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 failure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3초

Estimation of Lower Jaw Density using CT data

  • Jargalsaikhan, Ariunbold;Sengee, Nyamlkhagva;Telue, Berekjan;Ochirkhvv, Sambuu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6권2호
    • /
    • pp.67-74
    • /
    • 2019
  • Bone density is one of the factors in the early failure of dental implants and doctors should make a preoperative assessment of jaw bone density using patient's CT data before dental implant surgery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patient has osteoporosis and osteopenia.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ethod that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in order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where to drill and place an abutment screw of implants in the jaw bone for doctors and reduce human activity for the estimation of the local cancellous bone density of mandible using CT data.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a computed tomography data of the jaw bone of two different individuals. We assumed that the result of the estimation of jaw bone density depends on the angle of drilling and average HU (Hounsfield Unit) values were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local cancellous bone density of mandibl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been developed a toolbox that can be used to estimate jaw bone density automatically and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ngle of the drill and time complexity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of the drill and time complexity.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of periodontally hopeless teeth: a retrospective study

  • Lee, Eun-Ung;Lim, Hyun-Chang;Lee, Jung-Seok;Jung, Ui-Won;Kim, Ui-Sung;Lee, Seung-Jong;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4권1호
    • /
    • pp.13-1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survival of periodontally hopeless teeth that were intentionally extracted and replanted after a delay and to compare the rad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ival group with those of the failure group. Methods: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from patients who underwent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between March 2000 and July 2010 were reviewed. Twenty-seven periodontally hopeless teeth were extracted and preserv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antibiotics for 10-14 days. The teeth were then repositioned in the partially healed extraction socket and followed for 3 to 21 months. The radiographic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 test and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analyzed using Kaplan-Meier analysis. Results: Seven replanted teeth failed and the overall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66.4%. In the survival group, the amount of bone loss was reduced from 68.45% to 34.66% three months after replantation. There was radiologic and clinical evidence of ankylosis with 5 teeth. However, no root resorption was found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In the failure group, bone formation occurred from the bottom of the socket. However, a remarkable radiolucent line along the root of a replanted tooth existed. The line lengthened and thickened as time passed. Finally, in each case of failure, the tooth was extracted due to signs of inflammation and increased mobility. Conclusions: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has many advantages compared to immediate intentional replantation and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periodontally involved hopeless teeth. However, techniques for maintaining the vitality of periodontal structures on the tooth surface should be developed for improved and predictable results.

상악동저 거상술 시 Osteotome 술식과 Hatch Reamer 술식의 비교평가 (THE COMPARATIVE EVALUATION USING HATCH REAMER TECHNIQUE AND OSTEOTOME TECHNIQUE IN SINUS FLOOR ELEVATION)

  • 조성웅;김상중;이동근;김진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54-161
    • /
    • 2010
  • Many edentulous posterior maxilla are found to be compromised by alveolar resorption and increased pneumatization of the sinus. One of the surgical procedures to overcome this anatomical limitation is sinus floor elevation with bone graft, which is reported as more appropriate and more successful procedure. Commonly, if the residual bone height is over 5mm, sinus floor elevation is operated through transcrestal approach using osteotome technique. But, it is possible for patients to feel discomfort during operation and dizziness after operation while malleting, sinus floor elevation, using osteotome technique. Some instruments and methods has been us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use more easi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etween the surgical procedure of sinus floor elevation using Hatch reamer technique and that of sinus floor elevation using osteotome technique. From 2004 Feb to 2007 Oct, we investigate patients (osteotome group: 72, Hatch reamer group: 70) who were given implant surgery with sinus floor elevation (osteotome group: 92, Hatch reamer group: 98). We analysed gender, age, residual bone height, amount of sinus floor elevation, used graft material, total success rate, failure rate by residual bone height and implant type and discomfort during operation, etc.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amount of sinus elevation was osteotome group was $3.85{\pm}1.02\;mm$ and Hatch reamer group was $3.93{\pm}1.38\;mm$.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2. At the total success rate, osteotome group was 92.4% and Hatch reamer group was 94.9%.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3. On the discomfort during the operation by using numerical rating scale, osteotome group was $2.87{\pm}0.83$ and Hatch reamer group was $1.12{\pm}0.6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The Hatch reamer group clinical results was similar to osteotome group and we thought that Hatch reamer technique can overcome the faults of osteotome technique.

