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ntification score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4초

미생물 유전체의 in silico분석에 의한 보존적 유전자 탐색 (Investigation of Conserved Gene in Microbial Genomes using in silico Analysis)

  • 강호영;신창진;강병철;박준형;신동훈;최정현;조환규;차재호;이동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10-621
    • /
    • 2002
  • 미생물 유전체(genome)들 사이의 보존된 유전자 (con-served gene)를 밝히는 것은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있어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존적 유전자를 찾아내고, distance value를 이용하여 구한 보존성의 정도 C(conservation score)를 이용하여 종간의 유전자 변이의 정도를 단백질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COGs 데이티베이스의 총 43종의 미생물 유전체들이며, 이들은 총 n,009개의 유전자들을 포함하는 3,852 개의 ortholog들로 구성되어있었다. 분석 결과 43종의 미생물 유전체에 대하여 총 $\ulcorner$2개의 유전자들이 보존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72.2%인 52종의 유전자가 단백질 합성에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보존적 유전자들에 대하여 보존성의 정도 C를 계산하여 보존성의 순위를 얻었으며, 가장 잘 보존된 유전자는 CTPase-trans-lation elogation factor (COG0050)로 나타났다. 그리고 72개의 보존적 유전자가 나타내는 CU 모두를 이용한 분석결과 고세균(archaea)과 진정세균(bacteria)이 각각 독자적인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한 72개의 보존적 유전자는 생명체의 본질적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료되었고, 생명체의 진화 과정에서 이 유전자들이 보존된 이유와 기능적 연계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국산 시판 화이트 와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White Wines)

  • 윤향식;박정미;박혜진;정창원;최원일;박재호;김시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8-546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white wines. Four sample win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H, total acidity, volatile acidity, alcohol content, soluble solid, free $SO_2$, total $SO_2$, color, free sugar content, organic acid, volatile compounds,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pH of wines ranged from 3.06 to 3.76 and their total acidity from 0.43 to 0.83% (v/v). The alcohol content of samples ranged from 9.4 to 12.8% (v/v) and their soluble solid contents from 9.9 to $12.3^{\circ}Brix$. The free $SO_2$ and total $SO_2$ contents of the W1 win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wines, while the color intensity, a (redness) and b (yellowness) of W1 wine were higher than the values of the other wines. The malic acid contents of the four wines indicated that complete malolactic fermentation (MLF) occurred in W1, incomplete MLF in W3, and was absent in W2 and W4. Aroma analysis resulted in identification of 10 alcohols, 11 esters, 2 ketones and 6 miscellaneous compounds. 2,3-Epoxybutane and 1-(ethenyloxy)-pentane levels in were significantly higher W1 than the other wines, while several types of ester predominated in W2, W3 and W4. W1 had the lowest sensory score among the four wines. Therefo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hite wines are considered to be acceptable.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차이 및 교사 특성별 사고양식 (Differences in thinking styles of students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and thinking styles of teachers by characteristics)

  • 윤소정;윤경미;유순화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19-4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근거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에 특별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영재학교와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특성에 따라 사고양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영재 고등학생 191명과 일반 고등학생 245명, 교사 73명이 참가하여 사고양식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은 차이가 있었다. 영재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입법적, 행정적, 사법적, 전체적, 계급주의적, 내부지향적 사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학교 교사와 일반학교의 교사의 사고 양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사 근무연한에 따라 교사의 사고양식에 차이를 보였다. 교직 경력이 오래될수록 보다 행정적, 지엽적, 보수적 사고양식을 보였다. 넷째, 교사의 성별, 가르치는 과목에 따른 교사의 사고양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재 교육을 계획함에 있어서 또한 영재교육을 위한 교사선발에 있어서 효과적인 영재교육을 위해 학생과 교사의 사고양식을 고려하는 것이 요청된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스트레스의 인지수준에 따른 구강증상경험과의 관련성 (Association with oral symptom experiences by level of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in the Korean adolescents)

  • 한여정;김한수;류소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5-478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and oral symptom experiences including toothache, gum diseases, and oral soft tissue diseases in the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68,043 adolescents recruited using a web-based survey, National Korean Youth Risk Behavior in 2015 by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1.0 for Windows was used. Descriptive analysis and a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oral health behaviors, and level of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Finall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and oral symptom experienc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oothache related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erate group with the score of 1.59 (95% CI; 1.49-1.68), and was greater in the high group with 2.38 (95% CI; 2.24-2.53) compared to the low group. Gum disease related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erate group with 1.41 (95% CI; 1.32-1.51), and was greater in the high group with 1.99 (95% CI; 1.86-2.13). Oral soft tissue disease related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erate group with 1.59 (95% CI; 1.45-1.74), and was greater in the high group with 2.55 (95% CI; 2.33-2.79). Bad breath related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erate group with 1.48 (95% CI; 1.39-1.57), and was greater in the high group with 2.10 (95% CI; 1.97-2.25). Conclusions: Higher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level was found to affect the oral symptoms experienced. Therefore, the stress management plan should be prepared through the cause identification of the main stress in the adolescents. Practical and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for oral health management in the schools.

