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ipramine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초

Amitriptyline과 Imipramine이 호중구에서의 Superoxide 생성, Myeloperoxidase 유리, Leukotriene $B_4$생성과 칼슘 동원에 나타내는 영향 (Effects of Amitriptyline and Imipramine on Superoxide Generation, Myeloperoxidase Release, Leukotriene $B_4$ in Human Neutrophils)

  • 신용규;이정수;이광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3-133
    • /
    • 1995
  • 삼환계 항우울제들은 calmodulin 억제 작용을 갖고 있으며, 칼슘 유입, 산화성 인산화 반응 및 ATPase 활성도를 억제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사람 호중구에서의 기능 표현에 대한 효과는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amitriptyline, imipramine과 doxepine이 superoxide와 $H_2O_2$ 생성, myeloperoxidase 유리, leukotriene $B_4$ 생성과 세포내 칼슘의 상승에 나타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변성된 IgG에 의하여 활성화된 호중구에서 superoxide와 $H_2O_2$ 생성은 amitriptyline, imipramine과 doxepine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EDTA, EGTA, verapamil과 bepredil은 superoxide 생성을 억제하였다. Chlorpromazine, trifluoperazine, staurosporine 및 H-7 또한 superoxide 생성을 억제하였다. PMA에 의한 superoxide 생성은 amitriptyline, imipramine과 doxepine, chlorpromazine과 H-7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Amitriptyline, imipramine, chlorpromazine과 trifluoperazine은 변성된 IgG에 의한 myeloperoxidase 유리를 억제하였다. 변성된 IgG에 의하여 활성화된 호중구에서 $LTB_4$와 5-HETE 형성은 amitriptyline, imipramine과 doxepine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변성된 IgG에 의한 세포내 칼슘의 증가는 amitriptyline, imipramine, doxepine, chlorpromazine과 EGTA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verapamil은 세포내 칼슘의 증가를 약간 억제하였으나 H-7은 세포내 칼슘의 증가에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변성된 IgG에 의하여 활성화된 호중구에서의 respiratory burst, myeloperoxidase 유리와 LTB, 생성에 대한 amitriptyline, imipramine과 doxepine의 억제효과는 칼슘동원, calmodulin과 protein kinase C의 억제에 기인할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어린이의 일차성 단일 증상성 야뇨증에서 Imipramine과 Desmopressin 복합 약물치료의 효과 및 안전성 (Efficacy and Safety during the Combination Therapy of Imipramine and Desmopressin in Primary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