새로운 타이타늄 구성요소를 사용한 내부연결 임플란트용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동적하중 후 나사 제거력 (Removal torque of a two-piece zirconia abutment with a novel titanium component in an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ystem after dynamic cyclic loading)

  • 이주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51-155
    • /
    • 2017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타이타늄 구성요소를 가진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나사 제거력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내부연결 임플란트를 위한 새로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동적하중 후 지대주 나사의 제거력을 기존의 타이타늄 지대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내측연결 임플란트와 타이타늄 지대주, 타이타늄 구성요소를 가진 지르코니아 지대주를 준비하였다. 12개의 내부연결형 임플란트에 6개의 타이타늄 지대주를 연결하고(대조군), 6개의 타이타늄 구성요소를 가진 지르코니아 지대주(실험군)를 30 Ncm의 토크로 연결한 후 동적하중 전후의 나사 제거력을 측정하였다. 동적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하여 연결체의 장축과 30도 각도를 이루도록 하고 300 N 하중크기로 100만번의 하중이 가해졌다. 동적하중 전후의 지대주 나사 제거력을 t검정을 통해 신뢰구간 95%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두 그룹 모두에서 동적하중 후 나사 풀림을 보이지 않았다. 동적 하중 전후의 나사 제거력은 두 그룹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P < .05). 동적 하중 전후의 나사 제거력 차이는 대조군에서 $-7.25{\pm}1.50Ncm$, 실험군에서 $-7.33{\pm}0.93Ncm$ 로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 두 군간에 나사 제거력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5). 결론: 이 실험의 결과에 한하여 타이타늄 구성요소를 사용한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동적하중 후 지대주 나사 제거력의 변화는 타이타늄 지대주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linical Experience of the Dynamic Stabilization System for the Degenerative Spine Disease

  • Lee, Soo-Eon;Park, Sung-Bae;Jahng, Tae-Ahn;Chung, Chun-Kee;Kim, Hyun-Jib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3권5호
    • /
    • pp.221-226
    • /
    • 2008
  • Objective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dynamic stabilization system in the treatment of degenerative spinal diseases.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20 consecutive patients (13 females, 7 males) with a mean age of $61{\pm}6.98$ years (range 46-70) who underwent decompression and dynamic stabilization with the Dynesys system between January 2005 and August 2006. The diagnoses included spinal stenosis with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9/20, 45%), degenerative spinal stenosis (5/20, 25%), adjacent segmental disease after fusion (3/20, 15%), spinal stenosis with degenerative scoliosis (2/20, 10%) and recurrent intervertebral lumbar disc herniation (1/20, 5%). All of the patients completed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The following radiologic parameters 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 global lordotic angles and segmental lordotic angles (stabilized segments, above and below adjacent segments). The range of motion (ROM) was then calculated. Results :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7.25{\pm}5.16$ months (range 16-35 months), and 19 patients (95%) were available for follow-up. One patient had to have the implant removed. There were 30 stabilized segments in 19 patients. Monosegmental stabilization was performed in 9 patients (47.3%), 9 patients (47.3%) underwent two segmental stabilizations and one patient (5.3%) underwent three segmental stabilizations. The most frequently treated segment was L4-5 (15/30, 50%), followed by L3-4 (12/30, 40%) and L5-S1 (3/30, 10%). The VAS decreased from $8.55{\pm}1.21$ to $2.20{\pm}1.70$ (p<0.001), and the patients' mean score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ODI improved from $79.58%{\pm}15.93%$ to $22.17%{\pm}17.24%$ (p<0.00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seen on the ROM at the stabilized segments (p=0.502) and adjacent segments (above segments, p=0.453, below segments, p=0.062). There were no patients with implant failur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ynesys system could preserve the motion of stabilized segments and provide clinical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spinal stenosis with instability. Thus, dynamic stabilization systems with adequate decompression may be an alternative surgical option to conventional fusion in selected patients.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의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 - 예비 보고 -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Endobutton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 Preliminary Report -)

