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24초

수원 511호와 일품쌀의 항산화성분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n Suweon-511 and Ilpum Rice)

  • 우관식;정응기;서세정;양창인;정헌상;김기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23-1230
    • /
    • 2008
  • 2006년 새롭게 육성된 계통명 수원 511호 품종에 대한 이 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수원 511호에서 318.17 $\mu$g/g으로 나타나 일품쌀(222.16 $\mu$g/g)보다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수원 511호에서 167.21 $\mu$g/g으로 나타나 일품쌀 (100.89 $\mu$g/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alpha$- 및 $\gamma$-tocopherol 의 함량은 수원 511호의 경우 0.14 및 1.17 mg/100 g을 나타낸 반면 일품은 각각 0.06 및 0.80 mg/100 g으로 수원 511호 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tocopherol 함량 또한 수원 511호 가 1.31 mg/100 g으로 일품(0.86 mg/100 g)에 비해 높았다. $\alpha$-, $\gamma$- 및 $\delta$-tocotrienol의 함량은 수원 511호의 경우 0.10, 0.43 및 0.02 mg/100 g을 나타냈으며, 일품은 각각 0.09, 0.43 및 0.03 mg/100 g으로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511호 및 일품쌀의 $\gamma$-oryzanol 함량을 측정 한 결과 각각 76.58 및 7.77 $\mu$g/g으로 수원 511호가 약 10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항산화력은 수원 511호와 일품쌀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항산화력은 각각 16.00 및 9.73mg AA eq/g으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은 5 mg/mL의 농도에서 수원 511호 및 일품쌀 모두 0.18을 나타내었고 2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0.61 및 0.58을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511호의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5 mg/mL의 농도에서 각각 42.00, 21.59, 23.27 및 17.13%로 나타났으며, 일품은 30.10, 22.37, 25.18 및 18.08%로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새롭게 육성된 수원 511호 쌀은 일품쌀에 비해 항산화성분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활성 또한 약간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동 건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Properties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Root)

  • 구경윤;김원백;박소해;김민지;김보람;황지회;김민정;손홍주;황대연;김동섭;이충열;이희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24-5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천문동 건근의 부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이와 관련된 물질을 탐색하고 동정하였다. 천문동 건근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은 부위는 껍질에 해당하고 DPPH radical 소거능, nitrite 소거능, hydroxy radical 소거능 및 ABTS 양이온 소거능과 같은 항산화 활성이 껍질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껍질에 존재하는 폴리페놀 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껍질에 존재하는 항산화 활성 물질을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동정한 결과 리그닌의 생합성에 중요한 전구물질인 caffeic acid가 주요 항산화 활성 물질이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천문동이 지닌 효능을 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천문동의 건조 후에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한다.

숙성 흑율피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Aged Black Chestnut Inner Shell)

  • 손은정;박소영;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2-209
    • /
    • 2017
  • 본 연구는 항산화성이 우수하나 버려지는 율피의 이용 증대를 위해 숙성시켜 파우더로 만든 후 쿠키에 첨가(0.25%, 0.5%, 1%)하여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숙성 흑율피 첨가 쿠키의 수분 함량은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함량도 같이 증가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환원당 함량은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명도는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숙성 흑율피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황색도는 숙성 흑율피 첨가량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 흑율피 쿠키의 조직감은 강도에서만 각각에 유의적이 차이를 보였으며 씹힘성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페놀의 함량은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숙성 흑율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IC_{50}$ 값이 낮게 나타나 항산화능이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상, 거침성, 숙성 흑율피의 이질성, 숙성 흑율피의 향, 숙성 흑율피의 맛은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버터향과 단맛은 숙성 흑율피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기호도 특성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와 구매의향은 0.5%의 숙성 흑율피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왔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숙성 흑율피를 쿠키에 첨가 시 0.5% 수준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며, 폐기하던 율피의 이용도를 증대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유색미 색소체 및 페놀성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항변이원성 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y with Content of Pigments and Phenolic Compounds of Colored Rice Seeds)

