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ophenotyp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eline endometrial mesenchymal stem cells

  • Mi-Kyung Park;Kun-Ho So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31.1-31.8
    • /
    • 2024
  • Background: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stem cells for human medicine. Limited feline endometrial mesenchymal stem cell (fEM-MSC) research in veterinary medicine necessitates reporting for future feline disease research and therapy.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solate fEM-MSCs from feline endometrial tissues and evaluate their morphology, proliferative ability, differentiation ability, and immunophenotype. Methods: Feline endometrial tissues were obtained from the ovariohysterectomies of healthy cats and isolated using an enzymatic method. The morphology and proliferative ability of the isolated cells were assessed using a doubling time (DT) assay from passages 3 to 6 (P3 - P6). We measured pluripotency gene expressions of cells in P2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To investigate MSC characteristics, a trilineage differentiation assay was conducted in P4, and cells in P4 were immunophenotyped using flow cytometry. Results: fEM-MSCs showed a typical spindle-shaped morphology under a microscope, and the DT was maintained from P3 to P6. fEM-MSCs could differentiate into adipocytes, osteoblasts, and chondrocytes, and expressed three pluripotency markers (OCT4, SOX2, and NANOG) by qRT-PCR. Immunophenotypic analysis showed that the fEM-MSCs were CD14 -, CD34 -, CD45 -, CD9+, and CD44+.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feline endometrium was a novel source of MSCs, an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isol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fEM-MSCs.

세포병리학적 기초에 의한 암진단의 발전: 진단방법과 보조기법 (Recent Advances in Cancer Diagnosis: On an Overview of Diagnostic Cytopathologic Modalities and Ancillary Techniques)

  • 김기태;함의근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1
    • /
    • 1996
  • 19세기말과 20세기초에 각각 비르효와 파파니콜로에 의해 명료하게 된 세포 병리학과 탈락세포학의 개념에서 오늘날의 암진단의 일차적인 방법이 발전해 왔다. 파파니콜로의 탈락세포학의 개념에서 1960년대 초반에 세침흡인 세포검사가 개발되었다. 이 세침흡인 세포검사는 주된 진단방법이 되어져, 절개생검을 감소하게 하고 의료비용의 효과적인 이용에 공헌하였다. 1980년대에는 면역생화학적 기술들이 암 진단에 보충역활을 하게 되었다. 단 클론 항체를 이용하는 면역과산화효소법이 먼저 암의 본성을 밝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쓰여졌다. 특정 단클론 항체들이 이용가능하게 되어 세포산물이나 표면 표지자들을 인지하는 것을 훨씬 용이하게 하였다. 예를 들면 중간세사에 대한 항체들이 분화가 나쁜 종양의 조직기원을 결정하는데 가치가 있는 것이 증명되었다. 종양표지자들은 종양존재의 생화학적 표시자로 이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종양표지자들은 혈장이나 다른 체액들에서 검출할 수 있다. 이 종양표지자들을 농출한 것을 진단적 검사에 이용하여 이미 진단된 암의 임상 경과를 추적하고 암 발생의 위험이 있는 집단에서 특정 종양을 발견해 내기 위한 선별검사로써 이용할 수 있다. 유세포 검사는 백혈병이나 림프종 세포들의 면역표현형을 알아내고, 종양세포들의 DNA함유량을 알아내며, 세포증식율을 알아내는 등의 몇가지의 세포의 특성을 분류해내는데 유용한 도구이다. 분자생물학적 방법들은, 암 환자를 진료하는데 있어 진단, 예후평가 및 치료 등의 분야에서 일보 전진하게 하였다. 핵산교잡법이 Southern blots, Nothern blot, Dot blot 및 in situ hybridization으로 이용된다. 분자생물학 및 그 기술이 암종 생물학을 이해하고 유전자 조작을 기초로한 치료법을 계획하는데 밝은 새로운 지평선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양측성 고형질화 음영을 보인 무증상의 기관지-관련 림프양 조직의 저등급 B-세포 원발성 폐 림프종 1례 (A Case of Primary Pulmonary Low-grade B-cell Lymphoma of Bronchus-associated lymphoid tissue with Bilateral Consolidation and Indolent Clinical Course)