  • 조철현;정구희;신홍관;이영국;박진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5
    • /
    • 2011
  • 목적: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을 시행하고 그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오구 쇄골 인대 손상이 동반된 Neer 제 2형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로 TightRope$^{(R)}$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연속적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오구 쇄골 간격 측정 및 골유합을 판단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ASES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8예 (88.9%)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2.9 (9~16)주였다. 술 후 및 최종 추시 평균 오구 쇄골 간격은 5.6 mm, 6.2 mm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정복의 소실은 없었다 (p>0.05). ASES 점수는 평균 90.3 (78~96)점으로 우수 6예, 양호 2예, 보통 1예였으며, 8예 (88.9%)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초기 정복 소실로 인하여 불유합이 발생하였으며, 보통의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그 외 고정물의 파손 및 감염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TightRope$^{(R)}$ 고정술은 고정물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위 골편의 고정이 어려운 골절에서 안정된 고정을 얻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임플란트 나사에 적용되는 생역학적 원리: 문헌고찰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for the screw of implant prosthesis: A literature review)

  • 임소민;김대곤;박찬진;차민상;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1-68
    • /
    • 2010
  • 연구 목적: 임플란트 보철물의 유지 나사에 적용되는 전하중은 나사를 조임으로써 임플란트와 지대주 사이에 인장력이 발생하면서 나사가 신장되는 힘을 말한다. 이 연구는 전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생역학적 요인들과 나사 풀림에 기여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문헌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981년부터 2009년까지 발표된 나사 풀림을 다룬 임상연구 중 설정한 기준에 합당한 문헌을 요약하여 나사 풀림의 빈도를 밝혔고 나사의 안정성과 전하중에 관한 생역학을 다룬 문헌을 조사하고 요약하였다. 또한, 본 교실에서 연구한 실험실적 결과도 포함시켰다. 결과 및 결론: 나사 풀림의 정도는 나사에 토크를 가하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그 외에도 나사의 재질, 마찰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피복 기술의 발달 및 나사산의 모양 등 전하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고찰하였다. 전하중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나사의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축적되어 피로파절 및 응착 마모, 소성 변형 등을 유발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최적의 전하중을 주기 위해서는 토크 렌치를 이용하고 환자의 재내원시 다시 토크를 가하는 방법 등이 추천된다.

티타늄에 대한 레진과 도재의 결합 강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and porcelain to Titanium)

  • 박지만;김영순;전슬기;박은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6-52
    • /
    • 2009
  • 연구목적: 최근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의 주재료로서 티타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CAD/CAM (computer - 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이 접목되어 티타늄을 절삭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치과 임상에서 점점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다만, 하나의 티타늄괴를 절삭하여 만드는 방법의 특성상 기계적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비드 등을 형성할 수 없고, 통상적인 재료인 금 합금이나 도재용 합금 주조체에 비해 도재와의 결합력도 떨어지는 것이 보완해야 할 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절삭형 티타늄을 이용한 보철물 제작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열중합 의치상 레진, 간접 복합 레진, 도재와 Grade II 순수 티타늄 사이의 결합 강도를 비교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지름 9 mm, 높이 10 mm의 Grade II 순수 티타늄 원통형 시편 37개를 3군으로 나누어 각각 직경 7 mm, 높이 1 mm의 열중합 의치상 레진 (Lucitone 199, DENTSPLY Trubyte, York, USA), 간접 복합 레진 (Sinfony, 3M ESPE, Seefeld, Germany), 도재 (Triceram, Dentaurum, Ispringen, Germany)와 결합시켰다. 시편은 $5-55^{\circ}C$에서 1000회 열순환 처리 후, 범용 시험기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4465, USA)를 이용하여 1 mm/min의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파절된 단면의 양상을 관찰하고 각 군별 파절양상을 조사하였다. 측정값은 one-way ANOVA와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alpha}=0.05$)로 분석하였다. 결과: 열중합 의치상 레진인 Lucitone 199 ($17.82{\pm}5.13\;MPa$)의 결합 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도재인 Triceram ($12.97{\pm}2.11\;MPa$), 복합레진인 Sinfony ($6.00{\pm}1.31\;MPa$) 순으로 감소하였다. Lucitone 199와 Sinfony 군의 파절 양상은 대부분이 부착성 파절인 데에 반해 Triceram 군에서는 복합성 파절이 많았다. 결론: CAD/CAM을 이용한 절삭형 티타늄 구조물 상방에 전장용 심미 재료로는 열중합형 의치상 레진이 가장 강한 결합 강도를 보인다. 기존의 주조체의 유지구 등에서 얻는 강도에 비해 약하고, 부착성 파절이 많은 점 등은 향후 이들 재료와 티타늄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시사한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대퇴 골두내 무혈성 괴사증의 다양한 수술적 기법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A Biomechanical Analysis of Various Surgical Procedures for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