  • 강미영;신수영;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68-974
    • /
    • 2003
  • 국내 외에서 수집 재배한 23품종 유색미의 색소 및 페놀성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고 항산화성 및 항변이원성과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색소의 함량은 LK 1-3-6-12-1-1>LK ID 2-7-12-1-1>Elwee>Mutumanikam>IR 1544-38-2-2-1-2-2>wx 124-163-45-7-1-1-1, LK 1A-2-12-1-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폴리페놀화합물의 양은 IR 17491-5-4-3-3 품종이 현미 100g 당 0.244g으로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그 다음은 LK 1-3-6-12-1-1>LK ID2-12-1>Elwee>Mutumanikam>IR 1544-38-2-2-1-2-2, LK IA-2-12-1-1 등의 순이었다. 유색미 품종별 색소의 함량은, 유색미 함유 생리활성 성분 중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높은 정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색도상의 lightness는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과 정의 상관성이 있었으나, redness는 지질과산화 억제활성과 부의 상관성을 보였다.

생육단계별 포도 잎의 생리활성 성분 및 항산화능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rapevine Leaves at Growth Stages)

  • 김정현;최수경;유영산;윤광서;서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72-77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포도 잎의 품종별, 재배시기별 생리활성 효과를 분석하여 포도 잎의 자원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포도 잎은 캠벨얼리와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으로 생육단계별로 전엽기, 개화기, 결실기, 착색기 및 성숙기로 분류하여 포도 잎의 생리활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생육단계별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섬유소의 함량은 시기가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캠벨얼리와 로자리오비앙코 품종 모두에서 전엽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총 페놀 함량은 캠벨얼리 품종이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전엽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가 지남에 따라 점차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포도 잎의 전자공여능은 개화기까지 캠벨얼리 품종이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에 비해 높았으며, 총 항산화능은 성숙기를 제외하고는 생육단계별로 캠벨얼리 품종이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특히 개화기 이전의 포도 잎은 폴리페놀 함량이 높으며 강력한 항산화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포도 잎은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산업화하는데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맨드라미 (Celosia cristata L.)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노화 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elosia cristata L. ethanol Extract on Anti-oxidant & Anti-aging Activity)

  • 표영희;윤미연;손주현;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23권5호
    • /
    • pp.431-4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신소재 개발을 위하여 맨드라미(Celosia cristata L.) 식물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 효과 정도 및 화장품의 응용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맨드라미는 자생력이 강하고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세포수준이나 in vivo에서 맨드라미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 맨드라미 추출물의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 독성을 관찰하였으며 맨드라미 에탄올 추출물 $100{\mu}g/m{\ell}$에서 89.5%의 비교적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어 사람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활성 효과가 우수하였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작용측정에 있어서 맨드라미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었고, $100{\mu}g/m{\ell}$에서 25%의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silica에 의한 RAW 264.7 세포내 superoxide anion 생성을 최고 농도인 $100{\mu}g/m{\ell}$에서 49.5%로 억제하여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냈으며, DCF-DA를 이용한 세포내 $H_2O_2$ 생성을 측정한 실험에서에서도 맨드라미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어 $100{\mu}g/m{\ell}$에서 73%로 강력하게 항산화력을 보였다. 또한 hydroxyl radical 생성을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100{\mu}g/m{\ell}$에서 69.7%의 강력한 억제력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능이 매우 우수하다고 보여진다. 항노화 효능에 있어서 hyaluronidase 억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우수하여 최고 농도인 $100{\mu}g/m{\ell}$에서 40%의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며, 그 외 elastase에서는 39.7%의 억제율을 나타냈다. 이는 맨드라미가 hyaluronidase나 elastase발현의 전사단계에 관련하거나 혹은 단백질 번역 후 변형 (post-translation modification) 단계에 관여하여 효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원의 재생산이 용이한 맨드라미의 식용 및 약용 자원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시사하며, 맨드라미 추출물을 제조하여 화장품에 응용하면 우수한 보습제 및 항산화제, 노화 방지 화장품을 개발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진다.