  • 여지현;최정연;정효석;이경수;고철우;김교순;김기혁;김정수;남궁미경;박영서;배기수;유기환;박용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2호
    • /
    • pp.129-137
    • /
    • 2004
  • 목적: 일차성 야뇨증에 여러 가지 치료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mipramine와 desmopressin 등의 약물요법은 치료효과가 빠르고 비교적 양호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효과가 매우 다양하고 때로는 약물에 의한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어렵게 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약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에 비하여 복합투여 할 경우에 치료 효과와 안정성을 비교 평가하여 보다 나은 야뇨증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4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내원한 5-l5세 사이의 환자로서 1) 일차성 단일성 야뇨증, 2) 주 2회 이상의 야뇨증, 3) 5세 이상의 연령, 4) 비뇨기과적 이상이 없고, 5) 정신적 또는 신경학적인 증상이 없으며, 6) 내분비 질환이 없고, 7) 최근 2개월 동안 야뇨증 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환아로서, 8) 부모의 동의를 받은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건을 만족하는 환자들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imipramine 단독투여군, desmopressin 단독투여군과 imipramine과 desmopressin 복합투여군의 3군으로 나누어 야뇨횟수, 부작용과 약물 중단 후 1개월 후 야뇨증 빈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들은 남, 녀 각각 78명과 90명이며, 5-10세가 119명이었고 11-16세는 49명이었다. 치료 시작 4주 이후에서부터 모든 군에서 유의하게 야뇨 횟수가 감소하였다. 치료 종료 시의 imipramine 단독투여군, desmopressin 단독투여군과 imipramine과 desmopressin 복합투여군의 치료율은 각각 68.6%, 74.4%와 86.1%로서 imipramine와 desmopressin 복합투여군의 치료율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치료 종료 후 4주의 야뇨 빈도는 imipramine 단독투여군은 주당 1.9회, desmopressin 단독투여군은 1.3회이고 imipramine와 desmopressin 복합투여군은 1.0회로 세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물에 의한 부작용은 imipramine 단독투여군은 20명, desmopressin 단독투여군은 12명, imipramine와 desmopressin 복합투여군13명에서 총 45례에서 나타났는데 이중 imipramine 투여로 인한 식욕 감퇴가 가장 많았다. 결론: 일차성 단일 증상성 야뇨증 치료를 위한 imipramine 단독용법, desmopressin 단독요법, imipramine과 desmopressin 복합요법의 치료효과와 단기간 동안 관찰한 재발 빈도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어서, 두 약제의 복합요법이 desmopressin 단독 요법에 비해 치료효과, 재발정도와 부작용 빈도에서 차이가 없어 치료 효율성의 우월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약물 부작용 발생은 imipramine 단독요법이 다른 치료 방법에 비해 발생 빈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imipramine 단독요법을 할 때에는 부작용 발생유무를 유의해서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흰쥐 적출 방광 배뇨근의 수축성에 대한 Imipramine의 작용과 Calcium동원 기전과의 관계 (Mechanism of Inhibitory Effect of Imipramine on Isolated Rat Detrusor Muscle in Relation to Calcium Modulation)

  • 이종범;유계준;하정희;권오철;이광윤;김원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1-89
    • /
    • 1992
  • 항우울제에 속하는 imipramine은 유뇨증에 대한 치료제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Imipramine이 유뇨증 치료제로서의 명백한 치료효과를 보이기는 하나, 그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다. 그 중 가장 유력한 설은 말초성 자율신경에 대한 작용으로서 무스카린성 길항작용과 교감신경말단에서의 catecholamine 재섭취 방해작용 및 직접적인 방광근 이완 작용 등이 제시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방광 평활근에 대한 직접작용에 칼슘 이동 억압 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되고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흰쥐의 적출방광 배뇨근 절편을 사용하여 imipramine의 항유뇨작용과 calcium동원과의 관련성을 추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배뇨근 절편은 전기장자극에 의해 주파수의존적으로 수축하였는데, 이 전기장자극 유발 수축반응은 imipramin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고농도에서는 완전히 소실되었으나, atropine에 의해서는 고농도에서도 소실되지 않았다. 2. Imipramine은 자발수축 및 기본 장력에 대하여 이들을 농도 의존적인 양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 억제작용은 diltiazem에 의한 억제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atropine은 배뇨근절편의 기본장력이나 자발수축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3. $^*Imipramine$은 bethanechol 유발수축과 adenosine triphosphate (ATP) 유발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압하였다. 4. Imipramine은 칼슘배제용액에서 칼슘 첨가에의한 수축성의 회복을 억제하였는데, 이러한 작용은 diltiazem보다 그 효력이 낮았으나 그 작용양상은 유사하였다. 5. Imipramine에 의해 감소되었던 배뇨근절편의 기본장력은 calcium ionophore인 A23187에 의해 회복되었다. 칼슘배제 영양액에 장시간 노출됨으로써 기본장력은 소실되었으며, imipramine을 전처치한 경우는 A23187첨가에 의해 장력이 회복되지 않았으나, 세포내칼슘 유리억제제인 trimethoxybenzoic acid 8-(diethylamino)octyl ester [TMB-8]을 전처치한 경우 A23187은 배뇨근의 기본장력을 현저히 회복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imipramine의 배뇨근 수축 억제작용의 기전에는 무스카린성 및 퓨린성 수용체봉쇄작용도 관여하나, 주된 기전은 평활근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세포외 칼슘의 유입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Imipramine on Calcium Utilization of Single Cells Isolated from Canine Detrusor