  • 김양기;김철;전진;전기원;김동원;이동화;홍대식;박희숙;어수택;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1073-1081
    • /
    • 1998
  • 원발성 폐 림프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서 대부분이 BALT기원의 저등급 B-세포 림프종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원발성 폐 림프종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보고예가 많지는 않으나 대부분이 T-세포형 림프종이었다. 임상적인 측면에서, T-세포 림프종이 진단당시 진행된 형태로 발견되어 예후가 극히 불량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저등급 B-세포 림프종은 비교적 예후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저자 등은 진단후 1년간의 추적 관찰기간 동안 무통성의 만성적인 임상경과를 보이는 비교적 예후가 좋은 저등급 B-세포 원발생 폐 림프종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T-Cell Immunoglobulin Mucin 3 Expression on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as a Positive Prognosticator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 Byun, Kyung Do;Hwang, Hyo Jun;Park, Ki Jae;Kim, Min Chan;Cho, Se Heon;Ju, Mi Ha;Lee, Jin Hwa;Jeong, Jin Sook
    • Journal of Breast Cancer
    • /
    • 제21권4호
    • /
    • pp.406-414
    • /
    • 2018
  • Purpose: T-cell immunoglobulin and mucin domain-containing molecule 3 (TIM-3) is an emerging immune response molecule related to T-cell anergy. There has been tremendous interest in breast cancer targeting immune checkpoint molecules, especially in the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IM-3 expression on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s), its relationships with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and expression of programmed death receptor 1 (PD-1)/programmed death receptor ligand 1 (PD-L1), and its prognostic role. Methods: Immunohistochemistry on tissue microarray blocks produced from 109 samples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type TNBC was performed with antibodies toward TIM-3, PD-1, PD-L1 and breast cancer-related molecular markers. Associations between their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as well as survival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IM-3 was expressed in TILs from all 109 TNBCs, consisting of 17 cases (<5%), 31 cases (6%-25%), 48 cases (26%-50%), and 13 cases (>51%). High TIM-3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younger patients (p=0.0101), high TILs (p=0.0029), high tumor stage (p=0.0018), high PD-1 (p=0.0001) and high PD-L1 (p=0.0019), and tended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histologic grade, absence of extensive in situ components and microcalcification. High TIM-3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combinational immunophenotype group of high PD-L1 and high PD-1 (p<0.0001). High TIM-3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better disease-free survival (DFS) (p<0.0001) and longer overall survival (OS) (p=0.0001), together with high TILs and high PD-1. In univariate survival analysis, high TIM-3 showed reduced relapse risk (p<0.0001) and longer OS (p=0.0003), together with high PD-1 expression. In multivariate analysis, high TIM-3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prognosis, showing better DFS (hazard ratio [HR], 0.0994; 95% confidence interval [CI], 0.0296-0.3337; p=0.0002) and longer OS (HR, 0.1109; 95% CI, 0.0314-0.3912; p=0.0006).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TIM-3 expression is an independent positive prognostic factor in TNBC, despite its association with poor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급성림프구성백혈병 환아의 관해유도 치료 중 덱사메타손 투여기간의 단축이 관해유도율 및 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hortened dexamethasone administration on remission rate and potential complications during remission induction treatment for pediatric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이재욱;이광희;권영주;이대형;정낙균;정대철;조빈;김학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2호
    • /
    • pp.1217-1224
    • /
    • 2007
  • 목 적 : 소아 ALL 관해유도 시 스테로이드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약제로 덱사메타손은 프레드니솔론에 비해 항백혈병 효과가 우수하지만 감염, 혈당 불내성, 골 괴사 등의 합병증의 가능성도 높다. 본원에서는 백혈병 세포에 대한 높은 항암효과를 고려하여 관해유도 시 덱사메타손을 사용했지만 이 약제에 의한 합병증 감소를 위해 2005년부터 시행한 치료지침(CMCPL-2005)에는 덱사메타손의 투여기간을 총 4주에서 3주로 일주일 단축해서 투여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수정한 치료지침의 관해유도율 및 주요 합병증 발생률을 기존지침(CMCPL-2001)의 성적과 비교 분석하기로 하였다. 방 법 :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소아과에서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ALL로 진단 받은 환아들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2001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기간 동안 ALL을 진단받은 환아들은 CMCPL-2001지침 하에 관해유도를 받았고 2005년 이후에 진단받은 환아들은 CMCPL-2005지침 하에 관해유도를 받았다. 대상 환아에 대한 기초자료로 나이, 성별, 진단 시 백혈구 수, 면역표현형, 세포유전학적 특징, 그리고 위험군 분류에 대해 조사하였다. 각 CMCPL-2001 및 CMCPL-2005군의 전처치 기간 동안의 스테로이드 투여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고 관해유도 결과를 분석하였다. 관해유도를 위해 입원한 기간 동안 발생한 감염, 간독성, 신경계, 위장관계, 내분비계 합병증 등은 NCI 독성 기준분류를 토대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총 141명이 CMCPL-2001지침으로, 88명이 CMCPL- 2005지침으로 관해유도를 받았다.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10세 이상 환아, 예후 불량인자에 포함되는 염색체전위가 CMCPL-2005군에 유의하게 많았다. CMCPL-2001군에서는 총 132례(94%), CMCPL-2005군에서는 81례(92%)가 전처치 스테로이드에 양호한 반응을 보여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관해유도 치료 후 시행한 골수검사에서도 CMCPL-2001군에서는 136례(96%), CMCPL- 2005군에서는 82례(93%)가 완전관해를 보여 동등한 치료성적을 보였다. CMCPL-2005군이 신경계, 위장관계, 심혈관계 등의 스테로이드와 연관된 합병증 없이 관해유도를 받을 확률이 CMCPL- 2001군보다 높았지만 감염성 합병증과 같은 중증합병증에 대해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소아 ALL의 관해유도 치료지침에서 덱사메타손의 투여를 일주일 단축해도 기존의 4주간 스테로이드 투여방법과 동등한 관해 유도율을 확인하였으나 감염성 합병증 등 스테로이드 투여와 연관된 합병증의 감소는 없었다.