The Butanol Fraction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Scavenges Free Radicals and Attenuates Oxidative Stress

  • Kim, Hyun Young;Sin, Seung Mi;Lee, Sanghyun;Cho, Kye Man;Cho, Eun J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18-22
    • /
    • 2013
  • To investigat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protective activities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against oxidative stress, in vitro and a cellular system using LLC-$PK_1$ renal epithelial cell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butanol (BuOH) fraction of bitter melon scavenged 63.4% and 87.1%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 at concentrations of 250 and $500{\mu}g/mL$,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BuOH fraction of bitter melon effectively scavenged hydroxyl radicals (${\cdot}OH$).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the scavenging activity of the BuOH fraction was more potent than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Furthermore, under the LLC-$PK_1$ cellular model, the cells showed a decline in viability and an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through oxidative stress induced by pyrogallol, a generator of superoxide anion ($O_2{^-}$). However, the BuOH fraction of bitter melon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inhibited cytotoxicity. In addition, 3-morpholinosydnonimine (SIN-1), a generator of peroxynitrite ($ONOO^-$) formed by simultaneous releases of nitric oxide and $O_2{^-}$, caused cytotoxicity in the LLC-$PK_1$ cells while the BuOH fraction of bitter melon ameliorated oxidative damage induced by $ONO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uOH fraction of bitter melon has 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oxidative damage induced by free radicals.

Lactobacillus plantarum ZLP001: In vitro Assessment of Antioxidant Capacity and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and Antioxidant Status in Weaning Piglets

  • Wang, J.;Ji, H.F.;Wang, S.X.;Zhang, D.Y.;Liu, H.;Shan, D.C.;Wang, Y.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8호
    • /
    • pp.1153-1158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ZLP001 and its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antioxidant status in weaning piglets. The survival in hydrogen peroxide and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ZLP001 were analysed in vitro. The Lactobacillus plantarum ZLP001 showed high viability in 1.0 mmol/L hydrogen peroxide and high scavenging ability against hydroxyl, superoxide anion, an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 which was dose dependent. Ninety-six weaning piglets were selected ($7.45{\pm}0.79kg$)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comprising of negative control without any supplementation, treatment group with supplemented $6.8{\times}10^7$ Lactobacillus plantarum ZLP001 CFU/g of diet, and positive control with antibiotic treatment (chlorotetracycline, 80 mg/kg diet). The results showed that Lactobacillus plantarum ZLP001 supplementation enhanced feed conversion rates in piglets compared with control (p<0.05). Supplement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ZLP001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p<0.05), glutathione peroxidase (p<0.01) and catalase in serum (p<0.10), while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 (p<0.05).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the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ZLP001 had high antioxidant ability and its supplementation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and antioxidant status of weaning piglets, so it can be considered useful to alleviate oxidative stress and increase productive performance of pig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Allium victoriallis L. var. platyphyllum

  • Choi, Soo-Im;Hong, Eun-Young;Lee, Je-Hyuk;Lee, Yong-Soo;Kim, Gu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313-31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in vitro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ethanolic extracts from Allium victoriallis L. var. platyphyllum (AVP) with 6 different part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se samples were determined using the 4 separate methods that involved reducing power, DPPH, hydrogen radical scavenging, and lipid peroxidation with use of a $\beta$-carotene/linoleic acid system. The leaf part ethanolic extracts (1,000 ppm)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potential for reducing power, DPPH, and hydroxyl radicals to 99.8, 49.4, and 52.8%, respectively. Inhibition values of linoleic oxidation were calculated as 58.0, 39.5, and 38.0% for seed, flower, and leaf ethanolic extracts (1,000 ppm), respectively, from AVP. In addition, the ethanolic extracts of the root part showed the most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y. The inhibition zones of the root ethanolic extracts ($200\;{\mu}g/disc$) of AVP against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17 and 14 mm, respectively. In a micro-dilution assay, B. cereus, 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exhibited sensitivity to root part ethanolic extracts with an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value of 20, 28, and 18 mg/mL, respectively. Therefore, the AVP extracts may be suitable as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gents in the food industry.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과피의 용매별 추출물의 Flavonoid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eel Extracts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by Various Solvents)

  • 진동혁;오다영;이영근;강동수;김한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03-91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bio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el from Gardenia jasminoides fructus Ellis (GJE) in Namhae, Korea, following some established methods. CM (Chloroform:Methanol, 2:1, v/v), 70% ethanol, and n-butanol extracts were collected. Flavonoid content and value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of GJE peel was investigated through assessing antioxidant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uperoxide dismutase like ability; ferrous ion-chelating capacity; and tannin content by solvent extraction. Solvent extract antioxidant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t increasing concentrations (0.2, 0.4, 0.6 mg/mL). GJE peel extracts were less active than the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BHA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sodium salt dihydrat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JE peel could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source due to its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