술 방법에 따른 골흡수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골이식과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에 비해 지연된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한 그룹에서 더 높은 골이식재의 부피 변화율을 보였다. 후향적 자료 분석을 통해 $Puros^{(R)}$ 와 다른 여러 가지 골이식재를 혼용한 그룹에 비해 $Puros^{(R)}$ 이식재를 단독으로 사용한 그룹에서 더높은 골흡수 정도를 보였다. 또한 골이식과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에서 지연 식립한 그룹보다 더 낮은 흡수율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