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xy fatty acid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42초

국내 자생버섯, Phellinus ribis 중 Ceramide 성분 (Constituents of Ceramide of a Native Mushroom, "Phellinus ribis" in Korea)

  • 문동철;황경화;최규열;이용문;김정훈;김재길;박영현;김미란;지옥표
    • 분석과학
    • /
    • 제7권4호
    • /
    • pp.547-554
    • /
    • 1994
  • 국내 자생 담자균, Phellinus ribis부터 ceramide 성분들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실리카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prep.-TLC로 재차 정제한 다음, 그 구조 및 조성을 검토하였다. FAB-MS 및 GC-MS를 이용하여 그 구성성분을 분석한 결과 지방산 주성분은 hydroxy fatty acid($C_{22:0}$, $C_{25:0}$, $C_{24:0}$, $C_{23:0}$)이고 sphingoid 염기는 (tri-hydroxy-sphinganine 및 동족계열의 아민으로 확인되었다.

  • PDF

화장품(에멀젼형)에서 Pseudomonas aeruginosa의 성장과 방부살균제효과 (Growth of Pseudomonas aeruginosa in Cosmetics(Emulsion-type) and the Effect of Antiseptics)

  • 류미숙;김장규김남기
    • KSBB Journal
    • /
    • 제7권2호
    • /
    • pp.118-125
    • /
    • 1992
  • 1.에멀젼형 화장품시료의 오염정도는 P. aeruginosa의 증식을 촉진하는 fatty acids, waxs, oils, steroids 등의 유기물에 의존하였다. 2. 오염의 결과, 물성의 변화로서 화장품시료의 pH가 40일 경과시 7.6에서 6.0으로 변화되었다. P. aeruginosa의 영양원으로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들이 소모되어 화장품시료(물:오일=70:30)의 굴절률이 1.4430에서 1.4530으로 변화 되었다. 3. 오염이 진행되는 동안 화장품시료의 相의 안정서이 파괴되었으며, 약간의 변색, 변취와 함께 creaming 및 응집현상이 나타났다. 4. P. aeruginosa의 최적증식조건인 pH7.0, 온도$20^{\circ}C$에서, 물과 오일의 부피비에 의한 균증식은 70:30, 80:20, 30:70, 90:10, 50:50의 순서로 되었다. 5. 방부살균제를 첨가하여 challenge test를 한 결과, P. aeruginosa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40일 경과시 균수는 방부살균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10^8$개/ml에서 p-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 + phosphoric acid buffer solution첨가로 $5{\times}10^3$ 개/ml로 감소되었다. 6. 시험균주인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력은 p-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 + phosphoric acid buffer solution>p-hydroxy benzoic acid buthyl ester + acetic acid buffer solution>p-hydroxy benzoic acid methyl ester + phosphoric acid buffer solution>p-hydroxy benzoic acid methyl ester + p-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p-hydroxy benzoic acid buthyl ester + potassium chloride sodium hydroxide buffer solution>p-hydroxy benzoic acid buthyl ester + p-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p-hydroxy benzoic acid methyl ester + acetic acid vbuffer solution>acetic acid buffer solution _ potassium chloride sodium hydroxide buffer solution의 순으로 우수하였으며 pH, 농도, 균수등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 PDF

벌꿀의 밀원별(蜜源別) 품질관련성분(品質關聯成分)의 비교연구(比較硏究) -불포화(不飽和) 고급지방산(高級脂肪酸)의 함량(含量)에 대하여- (Comparative study on some quality-related components of different floral honeys -esp. on the contents of unsaturated higher fatty acids-)