  • 김정성;이성재;신정욱;김용식;최재봉;김양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4-378
    • /
    • 1997
  • Operative procedures such as core drilling with and without fibular bone grafting have been recognized as the treatment methods for osteonecrosis of femoral head(ONFH) by delaying or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femoral head. In addition, core drilling with cementation using polymethylmethacrylate (PMMA) has been proposed recently as another surgical method. However, no definite treatment modality has been found yet while operative procedures remain controversial to many clinicians In this study, a finite element method(FEM) was employed to analyze and compare various surgical procedures of ONFH to provide a biomechanical insight. This study was based upon biomechanical findings which suggest stress concentration within the femoral head may facilitate the progression of the necrosis and eventual collapse. For this purpose, five anatomically relevant hip models were constructed in three dimensions : they were (1) intact(Type I), (2) necrotic(Type II), (3) core drilled only(Type III), (4) core drilled with fibular bone graft(Type IV), and (5) core drilled with cementation(Type V). Physiologically relevant loading were simulated. Resulting stresses were calculate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volumetric percentage subjected to high stress in the necrotic cancellous region was greatest in the core drilled only model(Type III), followed by the necrotic(Type II), the bone graft (Type IV), and the cemented(Type V) models. Von Mises stresses at the tip of the graft(Type IV) was found to be twice more than those of cemented core(Type V) indicating the likelihood of the implant failure. In addition, stresses within the cemented core(Type V) were more evenly distributed and relatively lower than within the fibular bone graft(Type IV). In conclusion, our biomechanical analys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bone graft method(Type IV) and the cementation method(Type V) are both superior to the core decompression method(Type III) by reducing the high stress regions within the necrotic cancellous bone. Also it was found that the core region filled with PMMA(Type V) provides far smoother transfer of physiological load without causing the concentration of malignant stresses which may lead to the failure than with the fibular bone graft(Type IV). Therefore,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along with the degree of difficulties and risk of infection involved with preparation of the fibular bone graft, the cementation method appears to be a promising surgical treatment for the early stage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 PDF

치과 임플란트에서 기성 지대주와 맞춤형 지대주의 응력분석 및 피로파절에 관한 연구 (Stress Analysis and Fatigue Failure of Prefabricated and Customized Abutments of Dental Implants)

  • 김희은;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3
    • /
    • 2013
  • 하악 제 1대구치에 티타늄과 지르코니아 소재의 기성 지대주와 맞춤형 지대주를 이용해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수복한 경우를 3차원 유한요소법을 통해 응력 분포를 분석해 보고, 피로 파절 강도 및 파절 형태를 고찰해 보았다. 정상교합자의 CT scan을 재구성한 하악골 모형상에 제 1대구치 임플란트 지지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수복한 6가지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고, 협측 교두 중앙에 수직과 30도 각도로 100 N의 하중을 가하는 조건으로 응력분포를 분석하였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지대주를 이용하여, 군당 10개의 시편을 제작하고, ISO 14801에 따라 피로파절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대주나 고정체의 재질에 따른 응력분포의 차이는 없었고 형태에 따른 응력크기의 차이만 보였다. 맞춤형 지대주 군이 전반적으로 낮은 크라운 응력을 나타내었으며, 지대주 일체형 지르코니아 임플란트는 계면 골조직의 응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피로수명의 평균값은 7군이 가장 높았고, 1군, 2군, 3군의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기성 지대주 군은 피로수명의 편차가 적게 나타났다. 구치부의 임플란트 수복 시에는 맞춤형 지대주의 사용이 상부 보철물의 파절저항성 향상에 유리하며, 심미적 요구도가 높은 경우에는 고정체와의 접합부를 티타늄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맞춤형 지대주의 사용을 고려해 볼 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