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al boundary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4초

PWR 소격격자 Nodal 계산에의 균질화 이론 적용 (An Application of Homogenization Theory to the Coarse-Mesh Nodal Calculation of PWRs)

  • Myung Hyun Kim;Jonghwa Chang;Kap Suk Moon;Chang Kun L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202-216
    • /
    • 1984
  • Nodal method가 소격격자 해석방법의 하나로 정립됨으로써, 계산격자가 비교적 크더라도 각 격자의 평균출력분포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게 하는 균질화변수틀 찾는 방법이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implified equivalence theory와 approximate node equivalence theory의 두가지 근사방법을 가압경수형 원자로 문제에 적응하여 시험하여 보았다. 균질화계산과 노심분석계산 방법으로서 analytic nodal method에 기초를 둔 ANM 코드를 개발하였다. 여러 균질화 방법외 정확성을 KTDD 코드에 의한 reference solution과 비교하여 본 결과, 균질화 계산은 핵연료영역에서는 영역별 핵연료집합체 계산으로, baffle과 reflector의 공존 격자영역은 이들을 포함하는 color set 계산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알았다. Approximate node equivalence theory에 입각해서 approximate homogenized cross-section들과 approximate discontinuity factor들의 균질화 변수를 사용하면 출력분포와 임계도가 각각 0.8%, 0,1% 오차 범위내에서 예측되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Effect of Riser Support System on Global Spar Motion by Time-domain Nonlinear Hull/Mooring/Riser Coupled Analysis

  • KOO BON-JUN;KIM MOO-HYUN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6-25
    • /
    • 2005
  • The effect of vertical riser support system on the dynamic behaviour of a classical spar platform is investigated. Spar platform generally uses buoyancy-can riser support system, but as water depth gets deeper the alternative riser support system is required due to safety and cost issues. The alternative riser support system is to hang risers off the spar platform using pneumatic cylinders rather than the buoyancy-can. The existing numerical model for hull/mooring/riser coupled dynamics analysis treats riser as an elastic rod truncated at the keel (truncated riser model), thus, in this model, the effect of riser support system can not be modeled correctly. Due to this reason, the truncated riser model tends to overestimate the spar pitch and heave motion. To evaluate more realistic global spar motion, mechanical coupling among risers, guide frames and support cylinders inside of spar moon-pool should be modeled. In the newly developed model, the risers are extended through the moon-pool by using nonlinear finite element methods with realistic boundary condition at multiple guide frames. In the simulation, the vertical tension from pneumatic cylinders is modeled by using ideal-gas equation and the vertical tension from buoyancy-cans is modeled as constant top tension. The different dynamic characteristics between buoyancy-can riser support system and pneumatic riser support system are extensively studied. The alternative riser support system tends to increase spar heave motion and needs damper system to reduce the spar heave motion.

Characterization of EFG Si Solar Cells

  • 박세훈
    • 센서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1-10
    • /
    • 1996
  • EFG Si 태양전지를 전류-전압, 표면광전압, 전자빔유도_전류, 전자미세프로브, 전자역산란의 여러 가지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류-전압 그래프를 여러 온도에서 측정한 결과 EFG-Si 태양전지는 전압에 따라 변하는 shunt 저항을 가진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shunt 저항은 precipitate와 grain boundary에 의해 생긴 것으로 공간전하영역 내의 불순물 에너지 준위로 tunneling에 의해 이동한 캐리어의 재결합으로 일어난 결과이다. 전류-전압 과 표면광전압 기술을 결합하면 태양전지의 pn접합과 기판 (substrate)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Diode ideality factor와 표면 광전압은 Pn접합의 특성을, 소수캐리어 확산거리는 substrate특성을 표시한다. EFG 태양 전지를 분석한 결과, 전압에 따라 변하는 shunt 저항은 효율에 따라 정도 차이는 있지만 모든 시편에서 발견되며, 태양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된다.

  • PDF

주변 후방산란 통신에서의 채널 추정기법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in Ambient Backscatter Communication)

  • 김수현;이동구;선영규;심이삭;황유민;신요안;김동인;김진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12
    • /
    • 2019
  • 주변 후방산란 통신은 송신 전력효율 문제로 기존 RF통신에서 채널 추정방법인 파일럿(pilot) 신호를 통한 채널 추정기법이 제한된다. 제한된 송신 전력 환경에서 기존 주변 후방산란통신의 연구는 채널 상태로 인한 신호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이상적인 채널로 가정을 하고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은 주변 후방산란 통신 시스템에서 정규분포를 따르는 채널 상태인 주변 후방산란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방법으로 블라인드 채널 추정기법 중 하나인 기댓값-최대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은 제안한 시스템 모델에서 기댓값-최대화 알고리즘과 추정값의 최소 분산을 나타내는 Bayesian Cramer-Rao 하한 경계를 이용하여 평균 제곱 오차(Mean Square Error, MSE)값이 하한 경계와 근접해 가는 것을 확인하고, 주변 후방산란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파라미터의 추정이 가능함을 증명한다.