  • 이영근;민병욱;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02-109
    • /
    • 1991
  • 아카시아꿀, 잡화꿀, 밤꿀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및 유리당을 정량분석하고 지방산을 GC-MS로써 분석한 결과 아카시아꿀, 잡화꿀, 밤꿀의 평균 수분 함량은 각각 19.7, 19.1, 18.9%이었으며 회분은 각각의 평균이 0.028, 0.050, 0.050%로서 아카시아꿀에서 비교적 낮았다. 벌꿀의 HMF (hydroxy methyl furfural)는 아카시아꿀과 잡화꿀의 평균함량이 18mg/kg정도이나 밤꿀은 다소 높은 20.21mg/kg 이었으며 유리산도는 밤꿀이 평균 2.28 meq/kg으로서 가장 높으며 아카시아꿀에서는 8.85 meq/kg으로서 가장 낮았다. 유리당의 함량은 밀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3종 모두 포도당 $31.0{\sim}32.0%$, 과당 $35.0{\sim}36.0%$이었고 과당/포도당의 비율도 3종 모두 거의 동일한 1.14 정도이었다. GC-MS에 의한 자방산의 분석에서는 dodecanoic acid, 10-hydroxydecenoic acid, 6,9-undecadienoic acid, tetradecanoic acid, 12-(acetyl oxy)-9-octadecenoic acid 및 14-octadeceno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벌꿀의 품질판정에 이용되고 있는 10-hydroxydecenoic acid의 함량은 3증 모두10mg% 내외이며 $20{\sim}30mg%$에 달하는 시료도 있는 반면 검출되지 않은 시료도 있었다.

  • PDF

飽和脂肪酸의 酸素添加反應에 關한 硏究 (第1報) (On the Hydroxyda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1))

  • 박정환;한갑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21
    • /
    • 1961
  • The hydroxydation of the saturated fatty acids in order to prepare hydroxy fatty acids in the presence of catalysts was reported by several workers. The considering commercial applications of this reaction, authors studied on the hydroxydation of natural fats composed of nonhydroxy saturated fatty acids. Tallow and stearic acid were tested with manganese dioxide as catalyst, $110 {\pm}3^{\circ}C,$ and under atmospheric oxygen. The highest hydroxyl values were obtained at 20 hours for tallow, 107.6 and at 14 hours for stearic add, 116.0.

  • PDF

What is the Key Step in Muscle Fatty Acid Oxidation after Change of Plasma Free Fatty Acids Level in Rats?

  • Doh, Kyung-Oh;Suh, Sang-Dug;Kim, Jong-Ye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3호
    • /
    • pp.173-17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ern the critical point in skeletal muscle fatty acid oxidation by changing plasma free fatty acids (FFA) level in rat. In the study, 3 key steps in lipid oxidation were examined after changing plasma FFA level by acipimox. The rates of both palmitate and palmitoylcarnitine oxidation were decreased by decrease of plasma FFA level, however,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CPT) 1 activity was not changed, suggesting CPT1 activity may not be involved in the fatty acid oxidation at the early phase of plasma FFA change. In the fasted rats, ${\beta}-hydroxy$ acyl-CoA dehydrogenase (${\beta}$-HAD) activity was depressed to a similar extent as palmitate oxidation by a decrease of plasma FFA level. This suggested that ${\beta}-oxidation$ might be an important process to regulate fatty acid oxidation at the early period of plasma FFA change. Citrate synthase activity was not altered by the change of plasma FFA level. In conclusion, the critical step in fatty acids oxidation of skeletal muscles by the change of plasma FFA level by acipimox in fasting rats might be the ${\beta}-oxidation$ step rather than CPT1 and TCA cycle pathways.

A new 4-hydroxy-dodec- 2E-enedioic acid from the stem bark of Albizzia julibrissin

  • Jung, Mee-Jung;Woo, Ju-Jung;Jung, Hyun-Ah;Kang, Sam-Sik;Choi, Jae-Su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69.3-369.3
    • /
    • 2002
  • Albizzia julibrissin Durazz (Leguminosae) is a small domed to flat-topped, spreading tree with smooth. gray-brown bark and doubly pinnate leaves. It grows abundantly in Korea. The dried stem bark of A. julibrissin is used as a tonic in China, Japan and Korea. From the stem bark of A. ju/ibrissin, a new unsaturated hydroxy fatty acid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as 4-hydroxy-dodec-2E-enedioic acid on the basis of several data including 2D-NMR. (omitted)

  • PDF

조선시대 회곽 묘 출토 염습의에 부착된 회백색 물질의 동정 (Identification of Greyish White Material Adhered to Shrouds from Tombs Covered with Lime of the Chosun Dynasty)

