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nition delay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3초

Ethylbenzene+n-hexanol 계와 ethylbenzene+n-propionic acid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의 측정 (Measurement of Autoignition Temperature of Ethylbenzene+n-hexanol and Ethylbenzene+n-propionic Acid Systems)

  • 하동명;이성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3-40
    • /
    • 2007
  • 화재 및 폭발을 방호하기 위해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제시된 낮은 값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ASTM E659-78 장치를 이용하여 가연성 혼합물인 ethylbenzene+n-hexanol 계와 ethylbenzene+n-propionic acid 계의 발화지연시간과 AIT 관계를 측정하였다. 2성분계를 구성하는 순수물질인 ethylbenzene, n-hexanol, n-propionic acid의 측정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각각 $475^{\circ}C,\;275^{\circ}C\;and\;511^{\circ}C$였다. 그리고 두 개의 2성분계에서 측정된 발화지연시간은 제시된 식에 의한 예측된 발화지연시간과 적은 평균절대오차에서 일치하였다.

산(Acid)류의 자연발화온도와 방화지연시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utoigniton Temperature(AIT) and Ignition Delay Time for Acids)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7-33
    • /
    • 2004
  • 화학물질의 최소자연발화온도의 정확한 지식은 산업화재를 예방하고 제어하는데 중요하다. 최소자연발화온도(AIT)는 화염이나, 스파크 없이 주위로부터 충분한 에너지를 받아서 스스로 점화할 수 있는 최저온도를 말한다. AIT는 실험 개시온도, 압력, 농도, 용기의 크기, 양론혼합비, 촉매, 증기의 농도, 발화지연시간 등 많은 인자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1994년에 제작된 ASTM E659-78 장치를 이용하여 산류(Acids) 발화지연시간과 AIT관계를 측정하였고, 실험에서 얻은 자료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예측 모델과 적은 오차 범위에서 일치하였다.

열복사에 의한 고체연료 점화 연구 (Ignition of a solid fuel by thermal radiation)

  • 김명효;백승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2권3호
    • /
    • pp.294-302
    • /
    • 1998
  • Ignition characteristics of a vertical solid fuel plate with block have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For low radiant heat flux, ignition does not occur in a vertical solid fuel plate without block. In the case with the block on a vertical fuel plate, however, ignition can occur by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and the time to absorb the incident radiation flux by fuel vapor in gas phase. The ignition occurs below block and the point varies according to the block location and the block height. As the block height increases, the block locates at higher position, and the hot wall temperature increases, the ignition delay time decreases. Also as the initial temperature of fuel plate rises, the ignition delay time of the solid fuel plate decreas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solid fuel plate with block is nearly proportional to the radiant heat flux distribution. Therefore, the effect temperature by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is of the same order as that of inhibition of temperature increase by pyrolysis.

F-T 공정으로 합성된 바이오항공유의 화학적 조성에 따른 점화특성 분석 (Analysis on Igni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io Jet Fuel Synthesized by F-T Process)

  • 강샛별
    • 청정기술
    • /
    • 제26권3호
    • /
    • pp.204-21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F-T 공정을 통해 합성하여 제조한 바이오항공유(Bio-7629, Bio-5172)와 기존에 사용 중인 석유계항공유(Jet A-1)의 점화특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Combustion research unit (CRU) 장비를 활용하여 각 항공유의 점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연료의 물성 및 구성 화합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점화지연시간은 Bio-5172가 가장 짧게 측정되었으며 Jet A-1이 가장 길게 측정되었다. 이는 물리적 점화지연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연료의 물성 측면에서 Jet A-1이 가장 큰 표면장력을 가지며 Bio-5172가 가장 낮은 점도를 갖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각 연료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종류 및 비율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 대상 바이오항공유에 없는 방향족화합물이 Jet A-1에는 약 22.8%의 비율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산화 과정 시에 비교적 반응성이 낮은 benzyl radical을 생성하여 점화지연시간이 길게 측정되는 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Bio-7629와 Bio-5172는 paraffin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n-/iso-의 값은 각각 0.06, 0.80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가지화 된 정도가 낮은 paraffin일수록 산화 시에 생성되는 peroxy radical의 이성질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점화의 전파속도 또한 빨라진다. 따라서 n-paraffin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Bio-5172의 경우에 점화지연시간 또한 짧게 측정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세 화학 반응 모델 및 RIF 모델을 이용한 디젤 분무의 자발화 과정 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Auto-ignition Process of Diesel Sprays Using Detailed Chemistry and Representative Flamelet Model)

  • 유용욱;김성구;김용모;손정락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1-67
    • /
    • 2000
  • The interaction between chemistry and turbulence is treated by employing the Representative Interactive Flamelet (RIF) Model. The detailed chemistry of 114 elementary steps and 44 chemical species is adopted for the n-heptane/air reaction. In order to account for the spatial inhomogeneity of the scalar dissipation rate, the multi-RIF is use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RIF on ignition delay is discussed in detail. Nume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sent RIF approach successfully predicts the ignition delay time as well as the essential features of a spray auto-ignition process.

