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xy radical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8초

Protective Effects of a Ginseng Component, M altol(2- M ethyl-3- Hydroxy-4- Pyrone) against Tissue Damages Induced By Oxygen Radicals

  • Jae-Gook Shin;Jon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0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Korean Ginseng, 1990, Seoul, Korea
    • /
    • pp.45-48
    • /
    • 1990
  • Maltol(2-methyl-3-hydroxy-r-pyrone), a component known to be present in Korean Ginseng root showed an antioxidant action but its potency as an antioxidant was low; about 1150th that of other antioxidants such as p-phenylenediamine , BHA and BHT. However, maltol was able to protect the oxidation adamants in biological systems such as adriamycin-induced membrane damage in isolated cardiomyocytes, parquet-induced toxicities in isolated hepatocytes and repercussion injury in isolated hearts. The antioxidant action of maltol was also shown to be effective in vivo. The antioxidant action of this compound was probably due to the removal of hydroxyl radicals. In view of the roles of oxygen radical in various pathological processes, Korean Ginseng root, which contains several antioxidants including maltol, is expected to have beneficial efforts on the oxygen radical-involved processes. Keywords Maltol, Oxygen free radicals, Lipid preoccupation, Repercussion injury and Korean ginseng

  • PDF

수확시기별 제주재래종 감귤과피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of Jeju Native Citrus Peel during Maturation)

  • 김용덕;마힌다;고경수;전유진;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2-469
    • /
    • 2009
  • 제주재래종 감귤류 10종에 대해서 수확시기별 총 폴리페놀 함량과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지각과 홍귤이 미숙과인 8월 하순과 9월 하순에 200 mg% 내외로 가장 높았고 대부분의 감귤종이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확시기별 감귤과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은 홍귤과 지각에서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사두감이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홍귤과 지각을 제외한 감귤류의 수확시기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8월 하순에 사두감이 73.8%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에 지각이 거의 70%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감귤종이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대부분의 재래감귤종의 과피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지각과 당유자가 8월 하순에 각각 75.1%와 74.6%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고, 그 외 감귤종도 6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수확시기별 차이는 거의 없었다. 감귤이 성숙됨에 따라 hydrogen peroxide 소거능,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병귤이 58.4%로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다른 활성산소종에서 활성이 높았던 사두감, 지각, 당유자가 활성이 가장 낮았다. 본 실험결과 제주재래종 감귤 중 특히 지각이 대부분의 활성산소종에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까마중내 (Solanum nigrum L.) 항산화방어계의 항산화력 및 물질의 동정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otential and ldentification of Active Principles of Solanum nigrum L. on Antioxidant Defense Systems)

  • 임종국;정규영;정형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09-516
    • /
    • 2001
  • 까마중의 부위별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뿌리에서 가장 높았고, 줄기, 전부위, 열매 잎 그리고 꽃 순으로 높았다. 추출방법간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80%methanol에 침지하여 추출한것보다는 $80^{\circ}C$에서 80% meth-anol에 흰류추출한것이 높았다. Sephades LH-2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획된 L6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ethy acetate 분획 추출물보다 6.7배 높았다. 분획물내의주요물질은 2, 6-methano-3-benzazocin-11-ol, 2[1h]-pyridinethione 및 2-hydroxy-5 methylbenzaldehyde로 phenolic 화 물이었다. 줄기와 뿌리의 POD및 SOD 활성은 타 부위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생육기간에는 파종 후 60일후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PODdmlehddnl gth 패턴은 뿌리에서 10개의 band로 가장 많았고 그중 8개의 band가 식물체의 부위별로 차이가 있어Tdmaul, SOD의 동위효소 패턴은 잎에 5개의 band로 가장 많았고 그중 2개의 band가 식물체의 부위별로 차이가 있었다.이가 있었다.

