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Emergence percentag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벼 수발아가 종자 활력, 발아율 및 입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Sprouting on Seed Viability,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Rate of Rice)

  • 손지영;김준환;정한용;김보경;최경진;양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27-434
    • /
    • 2014
  • 1. 생산지에 따라 벼 종자의 수발아립률 차이가 컸던 호품벼의 출아율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수발아율 8%인 시료는 수발아율이 1%인 시료에 비해 발아율과 출아율, 종자활력이 30% 낮았다. 2. 수발아율이 높은 시료는 수발아립의 변색 정도가 심하고 미발아율과 부패율이 높았다. 수발아립은 배가 돌출하고, 변색된 배유와 곰팡이 감염이 관찰되었으며 배유의 1/2이상이 변색된 종자는 발아율이 매우 낮았다. 3. 종자의 발아 진행정도에 따라 현미의 변색이 심해졌는데, 싹이 3 mm이상일 경우 배유의 1/2정도가 변색되었다. 4. 발아 종자는 싹이 3 mm이상일 때부터 재발아율이 크게 떨어졌으며 퇴화촉진처리 후 발아율의 감소가 더 컸다. 특히 퇴화촉진처리한 발아 종자는 싹이 2 mm부터 종자활력이 크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수발아 발생이 심할수록 파종기 발아율과 출아율의 감소가 크고, 수발아가 3 mm이상 발생하면 발아율이 크게 저하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발아는 동일 품종과 동일 지역에서도 포장 간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재배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Seed Quality, Germinability and Initial Growth of Pterocarpus erinaceus (African Rosewood). How Important are Mother Tree Size, Source and Timing of Fruit Harvest?

  • Tiika, Richard J.;Issifu, Hamza;Baatuuwie, Bernard Nuoleyeng;Nasare, Latif Iddrisu;Husseini, Rikiat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69-77
    • /
    • 2019
  • Pterocarpus erinaceus is a multipurpose tree species indigenous to semi-arid and Guinean-savanna woodlands of Africa. Natural regeneration on the savanna is being hampered by higher fire frequencies and other land use changes. Simultaneously, demand for timber from the species on the international market is on the rise, raising conservation concerns. To ensure sustainability, good quality seeds, sources of which have not received much research focus, are needed for afforest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eed quality, germinability and initial seedling growth of P. erinaceus might be influenced by land-use type, mother tree size as well as source and timing of fruit harvest, using both correlational and experimental approaches. The results showed that up to 94.6% of all harvested fruits contained seeds, with no differences found between fruits harvested from cultivated and non-cultivated lands. Percentage of (sound) unblemished seeds was found to be higher for fruits harvested early March (47.3%) than fruits from late April (39.5%). Percentage sound seeds was 41.4% for dispersed fruits (i.e. detached fruits picked from under mother trees) which was not found to differ from undispersed fruits (i.e. fruits harvested while still attached to mother trees) at 45.5%. Also, the influence of fruit harvest time was not found to be different for dispersed and undispersed fruits. Correlations between seed set (proportion of fruits containing seeds) and mother tree size (both tree height and DBH) were found to be very low and non-significant for both dispersed and undispersed fruits. Across mother trees, mean emergence percent was 79.7%, and mean seedling height at three weeks following emergence was 5.32 cm. Both emergence percentage and seedling height were not found to differ among mother trees, but seeds from dispersed fruits had a higher emergence percent (85%) than seeds from undispersed fruits (74%). Implications of findings are discussed.

Effect of Zinc Chloride on Commercial Trails of the B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 Hugar, I.I.;Kaliwal, B.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1호
    • /
    • pp.75-79
    • /
    • 2003
  • Oral supplementation of zinc chloride to silkworm larvae in different concentrations (30, 60 and 90 ${\mu}g$/ml) to the fourth and fifth instar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commercial traits, like larval weight, silk gland weight, cocooning percentage in lower concentrartion (30 ${\mu}g$) treated group. The female cocoon weight, shell weight and its ratio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30 and 60 ${\mu}g$ treated groups, male cocoon weight, and shell weight in 30 ${\mu}g$ treated group and its ratio in 60 and 90 ${\mu}g$ treated groups, filament length, weight and moth emergence percentage in all the treated groups and egg productivity in 90 ${\mu}g$ treated grou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remaining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with that of carrier control.