  • 오준석;유혜선;윤은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16권
    • /
    • pp.21-26
    • /
    • 2004
  • 회곽의 구조를 가진 충청북도 보은의 유인서 부처 묘와 옥천의 무연고 분묘에서 출토된 수침 복식에 부착되어 있는 회백색 오염물질에 대한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미라의 회백색 물질과 동일 성분인 지방산의 칼슘염이 주성분이며 지방산, 지방, 단백질이 소량 함유된, 사체의 지방이 분해되어 생성된 시랍으로 판명되었다. 또 시랍의 주성분이 지방산의 칼습염인 것은 사체의 뼈나 회곽의 성분인 석회와의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방산 분석을 통해 사체의 시랍에서 볼 수 있는 10-Hydroxyhexadecanoic acid 및 10-Hydroxyoctadecanoic acid가 확인되었고 지방산의 함량 분포패턴도 Palmitic acid와 같은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높고, Oleic acid와 같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낮은 시랍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옥천과 보은에서 출토된 복식 표면의 회백색 물질은 미라로부터 이동된 시랍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아밀로스 함량이 다른 쌀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Cultivar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 최인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13-1319
    • /
    • 2010
  • 일품벼에서 유래된 신형질미의 취반 및 가공 등 용도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백미와 현미에 대한 성분 분석 및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원품종인 일품벼과 신형질미인 고아미2호, 백진주, 설갱의 이화학적 특성은 품종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아미2호는 고 아밀로스 품종으로 분류되며, 난소화성 다당류의 함량도 높게 나타난 반면에, 백진주는 저아밀로스 품종으로 반 찰벼의 특성을 보였다. 지방산은 백미와 현미에서 linoleic acid와 ole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70~75%를 차지하는 양질의 기름으로서, 백미는 linoleic acid가 현미에는 oleic acid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고아미2호는 palmit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아서 다른 품종과 다소다른 지방산 조성을 나타내었다. 백미의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eine, hydroxy lysine이고, 현미에서는 cysteine을 제외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hydroxy lysine인 것으로 나타났다. 쌀 품종의 호화특성을 DSC로 분석한 결과, 호화에 필요한 흡열엔탈피는 반 찰성인 백진주가 가장 높고, 다음은 설갱, 일품, 고아미2호 순으로, 고아미2호가 가장 낮은 흡열엔탈피을 보였다. 취반미의 식미치는 일품벼가 가장 높았으나, 밥의 텍스쳐를 분석한 결과, 고아미2호의 경도가 가장 높고, 일품, 백진주, 설갱 순으로 경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형질미 중에서, 고아미2호 취반미는 푸석한 조직감을 보여 다른 품종과는 현저히 다른 특성을 나타내므로, 고아미2호는 취반용 쌀로서 이용하기 보다는 가공용 기능성 곡류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으며, 반면에 백진주와 설갱은 원품종인 일품과 비교했을 때 취반용과 가공용도에 모두 적합할 것이다.

아조벤젠을 함유한 장쇄 지방산의 광재현성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Photo-reproducibility and Stability of Long Chain Fatty Acid Containing Azobenzene)

  • 박근호;박태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9-114
    • /
    • 1995
  • The Synthesis of long chain fatty acid containing azobenzene and $(C_{n}-Azo)$ was optimized, starting from p-(p'-hydroxy phenyl azo)-benzoic acid and the product of reaction containing azobenzene chromophores was investigated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ery in chloroform solvent at the various temperature. In addition, Reversibility and stability of azo compounds have been measured by means of Ultraviolet and the structure of these compound were ascertained by means of FT-IR and NMR. Recrystallization of reaction product in the solvent results the experimental yield obtained about 62.93% p-(p'-octadecyloxy phenyl azo)-benzoic acid. Long chain azobenzene derivatives in chloroform solution are induced photoisomerization by u. v. and visible light irradiation. The solution of long chain fatty acids$(C_{n}-Azo)$ containing azobenzene are possible of being applied to functional molecular devices such as photomemory and light switching.

대두발효식품의 cerebroside 조성 및 생리활성

  • 송성광;김희숙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765-766
    • /
    • 2000
  • Cerebrosides were isolated from soybean, deunjang and chungkukjang and their constituents were investigated. The principal fatty acid of soybean cerebroside was 2-hydroxy-palmitic acid but chungkukjang cerebroside consisted palmitic acid, elaidic acid(trans 18:1), oleic acid and stearic acid. The only sugar in cerebrosides was glucose. TLC analysis of cerebroside hydrolysate elucidated soybean and chungkukjang had same sphingold bases, mainly dihydroxy bases, trans-4, trans-sphingadienine. But, alkali stable glycolipid fractions of chungkukjang and deunjang had $2{\sim}3$ different primary amines.

  • PDF