  • PDF

Cu-Zn 금속 합금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한 난분해성 COD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Refractory Organics by Redox Reaction of Cu-Zn Metal Alloy)

  • 송주영;박지원;김종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6-172
    • /
    • 2013
  • 본 연구는 압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 함유되어있는 난분해성 COD 물질을 $80{\mu}m$ 두께의 극세사 형태로 제조된 Cu-Zn 금속합금의 산화 작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OH 라디칼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OH 라디칼은 유기화합물(RH) 속에 포함된 수소를 수소추출반응(H Abstraction) 또는 탄소와 탄소(C-C)의 불포화 결합에 첨가됨으로써 빠르고 비 선택적인 반응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처럼 난 분해성 유기화합물의 처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합금 반응 물질은 극세사 형태로 표면적이 넓어서 1회 처리만으로도 수용액의 pH를 평형에 도달하게 하여서 반응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D처리 효율은 중성 pH에 가까운 pH 7, pH 6에서 최고치를 보였으며 산성분위기인 pH 5이하 및 알칼리성 분위기인 pH 8이상에서는 낮은 효율을 보였다. 실제 압연 폐수의 응집 침전을 이용한 COD 처리에서도 redox 반응장치의 유무에 따라 2배 이상의 처리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방풍통성산가미방(防風通聖散加味方)이 비만유도(肥滿誘導) 백풍(白嵐)와 지방세포(脂肪細胞) 분화(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Anti-obestic Effects of Bangpoongtongsungcankamibang(BTSK) in 3%3-L1 preadipocyte cells and the Lipid Metabolism of Obesity induced Rats)

  • 이진용;김덕곤;안홍식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9-240
    • /
    • 2006
  • Objective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anti-obestic effects of Bangpoongtongsungcankamibang(BTSK). Method : In vitro, BTSK extracts of various concentration (50,100, 200 $200{\mu}g/ml$)were added examination.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C/EBP{\alpha}$ and $PPAR{\gamma}$ receptor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ssay and RT-PCR. In vivo, BTSK extracts of various concentration (100, $200{\mu}g/ml$) were orally administered to induced hyperlipidemic rats by poloxamer-407 for consecutive four weeks an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were measured. This method applied to induced hyperlipidemic rats by triton WR-1339, too. Obesity induced rats by the high fat-diet for six weeks were orally administered BTSK extracts of various concentration (100, $200{\mu}g/ml$) an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hydroxy radical, superoxide dismuatse activity were measured. Results : I. In vitro 1. The 3T3-L1 cells' 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BTSK. 2. expression of $C/EBP{\alpha}$ and $PPAR{\gamma}$ w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BTSK. II. In vitro 1. BTSK significantly reduce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contents in poloxamer-407 treated rat. 2. BTSK significantly reduced serum triglyceride, contents in Triton WR-1339 treated rat. But Total cholesterol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3. BTSK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gain of rat and adipose tissue mass of rats and serum triglyceride, LDL-cholesterol, content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HDL-cholesterol, HTR(HDL-cholesterol/Total-cholesterol) in rats with obesity induced by the high fat-diet. 4. BTSK reduced blood lipid peroxide, hydroxy radical and increased superoxied dismuatse(SOD) activity.

  • PDF

양쪽성 이온 계면활성제의 유도체합성 및 계면성에 관한 연구(제1보);N-알킬 혹은 아실히드록시 술포베타인류의 합성 (Synthesis and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Amphoteric Surfactant Derivatives(I);Synthesis of N-Alkyl or Acyl Hydroxy sulfobetaines)

  • 이진희;하정욱;박홍조;노윤찬;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77
    • /
    • 1994
  • In order to review industrial application of amphoteric surfactants, new types of hydroxy sulfobetaine, 3-(N, N-dimethyl N-dimethyl-N-alkylammonio)-2-hydroxy-1-propane sulfonate and 3-(N, N-dimethyl N-acylammonio)-2-hydroxy-1-propane sulfonate were prepared by the reaction of quaternized sodium 1-chloro-2-hydroxy-3-propane sulfonate with N, N-dimethyl-N-alkylamine and N, N-dimethyl N-acylamido propylamine that have a straight chain radical of 12, 18 carbon atoms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alkali catalyst. All the reaction products could be separated by means of column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the yields of all products ranged in $85{\sim}90%$, the structure of them could be confirmed from IR and $^{1}H$-NMR spectra.