Effect of Quantitative Nutrition on Adult Characters and Reproductive Fitness in Tropical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 Rath S. S.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0권1호
    • /
    • pp.19-24
    • /
    • 2005
  • Nutrition is very essential for growth,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The quantitative impetus of nutritional factor on adult characters and reproductive fitness was studied in Antheraea mylitta by providing fresh leaves of Terminalia tomentosa for 1 to 4 times a day to $5^{th}$ instar larvae. All the characters have improved on giving fresh diet more times over the single diet. The adult weight has strong effect on the reproductive potential i.e., female pupa and moth weight, survivability, pupation rate, emergence percentage, fecundity, fertility, egg weight and hatched out larval weight. The improvement recorded to the tune of $70\%,\;77.1\%,\;115.4\%,\;36.7\%,\;45.9\%\;and\;218.3\%$ in larval weight gain, survivability, pupation rate, female pupa weight, moth weight and fecundity respectively when fresh diets were provided 4 times a day against single diet. The adult emergence percentage has increased from $66.4\%\;to\;96.2\%$ and fertility rose from $52.2\%\;to\;93.6\%$. The weight of eggs and the larvae hatched out of it also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4 diets a day condition. The study revealed that optimization of fresh diet frequency should be maintained to obtain higher egg production and fertility in order to get vigorous larvae to continue the generation.

Influence of Thyroxine on the Economic Parameters of the B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 Hugar, I.I.;Kaliwal, B.B.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0-137
    • /
    • 1996
  • Thyroxine을 5, 10, 15$\mu$g/ml의 수준으로 이화성 누에 NB18 품종의 유충에 도말처리한 결과 유충, 견사선, 고치, 고치층 등의 무게가 증가되고 유충경과 일수는 단축되는 등, 누에의 실용형질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10-15$\mu$g/ml의 thyroxine 처리구에서 얻어졌고 5$\mu$g/ml처리구는 대조구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화아율과 부화율은 thyroxine처리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유충경과일수는 단축되었다.

  • PDF

솔잎혹파리 발생예찰을 위한 우화기구개발에 관한 연구 I. 우화기구별 솔잎혹파리 보호효과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llection Traps of the Adult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 Comparison on the Efficiency of Adult Pine Gall Midge Collection with Newly Devised raps)

  • 우건석;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5-113
    • /
    • 1978
  • 본 실험은 솔잎혹파리의 성충우화수 조사기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경기도 안양시 안양리 산 160번지와 수원시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에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솔잎혹파리의 우화기간은 5월 중순부터 8월중순이었고 우화최성기는 기구별로 차이가 있어 표준형은 5월 29일-6월 2일, Funnel-A형은 6월 3일-7일, Suction형 Trap은 6월 8일-12일간이었다. 2. 우화율은 실내실험구의 Funnel-A형에서 $41.06\%$였다. 3. Suction형 Trap은 밀도가 낮은 우화초기와 말기에 보호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4. 기존 표준우화상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Funnel-A형과 Suction형 trap의 개발이 바람직하다.

  • PDF

온도에 따른 난지형 마늘 출현 모형 (A Simple Emergence Model of Southern Type Garlic Based on Temperature)