폐경 여성의 근감소증 및 근감소성비만과 심혈관질환 위험도와의 관련성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 자료를 활용하여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 Results for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미성;손정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78-385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analyzed data of 2,019 postmenopausal women aged 50-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2011 and were free of cardiovascular disease history. Blood pressure,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We analyzed the serum concentrations of glucose,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aist circumference was used to measure obesity.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was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Sarcopenia was defined as the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body weight<1 standard deviation below the gender-specific means for healthy young adults. The estimated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as calculated by Pooled Cohort Equation. Subjects were classified as non-sarcopenia, sarcopenia, or sarcopenic obesity based on status of waist circumference an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Results: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was 16.3% (n=317) and 18.3% (n=369), respectively. The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the sarcopenic obesity group was higher ($3.82{\pm}0.22%$) than the normal group ($2.73{\pm}0.09%$) and sarcopenia group ($3.17{\pm}0.22%$) (p < 0.000). The odd ratios (ORs) for the ${\geq}7.5%$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rcopenic obesity group (OR 3.609, 95% CI: 2.030-6.417) compared to the sarcopenia group (OR 2.799, 95% CI: 1.463-5.352) (p for trend < 0.000) after adjusting for independent variables (i.e., exercise, period of menopausal,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score, income, education level, calorie intake, %fat intake and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Conclusions: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factors predicting the 10-year risk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These findings imply that maintaining normal weight and muscle mass may be important for cardiovascular disease risk prevention in postmenopausal women.

성인 음주자의 영양소 섭취실태: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Nutrient Intake Status of Korean Drinkers: Analysis of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1)

  • 김형태;천성수;정선희;윤미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9권4호
    • /
    • pp.343-355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the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adult drinkers in Korea. Alcohol drinking patterns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mong 4,968 persons, 91.5% were drinkers. Classification of their drinking patterns by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score showed 64.5% of the drinkers were normal drinkers, 22.4% problem drinkers and 13.2% alcohol-dependent drinkers. Overall, 47% of the drinkers were considered alcohol-dependent in the Rapid Alcohol Problems Screen (RAPS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ose who abstained from alcohol (86.8%) and alcohol-dependent drinkers (68.9%); when asked about breakfast habits 73.4% of non-drinkers often had family meals, while only 55.4% of the alcohol-dependent drinkers had family meals. Dietary energy, alcohol energy, and total energy intake significantly increased for the alcohol-dependents (P<0.001). In addition, the intake of eight nutrients (protein,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2$, niacin, calcium, phosphorous and ir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least to highest): abstainers, normal drinkers, drinkers with a moderate addiction to alcohol and alcohol-dependent drinkers (P <0.05). Nutrient Adequacy Ratios (NAR) of all nutrients, except vitamin C, and the Mean nutrient Adequacy Ratio (MAR)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least to highest): abstainers, normal drinkers, drinkers with a moderate addiction to alcohol and alcohol-dependent drinkers (P<0.05). The intake of vitamin $B_1$, vitamin $B_2$, and niacin per 1,000 kcal, according to drinking pattern, decreased in the order of abstainers, normal drinkers, drinkers with a moderate addiction to alcohol, and alcohol-dependent drinkers (P<0.001).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nutrient intake of normal drinkers, drinkers with a moderate addiction to alcohol, and alcohol-dependent drinkers are higher than abstainers. However, overall intake of vitamin $B_1$, vitamin $B_2$, and niacin per 1,000 kcal was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vitamin $B_1$, vitamin $B_2$, and niacin intake for drinkers.

혼합 스타터를 이용한 묵은지의 제조 및 발효 특성 (Produ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keunji with a Mixed Starter)