비/비인강 비호즈킨 림프종의 임상양상과 예후 인자 : 면역 표현형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in 41 Patients of Primary Nasal/Nasopharyngeal Non-Hodgkin's Lymphoma: Prognostic Significance of Immunophenotype)

  • 박순서;서철원;박종범;박지운;임소덕;허주령;남순열;김상윤;이호규;장혜숙;김태원;이제환;김성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9-155
    • /
    • 1999
  • Objectives: To study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primary nasal/nasopharyngeal non-Hodgkin's lymphomas and to evaluate the implication of immunophenotyping as a prognostic factor. Patient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0 to December 1997,41 patients(median age, 41 years) of primary nasal/nasopharyngeal non-Hodgkin's lymphoma were studied. The clinical records and paraffin-embedded tissue block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histologic features, immunophenotypic findings(pan-T, pan-B, CD3, CD56) and Epstein-Barr virus in situ hybridizatios were examined. The prognostic factors for clinical outcome were evaluated in these patients. According to Ann-Arbor system, there were 30 patiets(73%) with stage IE, 4(10%) with stage IIE, 3(7%) with stage IIIE, 4(10%) with stage IVE lymphoma. Among the patients with stage IE/IIE, 4 patients received local radiation alone, 4 received chemotherapy alone, 25 received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1 refused treatment. The patients with stage IIIE/IVE were given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Results: Immunophenotyping were performed in 40 patients and staining results were as follows: 3(7%) patients with B cell, 17(42%) with T cell, 18(44%) with NK/T cell(CD56 positive), and two patients with unclassifiable result. Epstein-Barr(EB) virus in situ hybridization were performed in 28 patients and 23(82%) patients had positive EBV-encoded RNAs(EBERs). 21(55%) patients achieved a complete remis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mplete remission between radiation alone and combination therapy. With median follow-up of 30 months, 5-years disease free survival of complete responders was 60% and 5-years overall survival rate was 36%.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better overall survival was related with absence of B symptoms, ECOG performance${\leq}1$ and non-NK cells. Conclusion: Most of all cases were positive for EBER. Since NK/T phenotype carried the worst prognosis, analysis for CD56 expression should be done. Further prospective studies were warranted to evaluate the role of chemotherapy in stage IE/IIE.

  • PDF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제2기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p53과 Bax의 발현과 임상적 의의 (Evaluation of p53 and Bax Expression as Prognostic Markers in Invasive Cervical Carcinoma Stage IIB Patient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 최석진;김헌정;송은섭;김창영;이미조;김우철;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98-105
    • /
    • 2005
  • 목적 : 진행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bax와 p53의 발현 빈도를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예후인자로서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덜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96년 6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FIGO stage IIb의 자궁 경부암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관찰된 bax와 p53의 발현과 환자의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환자 65명에 대한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65.1\%$$62.9\%$였다. p53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은 $26.2\%$의 발현을 보였으며, 음성 환자 군과 양성 환자 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6.6\%$$61.1\%$ (p=0.176)였으나, 무병생존율은 각각 $72.1\%$$50.9\%$ (p=0.027)로 단변량분석에서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 면역염색에 대한 bax의 발현은 $52.3\%$에서 양성을 보였으며, 음성 환자 군과 양성 환자 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8.8\%$$63.6\%$ (p=0.726)였으며, 무병생존율은 각각 $68.1\%$$64.1\%$ (p=0.505)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p53 단백의 발현과 bax의 발현이 생존율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ps3+/bax-의 면역화학염색 결과를 보인 9명의 환자에서 의미 있는 가장 낮은 무병생존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p53과 bax의 발현은 단독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유의성을 가지는 예후인자로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p53과 bax의 발현을 동시에 평가할 경우 유용한 예후 인자로서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