  • 문경환;최경산;손인창;송은영;오순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3-348
    • /
    • 2014
  • 일 평균기온을 이용하여 난지형 마늘의 출현시기와 출현율을 일별로 예측하는 동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난지형 마늘은 최적온도인 $12.7^{\circ}C$보다 증가하면서 출현율과 출현속도가 감소하였다. 일 평균기온을 입력하여 난지형 마늘의 일별 출현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베타함수와, 출현속도를 누적하여 마늘 출현율의 변화를 예측하는 비선형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으로 생장상의 실험결과를 잘 설명할 수 있었다. 모형을 재배기간 온도조건이 다른 온도구배터널에 적용해본 결과 온도구배터널 재배 마늘의 출현시기와 출현율을 비교적 잘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노지 포장에서는 모형에서는 출현시기가 실제 관측된 것보다 5일 정도 빠를 것으로 예측되어 토양수분 등 온도이외의 다른 요인을 반영할 수 있도록 모형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식물 生長調整劑處理가 양파(Allium cepa L.)의 幼苗生長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 on Seedling Growth in Onion Seed(Allium cepa L.))

  • 이성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8-42
    • /
    • 2001
  • 양파의 직파재배를 안정화를 기하기 위한 일환으로 농도별로 조정한 생장조정제에 종자를 침지한 다음 포장에 파종하여 유묘의 초기생장성을 조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생장조정제 처리 종자의 출아율은 BA, GA$_3$ 및 kinetin 이 각각 93.0, 94.3, 93.8%로 생장조정제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무처리 종자 80%보다는 훨씬 높았다. 2. 초장은 식물생장조정제 처리효과가 뚜렷하였는데, 그 정도는 GA$_3$, kinetin 및 BA순이었으며, GA$_3$,와 BA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초장이 컸던 반면, kinetin은 오히려 작아졌다. 3. 전개엽수는 식물생장조정제처리에 의해서 증가하였는데 식물생장제별 큰 차이는 없었다. 4. 유묘의 뿌리수는 식물생장조정제처리에 의해 뚜렷하게 증가하였는데. CA$_3$처리에서 가장 효과가 컸으며. 다음이 BA, kinetin 순이었다.

  • PDF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잡초종의 Allelopathic 잠재성 평가 (Assessment of Allelopathic Potential of Some Weed Species on Alfalfa(Medicago sativa L.)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 정일민;디 에이 밀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30
    • /
    • 1995
  • 본 실험은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canada thist1e 등 7종잡초의 allelopathic 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대한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두 추출물이 공히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보다 더 큰 억제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b=3.69),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정도를 보였다(b=2.39). 2. 농도에 따른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외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으며, 알팔파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3. 건조된 velvetleaf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시 혼합비율이 증가될수록 알팔파의 초기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혼합비율 1%에서는 출현율과 생존율이 44.0%, 56.7%로 가장 낮았다. 4. 잡초 잔기의 처리시간에 따른 알팔파 초기 생육에 대한 억제작용은 처리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알팔파 생장이 억제되었고, 그 억제정도는 velvetleaf 72시간 처리시 가장 높았다.

  • PDF

Development of a trivalent vaccine for prevention of co-infection by Miamiensis avidus and Tenacibaculum maritimum in farmed olive flounder

  • Hanchang Sohn;Hyukjae Kwon;Seongdo Lee;Qiang Wan;Jehee Le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10호
    • /
    • pp.605-616
    • /
    • 2023
  • Scuticociliatosis, caused by the parasitic pathogen Miamiensis avidus,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olive flounder farms in South Korea. Infected fish suffer from severe systemic infections affecting various organs, with potential secondary bacterial disea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ergence of different M. avidus serotypes in 20 olive flounder farms on Jeju island, South Korea, from 2015 to 2020. Additionally, we identified Tenacibaculum maritimum as a co-infecting bacteria. Based on serotyping and monitoring data, we developed a trivalent vaccine targeting two serotypes of M. avidus and one strain of T. maritimum. The efficacy of the vaccine was evaluat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nd demonstrated a relative percentage of survival (RPS) of 75%, 80%, and 93% for M. avidus serotype I, M. avidus serotype II and T. maritimum, respectively. Furthermore, successful field trials conducted on four different olive flounder farm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s (52%-76% RPS) and weight gains in vaccinated fish. Overall, this study presents an effective vaccine against M. avidus and T. maritimum infections in farmed olive flounder, making a valuable contribution to sustainable aquaculture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