  • Shim, Ho-Shik;Choi, Hyoung-Chul;Jeong, Young-Sook;Kim, Jong-Ho;Lee, Kwang-Youn;Sohn, Uy-Dong;Ha, Jeoung-Hee;Kim, Won-J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3권4호
    • /
    • pp.439-445
    • /
    • 1999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inhibitory effect of imipramine on the calcium utilization in single cells isolated from canine detrusor. 2 mm thick smooth muscle chops were incubated in 0.12% collagenase solution at $36^{circ}C,$ and aerated with 95% $O_2/5%\;CO_2,$ and then cell suspension was examined. Acetylcholine (ACh) evoked a concentration-dependent contraction of the isolated detrusor cells in normal physiologic salt solution (PSS), and the ACh-induced contrac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imipramine. In $Ca^{2+}-free$ PSS, ACh-induced contraction was less than those in normal PSS and it was not affected by the pretreatment with imipramine. $Ca^{2+}-induced$ contraction in $Ca^{2+}-free$ PSS was supressed by imipramine, but addition of A 23187, a calcium ionophore, overcomed the inhibitory effect of imipramine. High potassium-depolarization (40 mM KCl) evoked cell contraction, which was inhibited by imipramine. Caffeine, a releasing agent of the stored $Ca^{2+}$ from sarcoplasmic reticulum, evoked a contraction of the cells that was not blocked by the pretreatment with imipram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ipramine inhibits the influx of calcium in the detrusor cells through both the receptor-operated- and voltage-gated-calcium channels, but does not affect the release of calcium from intracellular storage site.

  • PDF

개의 적출방광 평활근에서 Imipramine과 $K^+$ 통로 봉쇄제와의 상호작용 (Interaction of Imipramine and $K^+$ Channel Blockers on Detrusor Muscle Strips Isolated from Canine Urinary Bladder)

  • 허준영;최은미;최형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5-206
    • /
    • 1995
  • The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involvement of $K^+$ channels in the mechanism of relaxant-action of imipramine on the isolated canine detrusor muscle strips. Canine urinary bladder were isolated, and smooth muscle strips of 15 mm long and 2 mm wide from the mid-portion of anterior wall were made in the Tyrode solution of $0{\sim}4^{\circ}C$. The strips were prepared for isometric myography in Biancani's isolated muscle chamber containing 1 ml of Tyrode solution, which was maintained with pH 7.4 by aeration with $95%\;O_2/5%CO_2\;at\;37^{\circ}C$. RP 52891, a non-specific $K^+$ channel opener, concentration-dependently suppressed the spontaneous phasic contractions of the detrusor strips. Imipramine, a tricyclic antidepressant, also reduced the spontaneous contraction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RP 52891 was more potent than imipramine(p<0.05), and Imipramine was more efficient than RP 52891(p<0.05).Procaine, a voltage-dependent $K^+$ channel blocker, glibenclamide, an ATP-dependent $K^+$ channel blocker, and apamin, a calcium-dependent $K^+$ channel blocker antagonized the relaxant effect of RP 52891, but not of imipramine. Imipramine reduced the electric field stimulation (EFS) -induced contractions concentration-dependently. None of the $K^+$ channel blockers employed for this study, procaine, glibenclamide or apamin antagonized the inhibitory action of imipramine on the EFS-induced cont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canine detrusor, the $K^+$ channels of the characteristics of voltage-dependent, ATP-dependent and/or calcium-dependent are exist, and the inhibitory action of imipramine on the contractility of the detrusor is independent from the $K^+$ channels.