한국어의 탈지역과 한국적 이산의 미학 (Displace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Aesthetics of the Korean Diaspora)

  • 임진희
    • 영어영문학
    • /
    • 제54권1호
    • /
    • pp.149-167
    • /
    • 2008
  • Korea has persisted in the notion of "ethnic nationalism." That is "one race, one people, one language" as a homogeneous entity. This social ideal of unity prevails, even in overseas Korean communities formed by voluntary and involuntary displacement in the turmoil of modern history: communities made intermittent with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nd with postcolonial encounters with the West. Given that the Korean people suffered from the trauma of deprivation of the language caused by the loss of the nation, nation has been equated with the language. Accordingly, "these bearers of a homeland" are also firm Korean language holders. The linguistic patriotism of unity based on the intertwining of "mother tongue" and "father country" has become prevalent in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people of the Korean diaspora. Korean American literature has grappled with this concept of the national history of Korea and the Korean language. The aesthetics of Korean American literature has been marked by an influx of literary resources of 'Korea' in sensibilities and structure of feelings; Korean myth, folk lore, songs, humor, traditional stories, manners, customs and historic moments. An experimental use of the Korean alphabet, Hangeul, written down as pronounced, provides an ethnic flavor in the midst of the English texts. Despite its national framework of mind, however, Korean American literature as an interstitial art reveals a keen awareness of inbetweenness, and transnational hybrid identities. By exploring the complex interrelationships of cultural and linguistic boundary-crossing practices in Korean American literature, this paper argues that the poetics of the Korean diaspora challenges the closed structure of identity formation, and offers a transnational sphere to deconstruct a rigidly demarcated national ideology of "one race, one people, one language," for the world literary history.

생태학적 상상력의 소생의 미학 -메릴린 로빈슨의 『하우스키핑』 (The Aesthetics of the Resurrection of Ecological Imagination: Marilynne Robinson's Housekeeping)

  • 이정희
    • 영어영문학
    • /
    • 제57권1호
    • /
    • pp.73-10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end the importance of resurrection of fluid identity and ecological imagination for making the habitable biosphere in Marilynne Robinson's Housekeeping. Ruth as a narrator suggests the future-oriented vision that the environment and nature(mother) can be resurrected, crossing Fingerbone bridge of the boundary line of society/nature as a faithful follower of her aunt Sylvie and becoming the existence with a transparent voice despite of her absence. This novel is to rewrite the American pastoral. Based on the patriarchical way despite of the absence of Edmund Foster, Sylvia's conventional housekeeping is to divide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e. Nevertheless, Sylvia's relentless efforts to keep her house intact turns out to be fragile. Contrasting with Sylvia, Sylvie's housekeeping is to recognize the continuity of inside and outside. She willingly accepts the reconciliation of the self, the nature and the society. After Ruth and Lucille's staying at night in the lake, they are diverged into going their own way. Ruth accepts Sylvie as a substitute mother. Lucille leaves the house voluntarily and go to her Home Economics teacher, Miss Royce, pursuing the ideal mother of symbolic society. Sylvie and Ruth has the more intimate bond, with their trip to the deserted house in the valley. Ruth meditates on the non-solidity of house and the resurrection of her family. Leaving their house to escape from the town people's legal enforcement, Sylvie and Ruth become transients. Although their history is completed by the drown-death publicly, they always want to visit Lucille's well kept house in Fingerbone. Therefore the method for making Ruth and Sylvie as the existences of ecological imagination return to the real world is to accept the reconciliation of nature and society. This novel is not limited as the binary opposition of vagrance/stability and transience/durability. The significant element of fluid identity can be composed of the interactions with transience and stability.