국수에 대한 4종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ABTS+, OH 라디칼, NO 라디칼, 철 이온 환원력 (ABTS+ Radical, Hydroxy Radical (OH), Nitric Oxide (NO), and 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our Seaweed Species for Noodles)

  • 조경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21-1129
    • /
    • 2017
  • 4종의 식용 조류, 참김(Porphyra tenera), 미역(Undaria pinnatifida), 톳(Sargassum fusiforme), 잎파래(Enteromorpha linza)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ABTS+ 소거활성, 하이드록시 라디칼(OH), 산화질소(NO), 철 이온 환원력(FRAP)을 조사하였다. ABTS+ 소거활성은 Brand-Williams 등의 방법에 따랐다. 톳의 ABTS+ 소거활성은 8.0 mg/ml 일 때 61.8%로 가장 높은 반면 잎파래는 동일 농도에서 35.7%로 가장 낮았다. 참 김과 미역은 ABTS+에 대해 유사한 활성 저해를 나타내었다. 하이드록시 라디칼의 저해활성은 톳 > 참김 > 미역 > 잎파래 순이었다. 산화질소는 8.0 mg/ml 추출물일 때 톳 > 참김 > 미역 > 잎파래 순이었다. 3.5% 소금과 4종의 조류 추출물을 첨가한 밀가루 반죽을 국수틀에 뽑아낸 후 5분간 끓였을 때 전반적으로 4개의 산화제에 대해 활성저해가 저하되었다. 톳 8.0 mg/ml를 첨가한 국수의 경우 산화질소 활성저해는 27.2%였다. 미역 8.0 mg/ml을 첨가한 국수는 철 이온 환원력이 31.5%였다. 종합적으로 톳 추출물이 ABTS+, OH, NO, FRAP에 대해 활성저해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자연적으로 분포하는 참김, 미역, 톳, 파래가 국수의 항산화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고 사료되었다.

복분자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의 동정 및 활성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m Fruit)

  • 윤인;조정용;국주희;위지향;장미영;안태회;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98-904
    • /
    • 2002
  • 복분자를 착즙하여 착즙액과 잔사로 나누고, 각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각 획분을 대상으로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측정하였더니, 각 추출물의 EtOAc 가용산성획분에서 비교적 강한 활성이 나타났다. 이들 획분에 함유된 활성물질을 규명하고자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다음 활성획분을 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분자 착즙액의 EtOAc 가용 산성획분에 함유된 물질로 4-hydroxybenzoic aci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and 3,4-dihydroxycinnamic acid 등이 동정되었고, 잔사 MeOH 추출물의 EtOAc 가용 산성획분에 함유된 물질로 succin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citr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cinnamic acid가 동정되었다.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과 hydroxyl radical에 의한 malonaldehyde 생성억제 효과활성 등의 방법으로 동정된 물질의 항산화 활성이 평가되었다.

녹차 분말과 카테킨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력 비교 분석 (Analysi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atechin Concentrations and Green Tea Extract Powder)

  • 최경민;윤용갑;강경화;오성수;양환덕;김형준;박진영;전병훈;김석일;박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580-1584
    • /
    • 2005
  •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techin from green tea extracts were examined by the method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electron donating ability, hydroxy scavenging activity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xanthine oxidase activity. The resulted demonstrated the fact that Catechin one (containing Green tea extracts plus catechin 51%) of green tea extracts product showed at 65.5% in electron donating activity on the DPPH.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n the DPPH of Catechin one was increased to 10% than purified catechin. Catechin one showed the activity at 64.5% in scavenging activity using hydroxy radical method. To the Catechin one provided to increase the hydroxy scavenging activity up to 3 fold. Inhibitory effects of the catechin one measured with xanthine oxidase method was 6.5%. Although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atechin (98% purified) was lower than that of Catechin one (containing Green tea extracts plus catechin 51%) in same catechin concentrations ($5{\mu}g$, respectively). Therefore, we may suggest that Catechin one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additive possessing the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시화호 유역 강수 중 hydrogen peroxide($H_2O$$_2$) 농도 변화 분석 (Measurements of hydrogen peroxide($H_2O$$_2$) in Rainwater at Sihwa)

  • 최성원;장유운;이강웅;이미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112
    • /
    • 2002
  • 대기 중에 존재하는 hydrogen peroxide($H_2O$$_2$)는 특별한 source를 통해 배출되기보다는 오존이 광분해 되어 수증기와 반응하여 생성된 hydroperoxy radical (HO$_2$)의 self-reaction이나, 대기 중으로 배출된 VOCs의 산화 과정과 같은 광화학적 기원으로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H_2O$는 오존(O$_3$), hydroxy radical(OH)과 함께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물질과 반응하여 그 농도를 감소시키는 산화제를 역할을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