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chool 교수 연구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8초

교수법적 내용 지식: 미국 중학교 수학 교사 사례 연구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95-308
    • /
    • 2007
  • 이 연구는 중학교 수학 교사의 수업 활동에 나타나는 교수법적 내용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미국의 8학년 수학 교사의 수업 활동과 면담을 수집하고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참여자인 수학 교사의 교수법적 내용 지식은 첫째, 각 개념과 주제들 간의 연계성, 다양한 형태의 문제 해결력, 그리고 교과서에 대한 이해 등을 포함한 수학 교과 내용 지식, 둘째, 수학의 특정 개념과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잘못된 생각과 일반적인 오류, 학생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혼동을 이해하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대한 지식,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실제 상황에의 적용을 중시하는 교수학적 지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I) -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Backgrounds in Science,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 - Based on a Quantitative Data Analysis -)

  • 박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2-561
    • /
    • 2000
  • 교사들의 전문적인 자질 향상과 교사 양성과정과 재교육 과정의 변화를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 과학 교수법의 관계를 양적, 질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과 과학교육과목의 수와 성취도), 과학 교수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과학 교수 자기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의 기대감), 과학 교수법(비지시적, 지시적, 혼합형 교수법)의 활용을 각각 측정도구로 조사하였고 각각의 변인들간의 상관 관계를 Pearson 상관 계수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과 과학교육과목의 수는 과학교수 태도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과학교육과목의 성취도는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교사들이 고등학교와 교사양성 기간의 과학과목 성취도는 비지시적인 교수법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 과목과 과학 교육 과목 성취도는 혼합형 교수법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교사들의 과학교수 태도와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과학교수 결과의 기대감과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교사들의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비지시적 교수법과 혼합형 교수법과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일곱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 태도와 비지시적 교수법과 혼합형 교수법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효과 있는 교수법의 개발 연구, 과학교수 효능의 신념과 과학교수 태도의 개발 연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상관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 PDF

컴퓨터 활용 능력 및 학습 태도 향상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연구 (A Study of Creative Teach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the Computer Literacy and the Learning Attitude)

  • 김종훈;김종진;고정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99-110
    • /
    • 2006
  • 지식을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느끼는 것을 통해 배우는 학습자 중심의 참여 교육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교육현장에서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기존의 교수법이 아닌 새로운 창의적인 교수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컴퓨터 교육에 있어서 그와 같은 교수법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학습이 학생의 컴퓨터 활용 능력 및 학습태도 신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었다. 창의적 교수법은 학생에게 최대한 주도권을 주고, 학생 상호간의 작용을 적극 이용하여 참여를 이끌어내는 학생 참여 중심의 교수법을 말한다. 본 연구의 결과 컴퓨터 활용 능력 및 학습 태도 향상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은 컴퓨터 소양 교수법의 부재를 겪고 있는 학교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컴퓨터 소양 교육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연구 대상과 적용된 교육 주제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차후 실험집단의 확대와 교육 주제 등의 확대를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연구가 계속적으로 필요하다.

  • PDF

학교수학이란 무엇인가? (What is School Mathematics?)

  • 이승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381-405
    • /
    • 2015
  • 최근의 고고학적으로 문맥화 된 수학사연구는 인류 초기 문명인 고대 바빌로니아의 학교에서 수학교육이 기능하였다는 사실과 함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수학인 고대 바빌로니아의 수학적 텍스트가 학교에서 이루어진 교수-학습 과정의 산물(産物)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수학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 본 연구는 교수-학습 과정서 나타나는 산물을 포함하도록 학교수학의 개념을 확장하고 학교수학의 기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학교수학은 일상생활에서의 수학활동과 학문으로서의 수학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양자를 연결해왔으며 수학적 연습과 준비를 시키는 교육상황(ESMPR)과 수학적 창의성과 오류가 발현되는 교육상황(ESMCE)의 계속되는 연쇄를 통해 작동해온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부터 본 연구자는 학습에 대한 상반된 두 패러다임인 획득으로서의 학습과 참여로서의 학습은 각각 ESMPR과 ESMCE에 대응하여 상보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학교수학적 지식의 질적 성장이 Bruner가 말하는 교사와 학생이 형성하는 상호학습 커뮤니티가 Popper의 추측과 반박의 방법을 통해 완성해 나가는 작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의 인지심리학적 효과 (The Effects on Cognitive Psychology in Using Multimedia Teaching-Learning Contents)