  • PDF

뇌척수제거 흰쥐에서 Clonidine효과에 미치는 Imipramine의 영향 (The Influence of Imipramine on the Effect of Clonidine in Pithed Rats)

  • 강성철;이원석;임병용;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14
    • /
    • 1984
  • 뇌척수제거 흰쥐에서 clonidine정맥주사에 의한 확장기 혈압상승작용(postsynaptic action)과 전기자극으로 야기된 빈맥의 심막충수 감소작용(presynaptic inhibitory action)에 대하여 ${\alpha}_1-$${\alpha}_2-adrenoceptor$ 길항제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삼환계 항우울약물인 imipramine을 단회 및 장기 투여하였을 때 clonidine에 의한 두 작용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Clonidine의 혈압상승효과는 phentolamine이나 piperoxan 전처치에 의하여 길항되었으나, prazosin 전처치에 의하여는 길항되지 아니하였다. 2) Clonidine의 빈맥에 대한 억제작용은 prazosin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으나, phentolamine 및 piperoxan 전처치에 의하여는 길항되었다. 3) Clonidine에 대한 혈압상승반응은 imipramine(20 mg/kg) 단회 및 장기 투여에 의하여 차단되었으며, 전자에서 보다 후자에서 더 현저하였다. 4) 빈맥에 대한 clonidine의 억제작용은imipramine단회 및 장기 투여에 의하여 모두 차단되었고, 양자간 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presynaptic ${\alpha}_2-adrenoceptor$는 imipramine 단회 투여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장기 투여에 의하여는 pre- 및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 둘 다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presynaptic ${\alpha}_2-adrenoceptor$의 감수성 저하가 삼환계 항우울제의 직접적인 작용기전일 것이라는 증거를 제시하기는 어렵다고 암시된다.

  • PDF

Imipramine Inhibits A-type Delayed Rectifier and ATP-Sensitive $K^{+}$ Currents Independent of G-Protein and Protein Kinase C in Murine Proximal Colonic Myocytes

  • Choi, Seok;Parajuli, Shankar Prasad;Lim, Geon-Han;Kim, Jin-Ho;Yeum, Cheol-Ho;Yoon, Pyung-Jin;Jun, Jae-Yeou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11호
    • /
    • pp.998-1005
    • /
    • 2006
  • The effects of imipramine on A-type delayed rectifier $K^{+}$ currents and ATP-sensitive $K^{+}\;(K_{ATP)$ currents were studied in isolated murine proximal colonic myocytes using the whole-cell patch-clamp technique. Depolarizing test pulses between-80 mV and +30 mV with 10 mV increments from the holding potential of-80 mV activated voltage-dependent outward $K^{+}$ currents that peaked within 50 ms followed by slow decreasing sustained currents. Early peak currents were inhibited by the application of 4-aminopyridine, whereas sustained currents were inhibited by the application of TEA. The peak amplitude of A-type delayed rectifier $K^{+}$ currents was reduced by external application of imipramine. The half-inactivation potential and the half-recovery time of A-type delayed rectifier $K^{+}$ currents were not changed by imipramine. With 0.1 mM ATP and 140 mM $K^{+}$ in the pipette and 90 mM $K^{+}$ in the bath solution and a holding potential of -80 mV, pinacidil activated inward currents; this effect was blocked by glibenclamide. Imipramine also inhibited $K_{ATP}$ currents. The inhibitory effects of imipramine in A-type delayed rectifier $K^{+}$ currents and $K_{ATP}$ currents were not changed by guanosine 5-O-(2-thiodiphosphate) ($GDP{\beta}S$) and chelerythrine, a protein kinase C inhibi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ipramine inhibits A-type delayed rectifier $K^{+}$ currents and $K_{ATP}$ currents in a manner independent of G-protein and protein kinase C.

Neural Adaptation of Beta Adrenergic Receptor Subtypes after Chronic Imipramine Treatment: A Quantitative Autoradiographic Study

  • Park, Hae-Young;Hong, Young-Sook;Park, Chan-Wo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2호
    • /
    • pp.161-167
    • /
    • 1997
  • This study compares the subtypes of central beta adrenergic receptors (ARs) of brains of untreated rats with those of imipramine-treated rats. Beta adrenergic receptors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autoradiography of the binding of $^3H$-dihydroalprenolol ($^3H$-DHA) in coronal sections of rat brain. Repeated treatment of rats with imipramine significantly reduced the binding of $^3H$-DHA to beta-1 AR in many brain areas, especially throughout the cerebral cortex, hippocampus, thalamus, and amygdala. Significant reductions of the binding of $^3H$-DHA to beta-2 AR were not found in any area of the brain. These data suggests that a selective down-regulation of beta-1 AR may be involved in the adaptive changes occurring after prolonged imipramine treatment.