  • PDF

활성화 에너지가 매우 큰 경우에 점근법을 이용한 반무한체의 점화에 관한 연구 (Asymptotic analysis of ignition of a semi-infinite body for a large activation energy)

  • 백승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703-707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반무한체에 대하여 활성화 에너지가 매우 큰 경우의 점근법을 적용하여 이 두 변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점화지연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적으로 알아보고 참고문헌(1)의 실험치와 비교하고자 한다.

방염 처리에 따른 화재지연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gnition Delay Effect by Flame-Resistance Paint Treatment)

  • 오규형;김황진;이성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1-116
    • /
    • 2009
  • 시중에 유통되는 17종의 방염 도료를 소방법에서 요구하는 성능에 맞게 MDF에 방염처리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복사열에 노출시켰을 경우 어느 정도의 화재지연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복사열의 크기는 콘히터를 이용하여 $10kW/m^2$에서 $30kW/m^2$까지 변화시키며 실험하였다. 착화시간과 착화형태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방염도료를 처리한 시료의 착화 임계열유속은 $10kW/m^2$ 였으며 $30kW/m^2$에서는 방염에 의한 착화지연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 표면온도가 $400^{\circ}C$ 이상이 되어도 방염에 의한 화재 억재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유화액적 배열에서의 자발화와 미소폭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uto-ignition and Micro-explosion for Array of Emulsion Droplets)

  • 정인철;이경환;김재수
    • 에너지공학
    • /
    • 제16권3호
    • /
    • pp.113-119
    • /
    • 2007
  • 데칸에 물을 혼합하여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유화액적배열을 형성하여 물과의 혼합비율, 액적의 수 그리고 액적 간격 등이 연소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고온의 연소실에서 파악하였다. 각각 10%, 20%, 30%의 물을 혼합하여 유화액적을 만든 후 일정한 크기의 액적을 각각의 서스펜더에 매달아서 일정한 간격의 액적배열을 만들어 고온에서 자발화를 시켰을 때, 점화지연, 수명시간, 전연소기간 그리고 미소폭발 등의 연소특성을 비교하였다. 대기압에서 연소실의 온도를 920 K로 하고 서스펜더의 수를 3개와 5개로 하였으며 액적배열의 간격은 $3{\sim}7\;mm$ 범위에서 1 mm 간격으로 각각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물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액적배열의 간격이 넓을수록 점화지연현상이 길게 나타났으며, 수명시간은 액적의 간격이 넓을수록 짧게 나타났으며 점화지연시간과 수명시간의 합인 전연소기간은 액적의 수량이 3개인 경우가 점화지연시간이 긴 관계로 5개에 비해 길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석유계 및 바이오항공유의 점화특성 분석 (Ignition Characteristics of Petroleum-based and Bio Aviation Fuel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Pressure)

  • 강샛별
    • 청정기술
    • /
    • 제25권3호
    • /
    • pp.238-2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석유계항공유(Jet A-1), 바이오항공유(Bio-6308) 그리고 두 항공유를 50:50 (v:v)으로 혼합한 연료의 점화특성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Combustion research unit (CRU) 장비를 사용하여 각 항공유의 점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으며, GC/MS 및 GC/FID를 사용하여 각 항공유를 구성하는 화합물에 대한 정성 및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연료의 경우에서 온도와 압력이 증가할수록 점화지연시간이 짧게 측정 되었으며, 특히 압력보다 온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측정 조건에서 Jet A-1의 점화지연시간이 가장 길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Jet A-1을 약 22.48%의 비율로 구성하는 방향족화합물이 산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benzyl radical이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한 특성을 갖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benzyl radical은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NTC) 구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반응을 억제하여, Jet A-1의 경우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화지연시간이 짧아지는 정도가 감소하는 구간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Jet A-1과 Bio-6308을 50:50 (v:v)으로 혼합한 연료의 점화특성은 Bio-6308 보다는 Jet A-1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통해 기존의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실제로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승용 디젤엔진의 EGR과 Induction위치에 따른 소음 영향 (The Effects of EGR and EGR Induction Point on Combustion Noise of a Passenger Diesel Vehicle)

  • 강상규;김재헌;백성남;강구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93-396
    • /
    • 2007
  • EGR is well established and efficient means to reduce NOx emissions. The increase of EGR rate affects the ignition delay of the combustion due to the lower oxygen availability. The increasing of the ignition delay period causes large combustion nois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EGR and Induction Point on combustion noise are investigated by measuring cylinder pressure and noise. As a result, The Combustion noise is markedly increased under the application of EGR. The increased premixed distance by displacing EGR Induction point in flow direction causes the uniform EGR distribution and the modulation level of the combustion noise is reduced sligh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