  • 김효주;신현경;양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467-1474
    • /
    • 2013
  • 묵은지 발효에 적합한 종균 발효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묵은지에서 분리한 유산균과 효모를 단일 또는 혼합 상태로 김치에 첨가하여 발효시킨 후 관능평가를 시행하여 묵은지 풍미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낸 유산균 ML17과 효모 MY7을 혼합 스타터로 선정하였다. 묵은지 스타터 균주는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균주동정 결과에 따라 Lactobacillus curvatus ML17과 Saccharomyces servazzii MY7로 명명되었다. 혼합 스타터를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10^{\circ}C$에서 7일 동안 1차 발효한 후, $-1^{\circ}C$에서 90일까지 숙성시키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 김치에 비하여 스타터 김치의 pH 저하 및 산도의 증가가 빠르게 진행되어 발효 90일 후에는 1년 숙성 묵은지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물성 변화에서 김치의 경도는 전체 발효기간 동안 스타터 김치가 더 높은 경도 값을 유지하면서 아삭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미생물 균총 변화에서 총균수와 유산균수는 발효 30일에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90일에는 스타터 김치의 총균수와 유산균수가 대조구 김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효모수는 첨가된 스타터에 의하여 스타터 김치가 대조구 김치보다 전체 발효기간 동안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유산균과 효모 스타터는 발효 90일 동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여 발효 종균으로서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은 스타터 김치에서 lact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대조구 김치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스타터 김치는 1년 숙성 묵은지와 유사한 묵은지 맛과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원거리 무인기 신호 식별을 위한 특징추출 알고리즘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for Distant Unmmaned Aerial Vehicle Detection)

  • 김주호;이기배;배진호;이종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3호
    • /
    • pp.114-12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의 엔진 음향 신호를 탐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특징 추출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한다. 엔진 음향신호는 기본주파수와 배음이 정수배 관계를 갖는 조화 복합음(Harmonic complex tone)으로 구성되며, 각 주파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연속적이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기본주파수의 정수배와 실제 배음 주파수 차이의 평균과 분산, 주파수 변화량 등으로 구성된 특징벡터를 제안하였다. 모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한 특징벡터는 목표신호와 다양한 간섭 신호에 대해 우수한 변별력을 보였으며,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변하는 경우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원거리에서 실측된 엔진 음향신호로 부터 특징의 Fisher score를 계산하여 변별력을 비교한 결과, 제안한 특징 중 주파수에 기반한 세 가지 특징들이 신호 대 잡음비가 낮은 상황에서도 높은 변별력을 보였다. ELM 분류기를 이용해 MFCC와의 인식 성능을 비교한 결과, 제안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 모의 간섭신호에 대한 오류율이 37.6% 개선되었다. 또한 신호대 잡음비가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MFCC에 비해 4.5 dB 낮은 시점에서 목표신호 탐지가 가능하였다.

SSR 분자표지이용 콩 불마름병 저항성 관여 양적형질 유전자좌(QTL) 분석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Bacterial Pustule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in Soybean)

  • 서민정;강성택;문중경;이석기;김율호;정광호;윤홍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6-462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격하게 발생되고 있는 콩 불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중간모본을 육성하고자 할 때 marker-assisted selection에 적용할 수 있는 저항성 근접 분자표지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1. 불마름병에 이병성인 큰올콩과 저항성인 신팔달콩의 RIL 116 계통에 대하여 콩 불마름병 균주 8ra에 대한 저항성과 연관된 QTL을 탐색한 결과 포장에서는 연관군 B2, D2, I와 K에서, 온실에서는 연관군 D2, C1과 F에서 불마름병과 관련된 QTL이 나타났다. 2. 포장과 온실에서 공통적으로 탐색된 QTL은 연관군 D2에 위치해 있었는데 정확한 위치는 포장과 온실에서 각각 Satt135와 Satt397의 사이에서 LOD score 6.64와 3.43으로 Satt135에서 14.01 cM과 0.01 cM 떨어진 위치에서 탐색되었다.

Mass Spectrometer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한 식물성 유지가 혼합된 참기름의 판별 분석 (Identification of Vegetable Oil-added Sesame Oil by a Mass Spectrometer-based Electronic Nose)

  • 손희진;홍은정;고상훈;최진영;노봉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275-281
    • /
    • 2009
  • 참기름은 높은 항산화활성 및 항암작용 등의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를 지니는 반면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가짜 참기름의 유통이 범람하여 이를 판별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의 확립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량분석기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대두유가 혼합된 참기름을 제조하여 진위 판별을 시도하기위하여 각각의 유지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분석, 통계처리하였다. 혼합 참기름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ion fragment 중 40-160 amu에서 각 시료 간에 차별성이 높은 fragment (m/z)를 선택하여 해당 intensity값을 판별 분석한 결과, 참기름 및 대두유는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참기름 및 대두유, 옥수수유, 들기름을 각각의 순수한 상태로 향기성분 분석을 한 결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정확하게 분리됨을 알 수 있었고, 대두유와 옥수수유의 경우 타 기름과는 달리 순수한 공기 성분과 비슷한 위치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휘발성향기성분의 감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미량의 대두유가 혼합된 참기름은 첨가된 대두유의 농도에 비례하여 제1판별함수값(DF1)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향후 참기름의 위조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에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