  • PDF

Depression of $Ca^{2+}$ Influx in Complement C5a-stimulated Neutrophils by Calmodulin Inhibitors

  • Ham, Dong-Suk;Kim, Hyun-Ho;Han, Eun-Sook;Lee, Chung-S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1호
    • /
    • pp.109-117
    • /
    • 1998
  • Role of $Ca^{2+}$/calmodulin complex in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in neutrophils has not been clearly elucidated. In this study, effects of chlorpromazine, trifluoperazine and imipramine on the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including $Ca^{2+}$ influx, in C5a-activated neutrophils were investigated. Complement C5a- stimulated superoxide production and myeloperoxidase release in neutrophils were inhibited by chlorpromazine, trifluoperazine and imipramine, except no effect of imipramine on myeloperoxidase release. A C5a-elicited elevation of [$Ca^{2+}$]i in neutrophils was inhibited by chlopromazine, trifluoperazine, imipramine, staurosporine, genistein, EGTA, and verapamil but not affected by pertussis toxin. The intracellular $Ca^{2+}$ release in C5a-activated neutrophils was not affected by chlorpromazine and imipramine. Chlorpromazine and imipramine inhibited $Mn^{2+}$ influx by C5a-activated neutrophils. Thapsigargin-evoked $Ca^{2+}$ entry was inhibited by chlorpromazine, trifluoperazine, imipramine, genistein, EGTA and verapamil, while the effect of staurosporine was not detected. The results suggest that $Ca^{2+}$/calmodulin complex is involved in the activation process of neutrophils. The depressive action of calmodulin inhibitors on the elevation of cytosolic $Ca^{2+}$ level in C5a-activated neutrophils appears to be accomplished by inhibition of $Ca^{2+}$ influx from the extracellular medium.

  • PDF

Imipramine이 배뇨근 세포의 수축성에 미치는 직접작용 (Effect of Imipramine on the Contractility of Single Cells Isolated from Canine Detrusor)

  • 허찬욱;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93-302
    • /
    • 1994
  • 유뇨증의 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imipramine의 작용기전에 관한 학설이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 중 콜린성수용체 봉쇄작용을 관찰하기 위한 방법으로 평활근 세포를 분리배양하여 단일세포에 대한 acetylcholine의 수축작용과 이에 대한 imipramine의 길항작용을 atropine의 그것과 비교해 보기로 하였다. 개의 방광을 적출하여 $0{\sim}4^{\circ}C$의 K-H 용액내에서 $2{\times}2mm$크기의 평활근 절편을 얻어 $36^{\circ}C$의 collagenase 용액에 넣고 95%/5% $O_2/CO_2$, 혼합산소 공급하에서 17~20분동안 배양하여 분리된 부유세포군을 5 ml test tubes에 나누어 담고 acetylcholine을 $10^{-14}M{\sim}10^{-9}M$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Acrolein 1%를 가하여 수축한 세포를 고정시킨 후, 위상차 현미경에 장착한 CCTV camera로 채취한 영상을 microscaler로 전송하고 monitor상에서 세포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분리된 세포들은 acetylcholine에 의해 5초 이내에 최대 수축을 보였으며 이후 120초까지 수축상태를 지속하였다. Atropine은 acetylcholine 유발 수축을 atropine $10^{-7}M$ 에서부터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imipramine도 acetylcholine 유발수축을 atropine과 같은 경향으로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는데, imipramine $10^{-9}M$의 저농도에서도 유의한 억제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실험에 사용된 조건하에서의 collagense를 이용한 세포 분리법은 단일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을 위하여 가용한 방법이며, imipramine은 개의 방광평활근 단일세포에서 atropine보다 더 강력한 콜린성 수용체 봉쇄작용을 나타낸다고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