구간 조합 복합재료 판의 충격 특성에 미치는 겹침부 설계에 관한 연구 (Effect of Overlap Design on the Impact Characteristics of Piecewise Integrated Composite Plates)

  • 황희윤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1호
    • /
    • pp.25-31
    • /
    • 2023
  • 복합재료 구조는 필요한 기계적 성능을 충족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적층 각도로 적층하여 설계되었다. 외부 하중을 받는 복합재료 구조물에 대한 발생하는 응력은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응력을 바탕으로 적층 순서를 결정하는데, 이는 효율적이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최적의 설계가 아니다. 최근 이러한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구간 조합 복합재료(PIC)가 제안되었다. PIC는 인접한 조각들 사이의 완벽한 결합을 가정하지만, 이것은 매우 이상적이고 달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경계에서의 중첩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첩 설계가 PIC 플레이트의 충격 파손 모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속경화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겹침부 형상 및 절개선 간격을 가지는 시험편을 제작하였으며, ASTM D 7136에 따라 충격시험을 수행하였다. 복합재료 적층판의 충격 파손 형태는 겹침부 설계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가졌으며, 이로 인해 충격흡수에너지 및 충격하중곡선의 경향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복합재 적층판의 전단좌굴시험을 위한 치구 설계 및 검증 (Design and Verification of Shear Buckling Test Fixture for Composite Laminate)

  • 박성준;고명균;김동관;김상국;문창오;권진회;최진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158-167
    • /
    • 2014
  •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현장의 구조설계자들이 복합재 평판의 전단좌굴 설계허용치를 설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환산계수(이론값과 실험값의 차이를 보정하는 계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광범위한 시험과 해석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일단계로, 복합재 평판의 전단좌굴시험을 위해 단축인장하중을 받는 프레임 형태의 치구를 설계하고, 시험과 해석을 수행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치구의 최종 형상은 시편의 크기, 치구의 치수, 체결볼트의 수 등의 변수들이 전단좌굴하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자연구를 통해 결정하였다. 시험 및 해석 결과, 설계된 프레임이 의도한대로 전단좌굴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험에서는 시편이 치구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시편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시험값과 해석값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특히 원공이 커질수록, 또한 단순지지 경계조건일 경우에는 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고정지지 전단좌굴의 경우 설계된 프레임 형태 치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단순지지 경계일 경우 경계조건 설정방법의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작동유체에 따른 초음속 제트유동에 의해 생성되는 충격파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Shock Waves Influence Generated by Supersonic Jet Flow According to Working Fluids)

  • 정종길;윤준규;임종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10-517
    • /
    • 2016
  • 고압을 사용하는 초음속 제트기술은 작동유체와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의 산업 및 공학응용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압파이프에서 분출되는 초음속 제트유동에 의해 생성되는 충격파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ANSYS FLUENT v.16를 가지고 SST $k-{\omega}$ 난류모델을 적용하여 작동유체(공기, 산소, 수소)에 따른 압력비 및 Mach수의 유동특성을 해석하였다. CFD 해석시 경계조건으로 입구의 가스온도는 300 K이고, 압력비율은 5:1로 설정하였으며, 밀도함수는 이상기체의 법칙을 이용하였고, 점성함수는 Sutherland 점성의 법칙을 이용하였다. 그 해석결과로 작동유체의 밀도가 작은 기체일수록 분출거리에 따라 압력비가 더 크게 떨어짐을 알 수 있었고, Mach수는 작동유체의 밀도가 높을수록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작동유체의 밀도에 따라 충격파의 영향이 크다는 점을 알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작동유체에 따른 제트의 형상 및 직경 변화, 압력비의 변화 등에 따른 초음속 제트유동이 충격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 및 CFD 해석연구와 실증연구가 병행하여 진행된다면 해석결과의 신뢰성은 더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연속교 적용을 위한 양단고정지지 보의 진동수 기반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 개발 (Development of Impact Factor Response Spectrum based on Frequency Response of Both Ends-Fixed Beam for Application to Continuous Bridges)

  • 노화성;이후석;박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01-306
    • /
    • 2016
  • 교량의 내하성능 추정 관련 연구에서 단순지지 조건의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새로운 단순교의 내하력 평가 모델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을 연속교에 적용하기 위해 연속지지 경간 중 내측 경간의 경계조건을 이상적인 양단 고정 경계조건으로 가정하고, 보의 동적 지배방정식을 이용하여 보 중앙에서의 이론적인 최대 통적 및 정적 연위 산출식과 이로부터 충격계수 이론식을 유도하였다. 이론식을 바탕으로 교량 경간 길이 및 감쇠비에 따른 양단지지 조건의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실제공용 중인 연속교를 대상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실측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해석은 실측 데이터와 동일하게 6경간 연속교에 차량 하중을 이동 재하 하였으며, 연속지지 내부 경간에서 동적응답을 측정하였다. 교량의 진동수는 가속도 응답을 고속퓨리에 변환(FFT)하여 얻었으며, 제안된 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교량의 경간-진동수를 적용하여 충격계수를 도출하였다. 제안된 모델에 의한 충격계수는 실측 충격계수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양단고정지지 교량의 진동수 기반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한 방법은 실재 연속교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