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inary ego-imag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상상적 자아이미지와 패션스타일 - 여성의 퍼스널 패션블로그를 중심으로 - (Imaginary Ego-image and Fashion Styles represented in the Social Media - Focusing on women's personal fashion blogs -)

  • 서성은;김민자
    • 복식
    • /
    • 제64권7호
    • /
    • pp.128-142
    • /
    • 2014
  • In the new media age, the importance of personal style is highlighted, as the fashion recipients independently create their own images by transforming and recombining the fashion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fashion blogs -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social network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and styles of imaginary ego-images represented on the personal fashion blogs as a new space of self-expression, based on Lacan's gaze; the imaginary of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ego-concept. According to literature search, the imaginary ego-image is classified as narcissism, regression, identification, and virtuality. In the case study, Narcissism is represented mostly as bloggers' satisfaction and beliefs about their fashion styles. The degeneration represents childhood images including a mother, as well as retro and vintage images that recreate the fashions of bygone eras - such as medieval, $19^{th}$ or 20th century fashion. Identification is the connection with the various areas of culture and art, especially movies and music. Virtuality represents hypothetical situations of mythical, fairy tale-like, surreal, or dreamlike atmospheres and hypothetical bodies that appear removed, disassembled, or crooked. The imaginary ego-images emerged on the personal fashion blogs are also classified into specific style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the ego images-such as kidult style, retro style, ethnic style, and surreal style.

웹 2.0 시대 패션에 나타난 남성의 자아이미지 - 퍼스널 패션블로그를 중심으로 - (Men's ego-images represented on the fashion blogs in web 2.0 era)

  • 서성은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5호
    • /
    • pp.760-775
    • /
    • 2014
  • In the era of 2.0 web, blog has become the media that men can express themselves with fashion more actively and independently, as paying much attention to their personal appearance and cultivating an upscale lifestyle. They often create their fashion images in the virtual space where enables a free and creative operations of self-expression.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men's ego-images represented on the personal fashion blogs based on the framework of analysis from the previous research (Suh, 2014), to build the base data for analyzing men's fashion style in $21^{st}$21st century that reflects changes in men's sexual images, and to verify the framework as comparing with the previous case study about the women blogs (Suh, 2014). The case studies conducted 5 men's personal blogs such as bryanboy, iamgala, little fashionisto, katelovesme, and stylentonic. The study results almost same types of women's ego-images as following. The imaginary ego-image is classified as narcissism, regression, identification, and virtuality, the social ego-image as symbolism of roles and others'desire, the real ego as primary instinct, practical reality, object a, jouissance and sexual perversion. The personal style of men shown on the fashion blogs appears as a significant factor to analyze male customers in the growing men's beauty and fashion market.

헤겔 『정신현상학』에서의 '이성과 광기'의 문제 - 헤겔의 라캉과의 대화 가능성에서 본 하나의 해석 - (A Study on "Reason and Madness"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 An Interpretation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the dialogue between Hegel and Lacan -)

  • 이종철
    • 철학연구
    • /
    • 제115권
    • /
    • pp.249-279
    • /
    • 2010
  • 헤겔의 『정신현상학』 '이성' 장에 등장하는 '마음의 법칙'은 이성의 자기 확신이 '광기'의 또 다른 모습이 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이성의 의심할 수 없는 확신(Gewissheit)은 데카르트에게는 진리의 징표이고, 칸트에게는 양심(Gewisse)의 도덕률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관적 확신은 의식과 현실의 차이를 무시하고 현실을 의식과 일치시키려는 자만의 광기에 빠질 수 있다. 동키호테식의 이상론자나 낭만주의적 개혁논자들에게서 전형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태도는 근대적 이성과 '정신병'이 동전의 양면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라캉의 '거울단계'의 이론, 상상 계 이론, 욕망의 공식 등은 자아의 완전성과 통일성의 이미지가 오해의 산물임을 보여준다. 이 단계는 주체의 형성 과정에서 필수적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타자성의 영역인 언어와 법의 영역, 곧 상징계로 이행해야 한다. 자아는 아버지의 이름에 의해 행해지는 상징적 거세를 거치지 못할 경우 상상 계의 감옥에 갇혀 정신병에 빠질 수 있다. 헤겔의 '마음의 법칙'이 겪는 광기나 착란 등도 비슷한 경험의 과정을 보여준다. 헤겔의 경우 '아버지의 이름'은 불가피하게 욕망을 유예시키는 노동의 기율이나 혹은 절대 타자로서의 죽음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이것은 자연적 존재의 개별자가 보편화되는 과정에서 겪는 분리와 지양의 경험, 곧 라캉식의 상징적 거세의 경험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헤겔의 경우 분리의 경험이 정신의 자발성에 기초한다면, 라캉의 경우는 절대 타자에 의해 강요되고 구조화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