  • 권충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273-280
    • /
    • 2005
  • 21세기의 정보과학기술의 발달은 학교교실의 교수-학습활동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 학교교실수업은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를 주로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교수자들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매체 및 내용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의 효과성을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은 관련 주요 연구자들의 연구를 종합 분석하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 효과의 근거로서는, 인간 정보처리의 이중부호화, 학습의 방향과 속도조절기능, 그 외의 교육적 장점 등을 제시하였다.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의 효과성에 대한 이론적 확신은 교수자 및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이 사용하는 교육내용 및 매체에 대한 믿음으로 작용하여 학습의 양적, 질적 증대로 이어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수 신념 체계 분석 (A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Mathematics)

  • 김리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4호
    • /
    • pp.593-61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수와 관련한 신념체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통계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 교수와 관련한 신념 체계 중 특정한 요소가 우세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별과 학위에 따라 영향을 받는 신념 체계 요소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수학적 개념을 이해시키는 방법,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을 교정하는 방법, 학생들이 수학 수업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방법과 관련한 교사들의 신념과 관련한 대표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두뇌기반 분석을 위한 두뇌맞춤지수 산출식 개발 (Development of the Brain Compatibility Index Equation for Brain-based Analysi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in Science)

  • 이일선;이준기;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031-104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의 두뇌 기반 분석을 위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 번째로 두뇌기반 분석을 위한 분석방법의 고안에는 중학교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 중 한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제시된 분석방법의 유용성 검증에는 7차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 중 네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CORE Brain Map을 통해 정성적으로 컨설팅 할 수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 이론으로부터 정량적 분석을 위한 두뇌맞춤지수 산출식(BCI=$\frac{L_o}{11(N_o-1)}{\cdot}{\sum}\limits_{i=1}^4l_iw_i$)을 유도하였다. 이를 통해 단원 및 교육과정에 따른 연구대상 교수-학습프로그램들 간의 정량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두뇌기반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방법은 두뇌기반 다양한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분석 및 진단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학생의 학습양식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양식과의 연관성 탐색 (Exploration of relations betwee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their teaching styles)

  • 최규리;최경희;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7-275
    • /
    • 2009
  • 학생들의 능력이나 적성 등을 고려하여 교육 방법을 다양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학습 시에 나타나는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에 적합한 교수 학습 방법이 무엇인지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학습양식 유형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러한 인식이 그들의 교수양식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는 20명의 경력 교사들과의 개별면담으로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학습양식에 대한 인식과 교수양식과의 연관성에 있어 크게 네 가지 유형을 보였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맞는 교수양식을 제공하는 유형, 둘째, 학생들의 부족한 학습양식을 채우거나 보충할 수 있는 형태의 교수 양식을 제공하는 유형, 셋째, 다양한 교수양식을 제공 하는 유형, 넷째, 교사의 신념에 따른 자신 있는 교수 양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유형이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양식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과 달리,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맞춘 교수양식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과 교사의 배경: 미국 교사에 관한 연구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Teachers' Backgrounds: A study of U.S. Teachers)

  • 김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33-550
    • /
    • 2013
  • 교사가 어느 수준의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를 가지고 있는가는 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강력한 영향을 준다 (Hill, Rowan, & Ball, 2005). 그러나 학교나 지역 교육청이 교사의 MKT 수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어떤 교사들에게 MKT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와 재원을 줄 것인지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어떤 특징이 그들의 MKT 수준과 관련이 있는가를 탐구한다. 본 논문은 33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MKT와 그들의 인구학적 그리고 교육적 배경 및 교수 경험과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특히, 교사의 MKT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객관식 평가 문항을 이용했다. 결국, 교수경력은 MKT 측정과 아무런 영향이 없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수학 교사 교육을 위한 정책에 대한 논의로 본 고를 마친다.

  • PDF

직관에 관한 연구 역사와 수학교육적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History of Intuition Research and its Mathematics Educational Implication)

  • 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63-376
    • /
    • 2008
  • 본 논문의 목적은 창의적 능력의 한 요소로 간주되어 온 직관에 관한 이해와 관심을 새롭게 하고, 수학 교수 학습에서 직관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고찰을 통해 직관의 본질과 직관에 관한 연구의 역사, 사고의 발현 과정을 선형적인 측면에서 몇 개의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는 정보치리 접근 방법에 의한 직관 연구를 살펴보았다. 오래 전부터 직관은 신비스러운 속성을 지닌 대상으로 간주되었고, 따라서 직관을 탐구하기 위한 논의 자제가 어려됐다. 그렇지만 20세기에 들어와 심리학 관점에서 직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직관에 대한 연구는 역사정보처리 관점에 의한 직관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병렬분산처리 모델 관점에 의한 직관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직관에 관한 연구들은 직관의 속성을 완벽하게 규명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말해 준다. 한편 수학교육 분야에서 직관에 관한 연구는 몇 및 학자에 의해 수행되었지만, 수학 교수 학습 상황과 관련하여 실천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미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직관 탐구의 역사에 대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수학교육에서 직관 탐구의 의미와 직관을 중심으로 한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