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ason and Madness"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 An Interpretation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the dialogue between Hegel and Lacan -

헤겔 『정신현상학』에서의 '이성과 광기'의 문제 - 헤겔의 라캉과의 대화 가능성에서 본 하나의 해석 -

  • Received : 2010.07.05
  • Accepted : 2010.08.13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Law of the Heart, which appears in the chapter "B. The Actualization of Rational Self-consciousness Through its own Activity"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represents that the self-certainty of the reason may be the another face of the Madness. The Reason's indubitable certainty is the testimony of the truth for Descartes, and it also plays a role as the moral maxim of the conscience for Kant. But this subjective certainty unavoidably leads to the Madness of self-conceit, which unifies the consciousness and the reality igno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m. The typical attitude appearing in the reformer like Don Quixote and also romantic idealists reveals the fact that modern reason and the psychosis can be both faces of one and the same coin. The Mirror Stage, the Imaginary, and the Formula of the Desire in Lacan's Theory shows that the Image of completeness is the result of Mis-understanding. Even if the Mirror stage i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at the same time it should also lead to the next stage, i.e., the Symbolic Order. It is considered as the realm of the Otherness, which refers to the realm of language or that of law. If the Ego can't go through the symbolic castration acted on by the Name of the Father, he will be remained in the prison of the Imaginary. The Madness also shows the similar process. For Hegel the Discipline of the Labor or the Death as absolute Otherness that inevitably delays the Desire plays the same role as the name of Father. It may be the experience of Separation or that of Sublation of the individual towards the universal, which is equivalent to the experience of Symbolic castration in Lacan. Furthermore there may be the difference between Hegel and Lacan as the following; while in Hegel the experience of Separation is founded on the spontaneity of the Spirit, for Lacan it is to be compelled and structured by the absolute Other.

헤겔의 『정신현상학』 '이성' 장에 등장하는 '마음의 법칙'은 이성의 자기 확신이 '광기'의 또 다른 모습이 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이성의 의심할 수 없는 확신(Gewissheit)은 데카르트에게는 진리의 징표이고, 칸트에게는 양심(Gewisse)의 도덕률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관적 확신은 의식과 현실의 차이를 무시하고 현실을 의식과 일치시키려는 자만의 광기에 빠질 수 있다. 동키호테식의 이상론자나 낭만주의적 개혁논자들에게서 전형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태도는 근대적 이성과 '정신병'이 동전의 양면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라캉의 '거울단계'의 이론, 상상 계 이론, 욕망의 공식 등은 자아의 완전성과 통일성의 이미지가 오해의 산물임을 보여준다. 이 단계는 주체의 형성 과정에서 필수적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타자성의 영역인 언어와 법의 영역, 곧 상징계로 이행해야 한다. 자아는 아버지의 이름에 의해 행해지는 상징적 거세를 거치지 못할 경우 상상 계의 감옥에 갇혀 정신병에 빠질 수 있다. 헤겔의 '마음의 법칙'이 겪는 광기나 착란 등도 비슷한 경험의 과정을 보여준다. 헤겔의 경우 '아버지의 이름'은 불가피하게 욕망을 유예시키는 노동의 기율이나 혹은 절대 타자로서의 죽음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이것은 자연적 존재의 개별자가 보편화되는 과정에서 겪는 분리와 지양의 경험, 곧 라캉식의 상징적 거세의 경험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헤겔의 경우 분리의 경험이 정신의 자발성에 기초한다면, 라캉의 경우는 절대 타자에 의해 강요되고 구조화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7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7-551-A00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